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정보 > 입찰공고 현황 > 용역
1. 공고일반 ※ 회원가입 후 시그니처 입찰시스템을 활용해보세요!
공고번호 R25BK01117463-002 공고일시  2025/10/28 13:43
공고명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사업 용역
공고기관 연합뉴스 수요기관 연합뉴스
공고담당자 이은희(☎: 02-398-3256) 과업설명 제한여부
입찰방식 직접입찰 계약방법 제한경쟁
용역구분 국제입찰구분  
 
2. 입찰일시
입찰개시일시 2025/11/28 13:00 과업설명일시
공동협정서마감일시   PQ신청서 신청기한
참가신청 신청기한    
입찰(투찰)마감일시 2025/11/28 13:00 개찰(입찰)일시 2025/11/28 14:00
 
3. 입찰금액
기초금액
비공개
   
배정예산
0 원
   
추정가격
0 원
낙찰하한율
-
 
4. 입찰공고서 원문
 

 

 

  

고속열차 영상방송시스템 개량사업 

제안요청서 

 

 

 

  

 

 

2025. 10. 28. 

 

 

 

 

연 합 뉴 스 

 

목    차 

 

Ⅰ. 입찰공고서 

 1. 계약 내용 - 영상방송시스템 개량 -------------------------------------------------- 3 

 2. 참가 자격 ----------------------------------------------------------------------------- 3 

 3. 제출 서류 ----------------------------------------------------------------------------- 3  

 4. 입찰 일정 ----------------------------------------------------------------------------- 4 

 5. 기타 사항 ----------------------------------------------------------------------------- 5 

 6. 준비 사항 ----------------------------------------------------------------------------- 5 

Ⅱ.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 상세 설명서 

 1.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 

  1.1 방송실 영상 서버 규격 ------------------------------------------------------------ 6 

  1.2 객실 LED 모니터 규격 ------------------------------------------------------------ 10 

  1.3 객실 통합분배기 규격 ------------------------------------------------------------- 14 

  1.4 열차 영상방송 프로그램 개발 ---------------------------------------------------- 15 

  1.5 KTX 15개 역사 통합전송시스템 개량 -------------------------------------------- 23 

  1.6 개량 일반사항 --------------------------------------------------------------------- 28 

Ⅲ. 일반적인 기술사항 

 1. 일반사항 ------------------------------------------------------------------------------ 30 

 2. 공통사항 ------------------------------------------------------------------------------ 33 

 3. 품질보증 ------------------------------------------------------------------------------ 35 

 4. 유지보수 ------------------------------------------------------------------------------ 37 

[서식1호] 입찰 참가 신청서 ------------------------------------------------------------- 40 

[서식2호] 가격 제안서 ------------------------------------------------------------------- 41 

※ 별첨 1) KTX 개량 수량 --------------------------------------------------------------- 42 

※ 별첨 2) KTX-원강 개량 수량 --------------------------------------------------------- 43 

※ 별첨 3) 통합전송시스템 개량 및 신규 설치 장비 내역(15개 역사) --------------- 44 

※ 별첨 4) 개량 대상 장비 -------------------------------------------------------------- 45 

 

 

Ⅰ. 입찰공고서 

□ 사업명 :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사업 용역 

1. 계약 내용 - 영상방송시스템 개량 

 1)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하드웨어 개량 업무 

  - 방송실 영상서버(방송실 모니터 포함) 신규 제작ㆍ설치 

  - 방송실 HD 모듈레이터 및 메인 컨트롤러 신규 제작ㆍ설치  

  - 방송실 내장형 무선랜 장치 및 GPS 장치 신규 제작ㆍ설치 

  - 객실 LED 모니터 신규 제작ㆍ설치(KTX 천장 개량 포함) 

  - 객실 통합분배기 신규 제작ㆍ설치 

  - 제안요청서에 명기되지는 않았으나, 개량 과정에서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설비에 대한 신규 제작ㆍ설치 

  - 기타 주변기기 설치 및 열차 실내외 각종 미사용 장치 철거와 폐기물 처리 업무 등  

 2)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프로그램 개발 업무  

   - 신규 개발되는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프로그램은 연합뉴스에서 현재 운영 중인 기존 KTX 영상방송프로그램과 최대한 동일한 기능이 구현되게 개발 

   - 코레일 긴급공지 프로그램(TTS 라이선스 포함) 신규 개발 

   - 기타 개발 과정 및 운영 중에 필요한 프로그램 신규 개발 업무 등 일체 포함  

 3) 기존 KTX 15개 역사 통합전송시스템 개량 및 신규 설치 업무  

2. 참가 자격 

  1) 사업자등록증 또는 등기부등본상에 명시된 단독법인   

  2) 2015년 1월 1일(계약일 기준) 이후 단일 계약 건으로 10억 원(부가세 포함) 이상의 고속철도, 일반철도, 도시철도 등 철도차량 방송설비 개량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 실적이 있는 업체만 참여가 가능함     

3. 제출 서류    

 1) 입찰참가신청서 1부(서식 1호)  

 2) 사업제안서 10부, USB 1개 

   “5. 기타 사항 7번 참조” 

 3) 가격 제안서 1부(서식 2호, 별도 밀봉 날인)  

   - 서식 2호를 참조하여 가격 제안서 양식과 동일한 문서로 제출한다. 

 4) 공공기관제출용 기업신용평가등급 확인서 1부  

 5) 최근 3개년(2022년~2024년) 기업재무제표(원본대조필 날인) 각 1부  

 6) 방송설비 개량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 수행실적 증명서 각 1부  

 7)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법인인감증명서 각 1부  

 8) 노조관련 자료 

   - 전체 근로자수 / 노조현황(전체 노조원수, 상급단체, 조합설립일), 복수 노조인 경우 각 노조별로 제출 / 각 노조별로 체결한 임단협 유효기간 

 9) 소송관련 자료 

  - 현재 근로자와 관련되어 진행되는 소송 

 

4. 입찰 일정  

 1) 제안서 접수  

   - 접수 기한 : 2025년 11월 28일 11:00 

     (접수 당일 11:00까지 접수 장소에 도착한 사업신청자에 한하여 접수)  

   - 접수 장소 : 연합뉴스 구매심의위원회 간사에게 직접 제출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2길 25 연합뉴스빌딩 12층 전략기획실 기획조정부 이용출 차장)  

   - 접수 방법 : 직접 방문하여 제출하고 우편접수는 불가(접수된 자료는 반환하지 않음)   

 2) 사업설명회는 없으니 입찰 참여 희망업체는 10월 00일까지 sslee@yna.co.kr로 연락처를 남겨주면 추후 공지사항 및 질의답변서 일괄 발송 예정 

   - 입찰 관련 : 기획조정부 이용출 차장(구매심의위 간사) ☎ 02-398-3172  

   - 제안서 및 기술 관련 : 공공사업팀 이상설 부장 이메일 sslee@yna.co.kr 

 3) 제안사 PT 발표 

   - 발표 일자 : 2025년 12월 4일 (예정) ※발표 시간은 개별 통보  

   - 발표 장소 : 연합뉴스 본사 12층 대회의실  

   - 발표 시간 : 20분 이내 발표 후 질의응답 30분 (발표 시간 준수) 

    ※ 평가 기준 : 연합뉴스가 지정한 평가점수 이하일 경우 가격 제안서와 관계없이 제외된다. 

 4) 제안사 선정 발표 : 제안사 PT 발표 이후 7일 이내에 개별 통보함 

5. 기타 사항  

 1) 제안사로부터 제출받은 사업제안서 및 가격제안서는 여러 가지 항목을 고려하여 연합뉴스 구매심의위원회가 정한 평가 항목에 의해 최고 점수를 얻은 제안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다. 

 2) 제안서 작성에 드는 모든 비용은 별도로 지급하지 않으며 제출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는다. 

 3) 입찰자는 입찰공고 조건 등 입찰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입찰 전에 완전히 숙지 후 입찰에 응해야 하며, 숙지하지 못한 책임은 제안사에 있다. 

 4) 연합뉴스가 입찰서 평가 중 추가자료 또는 보완자료의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 자료를 제출하여야 하고, 이를 이행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책임은 제안사에 있다.  

 5) 연합뉴스는 제안서 평가와 관련된 내용을 일절 공개하지 않으며, 제안 업체는 이의를 제기하지 못한다. 

 6)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이후라도 사업 참가 자격 및 제출 서류에 대한 허위 사실이 드러날 경우 협상대상자 지위를 박탈하며, 이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제안사에 있다.  

 7) 사업제안서에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과 프로그램 개발, KTX 역사 통합전송시스템 개량 및 신규 설치, 고속열차(KTX, KTX-원강) 긴급공지 프로그램 개발, 기술지원 및 사후 관리 등의 수행계획 등에 대하여 제안한다.  

  - 회사소개서, 조직구성도, 인력확보 계획, 보유 기술 여부, 자격증 사항을 기술한다. 

  - 시험제품과 완성제품 및 프로그램 개발 일정을 정확히 명기한다.  

  -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안사의 특수한 제품이나 기술 등 추가 제안 내용이 있으면 자세히 기술한다. 

6. 준비 사항   

 1)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과 프로그램 개발 세부계획서를 작성하여 계약이 체결된 후 1개월 이내에 제출하고 양사 협의를 진행한다.  

 2) 입찰공고문 및 제안요청서에 기재되지 않는 사항이 있다면 제안사는 PT 발표 시 추가 제안할 수 있다. 

 3) 하드웨어와 프로그램 개발 관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력을 사전에 확보해야 한다.  

 4) 영상ㆍ방송설비 개량 전 현재 운영 중인 설비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 함께 시행한다.  

 

Ⅱ.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 상세 설명서 

 

1.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 

1.1 방송실 영상 서버 규격 

 1) FULL HD급 이상 동영상이 구현 가능한 시스템으로 제작한다. 

 2) 내구성이 우수한 산업용 소자를 사용하고 유지보수가 쉽도록 슬롯 형태로 제작한다.  

 3) 영상 서버의 각종 외부 인터페이스를 최소화한다.  

 4) 장비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램프를 전면부에 설치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신속한 장애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작한다.  

 5) 운영체제 : Windows 11 Pro 64bit 이상 (라이선스 포함)  

 6) CPU  

  - 안정적이고 품질이 우수한 제품으로 인텔 14세대 i7 2.1GHz, 12Core 이상이어야 한다. 

  - Fanless 타입으로 방열판이 적용되어 CPU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방출 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제작한다.(위 사양을 구현하기 어려울 경우 별도 사양으로 제안한다.) 

 7) 영상방송시스템에 적합한 산업용 메인보드 및 확장성이 보장된 제품으로 제작한다. 또한 방송실 내 분진에 따른 먼지 축적 감소가 되는 Fanless 타입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8) 시스템 메모리 : DDR5 32G 이상  

 9) 저장장치   

  - 산업용 SATA-3 SSD 타입이며, 용량은 1TB 이상으로 장착한다.  

  - 디스크는 1(메인)+1(스페어) 이중화방식 및 RAID 방식의 자동백업 기능 구현  

  - SATA 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320km/h 이상 운행할 때도 진동으로 인하여 접속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체결형 제품으로 제작한다.  

 10) 그래픽카드  

  - 해상도 : 3,840*2,160(16:9) 이상     

  - 비디오 메모리 : 시스템 메모리 공유 지원 최소 1Gbyte 이상, 시스템 메모리를 공유하므로 메모리 속도 및 대역폭 향상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 PCI Express 2.0 이상 지원 모델 또는 메인보드 일체형  

  - 비디오 출력 : 방송실용 모니터 출력포트(VGA, DVI, HDMI, DP 중에서 선택하여 제안할 것) 1개와 객실용 출력포트(출력방식 제안) 1개가 동시에 출력되어야 하며, 고속열차(KTX, KTX-원강) 플레이어 기본 기능을(정차역 안내방송, 무선 다운로드, 기타 프로그램 등) 수행하면서 FULL HD급 동영상이 느려지는 현상이 없어야 한다. 

  - 고성능 냉각팬과 열전도율이 뛰어난 방열판이 장착된 제품으로 제작한다.  

  - 방송실모니터 : 터치방식의 15인치 이상 와이드 타입이며, 미니키패드를 장착하여 터치모니터 오동작시 백업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한다. 

 11) 입출력(I/O)장치  

  - RS-232 Port : 3개 이상, RS-485 Port : 2개 이상(열차 및 기타 통신용)   

    ※ IRQ COM 포트 번호가 자동으로 변경되지 말아야 한다.  

  - USB 3.0 포트 : 4개 이상  

  - HUB 포트(10/100/1,000Mbps 지원) : 4개 이상  

  - 랜카드(10/100/1,000Mbps) : 2개 이상  

  - 내장형 GPS 카드 : 1575.42±1.023MHz, 업데이트 주기 1초  

 12) 내장형 무선랜 카드  

  - 내장형 무선랜카드는 IEEE 802.11a/g/n/ac/ax 지원 및 2.4G/5GHz 주파수대 동시 지원 가능한 제품으로 설치한다.  

  - MU-MIMO(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이 지원 가능한 제품이어야 한다.  

  - KTX 역사에 설치될 무선AP와 신규로 설치할 내장 IEEE 802.11 a/b/g/n/ac/ax 무선랜 장치들이 상호 호환성을 유지하여 에러율이 최소화 되도록 설계하며, 우수한 전송속도가 보장될 수 있도록 제작한다. 

  - 장비 상태 모니터링 램프를 전면부에 설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여 신속한 장애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작한다.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로 만들어 탈부착이 쉽도록 제작한다.  

 13) 전원공급장치  

  - 열차 전원의 리플 현상으로부터 안정적인 전원을 영상 서버에 공급하기 위해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처리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하며 산업용 부품을 사용한다.  

  - 입력 전원은 역전압(극성) 보호회로 또는 무극성 동작 회로를 적용하여 극성과 관계없이 동작하며, 입력 전원 DC 72V가 운행 중 큰 폭으로 변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입력전압이 DC 43V에서 DC 110V(허용오차 -40%~+53%)까지 변동되어도 영상 서버의 동작과 기능에 이상이 없도록 제작한다. 

  - 전면부 LED 램프를 통해 동작상태를 운영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 열차 전원 차단 시 영상서버가 정상 종료될 수 있도록 충전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며 고장이 나면 전면부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 열차에서 공급되는 DC 입력상태,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 열차 내 이상 전압 및 전류로부터 영상 서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 이중화 방식으로 구성하며 장애 발생 시 자동백업 기능을 구현한다.  

 14) 방송실 전원이 ON되면 약 1~3분 경과 후 자동으로 영상 서버가 부팅되며, 방송실 전원이 OFF되면 약 1분 경과 후 자동으로 윈도가 정상종료 되어야 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영상 서버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면서 만약 영상 서버가 하드웨어적으로 제대로 된 동작을 아니 할 경우에는 서버를 재부팅 시킬 수 있어야 한다.  

 15) GPS를 이용한 정차역 안내방송 기능 구현  

  - 차량용 스피커로 음원 송출 시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 음원 송출 우선순위는 ①승무원 핸드셋 방송, ②정차역 안내방송, ③기타 영상방송음원 순으로 방송되어야 한다.  

  - 정차역 안내방송은 GPS 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며 미리 제작된 자막과 음성을 동시(수어영상 포함)에 표출한다. 

  - GPS 수신 불량 시 모듈 자동 초기화 기능을 구현한다. 

  - 터널이나 기상 상황 등으로 인한 GPS 음영지역도 정차역 안내방송을 정상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적인 방법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구현하여야 한다.  

  - KTX-원강은 GPS 위성 신호를 받지 못할 때를 대비하여 차량진단제어장치(VCU)에서 주행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서 보정해야 한다.  

 16) 5G 모뎀을 이용한 실시간 뉴스 서비스 구현  

  - 열차 운행 중에도 5G망을 이용해 실시간 뉴스 서비스와 고속열차(KTX, KTX-원강) 긴급공지 내용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제작한다. 

  - 고속열차(KTX, KTX-원강) 긴급공지는 TTS 기능(라이선스 포함)을 활용해 객실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로도 방송되도록 제작한다. 

 17) 각 장치는 착/탈 방식 타입으로 제작하여야 하며, 교체가 쉽고 진동에 강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18) 방송실은 외부공간과 밀폐되어 있으므로 설치되는 장비들이 내부 온도 상승에 대처할 수 있는 내용을 기술한다. 

 19) 영상서버가 정지되었을 때 이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영상서버를 자동 리부팅할 수 있도록 제작하며, 자동 리부팅이 안 되는 경우 로그 파일에 장애 등록되어야 한다. 

 20) 열차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과출력, 전자파 등 외부 영향으로부터 영상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21) 열차번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신규 설치한다.  

 22) KTX-원강 영상서버는 열차 내 설치되어 있는 AVC(Audio Video Controller)와 RS-485 통신하며, 상태 정보 값을 50ms 이내 응답, 100ms 이내 전송을 완료하여야 한다. 또한 차량진단제어장치(VCU)와 호환성 있게 동작하여야 한다. 

 23) 고속열차(KTX, KTX-원강) Control Interface   

   - 통신방식 : RS-485 Serial Communication  

   - 통신속도 : 9,600 ~ 115,200bps (단, 성능을 위해 적절한 속도를 선택함)  

   - 통신모드 : Multi-drop 반이중  

   - 통신매체 : STP(Shield Twisted-pari) 케이블 

   - 전압범위 : -7V ~ +12V  

   - 최대전류 : 250㎃  

 24) 고속열차(KTX, KTX-원강) 장비의 상태 응답 코드는 동작상태(동작, 시험, 예비, 리부팅, 셧다운), 방송 종류(음성, 화재, 비상레버, 행선안내, 공지안내), 기타정보(절연, 터널, 곡선, 공사) 등이며 고속열차 AVC의 요구조건에 맞추어 개발한다. 

 25) 영상방송 재생 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송출되어 발생하는 영상과 음성 간 동기화(Sync) 문제가 없도록 개발한다. 

 26) 영상서버는 이중화된 모듈의 상태정보를 로그파일로 생성하여 역사서버와 고속열차 내 5G모뎀을 통해 자동으로 연합뉴스 로그서버로 전송, 영상정보시스템 NMS 화면에 표시한다.  

   - 저장모듈 (SSD, 레이드키트) 동작상태 정보  

   - 전원모듈 동작상태 정보  

   - UPS배터리 충전상태 및 동작상태 정보   

   - SDI 모듈 동작상태 정보  

  27) 영상서버 전면부에는 보호 덮개를 제작하여 열쇠가 있어야 열 수 있도록 제작한다. (단, 파워 스위치와 리셋 스위치는 열쇠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되, 개발단계에서 연합뉴스와 별도 협의하여 확정한다)  

  28) SDI(Serial Data Interface) 모듈 이중화 방식(핫-스탠바이(Hot-Standby))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29) 영상신호 전송방식은 최신기술을 적용해 FULL HD 이상 신호를 손실없이 전송하여야 한다.(이중화 방식 구현, 제안서에 전송방식 규격을 상세하게 기술) 

  30) 원활한 방송 운영 및 유지보수성,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제안사가 추가 제안 및 최신 기술을 자유롭게 제안한다. 

1.2 객실 LED 모니터 규격  

  1) 고화질 FULL HD급 방송이 가능한 객실모니터를 제작한다.  

  2) 객실 내 승객에게 최상의 영상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고속열차(KTX, KTX-원강) 이미지에 맞도록 제작한다.  

  3) 규격 (관련 근거자료 제출)  

    ① 객실모니터 (양면형/단면형)  

     - 크기 : 29.4인치(24:9) 와이드 FULL HD급 LED 모니터 

     - 패널 : 국산 대기업 정품 LED 패널 사용 권고  

     - 해상도 : 1,920 * 720 (24:9)  

     - 명암비 : 1000:1 이상  

     - 밝기 : 350cd/㎡ 이상   

     - 시야각(H/V) : 175°/ 175° 이상   

    ② 객실 모니터 (원강 특실단부형)  

     - 크기 : 19인치 이상 와이드 FULL HD급 LED 모니터    

     - 패널 : 국산 대기업 정품 LED 패널 사용 권고  

     - 해상도 : 1,920 * 1,080 (16:9) 이상  

     - 명암비 : 1000:1 이상  

     - 밝기 : 350cd/㎡ 이상   

     - 시야각(H/V) : 175°/ 175° 이상   

  4) 설치 수량 및 위치  

   ① KTX  

   - LED 모니터 : 1편성당 80대로 46편성 기준 총 3,680대를 설치한다.  

   - 모니터 브래킷 : 1편성당 44개로(양면형 36개, 단면형 8개) 46편성 기준 총 2,024개를 설치한다. 

   - 일반실은 객실 중앙부에 양면형으로 2개소가 설치되며 특실은 객실 출입구에 단면형으로 2개소와 객실 중앙부에 양면형으로 2개소를 설치. 36편성 1호차(2대)와 18호차(2대)만 단면형 모니터(모니터 브래킷 포함)를 추가 설치 

   - 객실 모니터 브래킷은 신규 제작되며 스펙은 6번항 모니터 브래킷에 따른다. 

   - 29.4인치 와이드 FULL HD급 LED 모니터가 설치 가능하게 철도차량 기준에 맞는 화재등급, 진동 등의 기준을 충족하게 천장을 개량한다. 

   - 설치 위치는 기존에 설치된 객실 모니터를 탈거한 후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 1편성당 객실 모니터와 브래킷 설치 수량은 다음과 같다. 

구분 

1
호차 

2
호차
(특실) 

3
호차 (특실) 

4
호차 (특실) 

5
호차  

6
호차 

7
호차 

8 호차 

9 호차 

브래킷
수량 

29.4인치 양면형 

2 

2 

2 

2 

2 

2 

2 

2 

2 

18 

29.4인치 단면형 

- 

2 

2 

2 

2 

- 

- 

- 

- 

8 

 모니터
수량 

4 

6 

6 

6 

6 

4 

4 

4 

4 

 

구분 

10
호차 

11
호차 

12
호차 

13
호차 

14
호차 

15
호차 

16
호차 

17 호차 

18 호차 

브래킷
수량 

29.4인치 양면형 

2 

2 

2 

2 

2 

2 

2 

2 

2 

18 

29.4인치 단면형 

- 

- 

- 

- 

- 

- 

- 

- 

- 

0 

 모니터
수량 

4 

4 

4 

4 

4 

4 

4 

4 

4 

 

 

     

 

   ② KTX-원강 

   - LED모니터 : 1편성당 36대로 14편성 기준 총 504대를 설치한다. 

   - 모니터 브래킷: 1편성당 28개로(양면형 8개, 단면형 16개, 특실 단부형 4개) 14편성 기준 총 392개를 설치한다.   

   - 일반실은 객실 출입구에 단면형으로 2개소와 객실 중앙부에 양면형으로 1개소를 설치하고 특실은 일반실 수량에 단부에 개별모니터 4개(19인치 와이드 FULL HD급 모니터)를 설치한다.  

구분 

1
호차 

2
호차 

3
호차 (특실) 

4
호차 

5
호차 

6
호차 

7
호차 

8 호차 

브래킷
수량 

29.4인치 양면형 

1 

1 

1 

1 

1 

1 

1 

1 

8 

29.4인치 단면형 

2 

2 

2 

2 

2 

2 

2 

2 

16 

19인치
단부형(특실) 

- 

- 

4 

- 

- 

- 

- 

- 

4 

모니터
수량 

4 

4 

8 

4 

4 

4 

4 

4 

 

   - 1편성당 기준 객실모니터 및 모니터 브래킷 설치 수량 

  

 5) 모니터 브래킷  

   - 브래킷은 진동에 파손되지 않고 부식되지 않는 소재로 제작한다.  

   - 모든 체결장치(볼트, 너트류)는 이완 방지되는 제품을 사용하여 운행 중 진동으로 인하여 떨림이나 체결장치의 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 브래킷은 객실 천장 중앙부와 기울어짐 없이 설치한다.  

   - 전원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이 차량 진동에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브래킷을 추가 설치한다.  

   - 유지 보수를 위해 LED 모니터 교체가 현장에서 10분 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탈부착이 쉽게 제작하며 개량 전 탈부착 상태를 직접 시현한다. 

  6) 일반사항  

   - 객실 내 의자에 앉은 승객이 영상방송을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도록 15도 각도로 설치 

   - 객실 모니터는 승객의 시청 향에 따른 해상도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광시야각 패널로 제작하여야 한다.  

   - 객실 모니터는 주간에 햇빛 등의 영향으로 인한 시청 시 해상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밝기는 350cd/㎡ 이상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관련 근거자료 제출)  

   - LED 패널 전면에 고강도의 투명 보호케이스를 설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널을 보호해야 한다.  

   - 이완 방지 처리된 부품을 사용하여 브래킷을 견고히 고정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열이 방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한다.  

   - 모니터 모서리 및 하단 부위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날카로운 부분이 없도록 미려하게 제작한다.  

   - 모니터의 높이는 객실 바닥면으로 부터 192cm 이상이어야 한다.  

   - 외부 입력신호가 없거나 모니터 자체 고장 시 검은색(블랙)으로만 나와야 한다. 화면이 깜박거리는 현상 및 청색(블루)화면이나 ‘입력신호 없음’과 같은 별도의 문자가 모니터 상에 출력되어서는 아니 된다. 

   - 모니터 입력전압 변동 폭이 ±5%에서도 정상 동작하게 설계한다.  

   - 진동에 파손되지 않고 부식되지 않는 소재로 제작하며, 색상은 코레일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  

   - 모니터 브래킷을 포함한 3D외형도와 설치도면을 작성하여 1편성 시험 운행 전에 철도기술연구원, 국토교통부 및 코레일의 승인을 득한 후 설치하며 본 공사 시작 전까지 연합뉴스의 수정사항이 있을 때 즉시 반영한다.  

   - 필요에 의해 신규로 설치되는 동축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고속열차(KTX, KTX-원강) 규격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철도기술연구원, 국토교통부 및 코레일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7) 원활한 방송 운영 및 유지보수성,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제안사가 추가 제안 및 최신 기술을 자유롭게 제안한다.  

 

1.3 객실 통합분배기 규격   

  1) 기존 차간 케이블과 객실 내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FULL HD급 이상 화질이 구현되도록 제작한다. 

  2) 신호분배기와 객실 모니터까지 설치되어 있는 기존 영상 동축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은 재사용하되 콘넥터 접속 상태를 전수 조사하여 불량인 개소는 재접속 처리한다.  

  3) 내구성이 우수한 산업용 보드를 사용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로 만들어 시종착역 및 차량기지에서도 짧은 시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한다. 

  4) 입력 전원은 역전압(극성) 보호회로 또는 무극성 동작 회로를 적용하여 극성에 관계없이 동작하며, 입력 전원 DC 72V가 운행 중 큰 폭으로 변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입력전압이 DC 43V에서 DC 110V(허용오차 -40%~+53%)까지 변동되어도 통합분배기의 동작과 기능에 이상이 없도록 제작한다. 

  5) 통합분배기는 객실 모니터 전원과 영상신호를 분배하도록 설계하며 각 객실 영상 포트와 전원 포트에 맞게 제작한다. 또한 객실 간 차간 케이블을 통하여 다음 호차의 통합분배기로 영상신호를 왜곡 없이 전송하여야 한다.  

   - DC 72V 입력 전원의 변동이 심하더라도 객실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원 출력전압 변동 폭은 ±3% 이하로 설계한다.  

   - 통합분배기는 영상AMP부, 영상분배부, 전원부, 차간전송부 등으로 분리하여 설계ㆍ제작한다.  

   - 전원부의 모니터 전원공급 방식은 1:N 방식이 아닌 1:1로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모니터 측 전류 및 단락 발생 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장기간 운영 시에도 분배기 내 발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 통합분배기로 입력된 비디오신호는 손실을 최소화하고, 딜레이 없이 객실 모니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작해야 한다.  

   - 객실 통합분배기는 일반실은 4포트, 특실은 8포트로 제작한다.  

  6) 전원 불량으로 통합분배기가 동작하지 않아도 영상신호는 다음 객실로 바이패스되어야 한다.  

  7) 케이스는 온도, 습도, 산화 및 부식 방지 효과가 뛰어난 특수 도장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8) 입출력단자(F/Connector)는 금도금으로 코팅된 제품을 사용하여 접촉저항 및 부식 등의 위험성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제작한다.  

  9) 열차에서 유입되는 과전압, 과출력으로부터 장비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회로 또는 보호 부품을 적용하여 제작한다. 

  10) 고성능 노이즈필터 사용으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11) 장비 상태 모니터링 램프를 전면부에 설치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신속한 장애 처리가 가능하도록 제작한다. 

  12) 발생하는 열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열이 방출되는 구조로 설계한다.  

  13) 설치 위치는 객실과 객실 사이 천장에 설치되며 제안사는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안 내용에 기술한다.  

  14) 통합분배기 전원부 앞단에 전원차단기를 설치한다. (규격은 코레일과 차후 협의)  

  15) 원활한 방송 운영 및 유지보수성,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제안사가 추가 제안 및 최신 기술을 자유롭게 제안한다.  

 

1.4 열차 영상방송 프로그램 개발 

 ○ 영상 재생  

   1) 영상플레이어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어야 하며 영상 서버에서 재생한 콘텐츠명 및 보유 현황을 로그에 기록하고 관련 로그를 연합뉴스 본사 로그서버 화면에 표시한다. 

   2) 정차역 안내방송과 콘텐츠 중 음성송출이 필요한 영상의 음성을 객실 스피커로 송출되는 기능은 영상 서버에서 구현한다.  

   3) 자막뉴스가 재생되는 경우 영상사이즈를 자동 조절하여 자막에 가려지지 않아야 한다.  

   4) 버퍼링 기능을 구현하여 영상과 다음 영상 사이의 블랙 현상을 최소화한다.  

   5) 열차 출발시간이 되면 이미 업데이트된 스케줄러 편성표에 따라 방송이 진행되어야 하며, 출발 이후 지정된 시간 또는 지정된 장소에서 해당 열차의 ‘탑승열차 안내방송(MP3)’과 ‘노선 안내 동영상’이 각각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어야 한다. 

   6) 콘텐츠 다운로드나 수동 업데이트 시 동영상 및 텍스트 파일이 손상되어도 해당 파일을 스킵하고 다음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개발하고, 이를 장애로그로 생성하여 본사 로그 서버에 전송하여 운영자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7) 열차 운행 중 비정상적으로 시스템이 재부팅돼 다시 시작되는 경우, 이전 방송 중인 위치에서 이어서 재생이 되어야 한다. 

   8) 정차역 방송 이전에 해당 지역의 관광명소, 명승지, 지역홍보 영상을 현재 재생되는 영상이 종료되면 스케줄러에 삽입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개발한다.  

   9) 영상 재생 시점에 미리 CRC 검사를 수행하여 파일 변조 유무를 확인하고, 변조시 해당 파일을 삭제하여 프로그램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삭제 내용을 영상 서버로 전송하여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10) 영상파일 이상 및 그래픽장치 일시 불량 등으로 영상 재생이 연속적으로 실패하는 경우, 시스템을 자동으로 재시작하고 본사 로그 서버에 전송하여 장애 내용을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11) 영상재생 플레이어가 오류 등으로 중단되거나 행업 발생 시 이를 감시하여 재시작하는 별도의 감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단 없이 운영한다.  

  12) 고속열차(KTX, KTX-원강) 긴급공지는 객실 내 모니터에 자막 및 객실 스피커를 통한 TTS 음성(한국어, 영어 선택 가능)으로도 방송되어야 한다. 이례사항 시 코레일 전산시스템과 연계하여 열차번호 또는 편성번호로 1개 이상 열차를 지정하여 긴급공지 동시 송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13) 사용되는 모든 옵션은 UI 형태로 개발되어야 하며 옵션에 따른 설정 부분도 운영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14) 모니터는 듀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쪽은 이미지(정차역, 다음 정차역 안내, 날씨, 기타 이미지 등) 위주, 나머지 한쪽은 영상(코레일 홍보영상, 뉴스, 광고, 외부 수급 엔터테인먼트 영상 등)이 표출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안내방송  

   1) GPS 수신 

    - 영상 서버에 연결된 GPS 수신장치를 이용해 운행 구간의 GPS 좌표를 수신하여 DB에 기록된 정차역의 좌표와 비교한다. 

    - 지도 화면을 기반으로 정차방송 좌표 위치를 설정하고 DB에 등록되지 않은 임시 열차의 경우 승무원이 열차번호 정차역명 등을 추가ㆍ삭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야 한다. 

    - GPS 신호가 일정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시 자동으로 GPS 하드웨어를 초기화하여야 한다.(초기화 횟수 LOG에 기록) 

    - GPS 수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GPS 시간과 영상서버 클럭시간을 자동으로 동기화한다. 

    - GPS 장치에서 전송하는 GPS RAW데이터(NMEA Sentence)를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사용여부 옵션 처리) 

    - 저장된 GPS RAW데이터 파일을 활용하여 정차역 좌표 등의 검증 시 사용하는 GPS장치 에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별도 개발한다. 

    - 신규 제작ㆍ설치되는 GPS장치와 함께 기존 GPS장치를 운용할 경우, 신규 GPS장치에서 수신되는 GPS신호를 우선 사용하고 신규 GPS장치 수신불가 상황 시 기존 GPS장치에서 GPS신호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열차번호와 종착역 표기, 역간 실시간 이동정보와 운행속도 표시, 날짜와 시간 표시 등 열차정보를 화면상에 표출하여야 한다. 열차정보 표시는 한국어, 영어, 중어, 일어 버전으로 제공이 가능하여야 한다. 

    - GPS 좌푯값을 활용하여 운행 중인 열차 위치정보를 그래픽 처리하여 볼 수 있도록 개발 

    - 특정 GPS 위치에서 지정한 음원이 객실 스피커로 송출되는 기능을 개발한다. 

    - GPS와 GPR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좌푯값 상태를 본사 로그 서버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2) 출발 전 안내방송 

    - 열차 출발 전 해당 열차번호에 맞는 출발안내 자막 영상을 한국어, 영어, 중어, 일어를 번갈아 가면서 반복 표출하도록 개발한다. 

    - 객실 스피커를 통해 운영자가 지정한 음악을 재생하다 열차 출발시간이 되면 정지하고 해당 열번의 편성표대로 영상방송을 시작하도록 개발한다. 

    - 종착역 도착 안내방송을 마친 후 종착지별로 지정된 음악이 객실 스피커를 통해 나오도록 개발한다. 

   3) 출발 시 열차번호별 정차역 정보 안내(기존 전자지도) 

    - 기존 동영상파일로 재생되던 전자지도 기능을 열차 운행정보(일명 다이아) 파일을 활용해 시인성 높은 그래픽으로 구현한다. 

    - 영상정보시스템에 열차번호 입력 시 해당 열차 DB를 불러와 시발-정차-종착역을 구분하여 역명과 도착시간을 표출해준다. 

    - 역명은 한국어, 영어 동시 표출은 기본이며, 중국어, 일어 등 기타 외국어도 표출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열차 출발 시 1회 및 운행 도중 표출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4) 정차역 안내방송 표시 기능 

    - 정차ㆍ종착역별로 표출되는 안내 자막의 표출 언어 및 표출 순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영상 서버에서 해당 정차ㆍ종착역의 안내자막을 표출한다. 

    - 현재 표출되는 한국어, 영어, 중어, 일어 외에 연합뉴스 요구 시 다른 언어 자막 표출도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정차역 안내방송 이후 정차 지역 인근의 광고 동영상을 객실 모니터, 객실 스피커 등으로 방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한다. 

    - 정차역 안내방송 성공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로그를 생성하여 연합뉴스 본사에서 운영하는 로그 서버 화면에 표출하고, 실패 시 좌표 신호 미수신, 승무원 핸드셋 사용 등 세부 원인을 표시한다. 

    - 언어, 노출시간 및 횟수 등의 스타일을 프로그램 수정 없이 관리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환경설정 화면을 제공한다. 

    -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열차편성 변경에 대응하기 위해 코레일에서 제공하는 열차 운행시간표 파일(엑셀ㆍPDF 등)을 영상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자동 변환해 주는 프로그램을 신규로 개발한다. 

    - 정차역 방송 시 정차역 자막을 표출하고 이어서 수어 정차안내 영상을 표출한다. 

    - 정차역 자막 오버레이 표출 종료 이후 화면 하단에 바 형태의 정차역 안내 및 화면 좌측 상단에 열차번호, 종착역 정보를 열차가 정차 후 다시 출발할 때까지 한국어, 영어, 중어, 일어로 표출하여야 한다. 

    - 각각의 정차역 안내방송은 설정한 시간대별로 선택하여 객실 스피커를 통해 나와야 한다. 

    - 열차 출발 이후 열차가 지정된 위치를 지나면 열차 노선 안내 동영상을 표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4) 화재감지 및 비상레버 작동 시 승객 안내 

    - 열차 AVC 장치에서 화재감지 및 비상레버 동작신호 수신 시 재생 중인 영상을 일시중지하고 모니터와 객실 스피커를 통해 코레일에서 제작한 승객 대비 안내방송을 즉시 송출하도록 개발한다. 

 

 

 

  ○ 자막뉴스 표출 

   1) 자막뉴스(N000) 기능 

    - 15분마다 업데이트되는 텍스트뉴스 파일의 내용을 화면 하단 부분에 100픽셀 정도의 공간에 표출한다.  

    - 표출 언어별로 각각의 표출위치, 표출시간, 문자체, 크롤 속도, 크롤 방향, 글자체, 배경색, 반복여부, 표출 유효시간 등을 바꿀 수 있어야 하고 크롤 속도조절 시 끊김 현상이 없어야 한다. 

    - 자막뉴스 표출 도중 T(광고자막) 및 X(긴급뉴스)코드가 수신되면 자막뉴스보다 우선하여 표출한다.  

    - 한국어, 영어, 중어, 일어로 뉴스 표출이 가능토록 개발하고 표출 언어 순서 및 횟수 등은 방송스케줄에 의해 표출되도록 개발한다. 

   2) 긴급뉴스(X010), KTX긴급공지(X020)를 표출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긴급뉴스(X010)는 1분 표출 후 운영자가 정한 시간 후에 1분간 재표출한다.  

    - KTX 긴급공지(X020)는 코레일 상황실에서 작성한 화면과 동일한 화면 이미지가 열차에 출력되어야 하며, 한국어ㆍ영어로 교차 출력이 가능하여야 하며 편성별 번호 선택과 열차번호별(코레일 전산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가공 후 처리 포함)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글꼴설정, 색설정, 상하-좌우 여부 조정, 표시횟수, 유효시간, TTS 사용유무, TTS 음성선택, 슬라이딩 속도조정, 배경이미지 선택, 미리보기 등의 옵션이 UI 형태로 되어야 한다. 

   3) TTS(Text To Speech System) 기능 

    - 남녀 음성을 지원하고 한국어, 영어, 중어, 일어 등 다양한 언어의 문장을 음성으로 표출한다. 

    - 영상서버의 지정된 폴더에 수신된 텍스트 파일을 주기적으로 감시해 최신 파일을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차량스피커로 송출하여야 한다. 

    - 정차역 및 종착역 안내방송을 차량스피커로 송출하여야 한다. 

      (텍스트 파일 또는 녹음된 음원을 사용할 지 옵션 처리 기능) 

    -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KTX긴급공지 텍스트 내용이 차량스피커로 송출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수정 없이 음성화자 변경 및 음성송출 실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 TTS로 생성하는 음원의 앞뒤 부분에 차임벨(알림음) 등 별도의 음원을 추가 합성하여 송출하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 콘텐츠 업데이트 및 관리 

   1) 역사 서버에 접속해 동영상 콘텐츠, 사진뉴스, 자막뉴스 등 새로운 콘텐츠를 확인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자동 업데이트한다. 

   2) 열차 방송 운영프로그램이 본사 파일서버로 업데이트되면 역사서버와 통신하여 자동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3) 역사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들은 본사 파일서버와 역사서버 간 파일을 비교하여 미완료시 이어받기를 실행하여 전송 완료한다. 이후 CRC 체크를 시행하고 문제가 있는 파일은 자동으로 삭제한 후 다시 받기 기능을 수행한다. 

   4) 정차역 음원 및 시발방송, 수어안내영상 등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5) 환경설정은 GUI 방식으로 개발하여 쉽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6) 콘텐츠별 다운로드 우선순위 방식과 병행하여 시간대별 우선순위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7) 영상콘텐츠는 동시에 최대 100개 이상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8) 콘텐츠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오류 등으로 중단되거나 행업 발생 시 이를 감시하여 재시작하는 별도의 감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단 없이 운영한다. 

 

 ○ 운행 관련 기타 정보 표출 

   1) 객실에 설치된 LED 모니터에 다양한 내용을 표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다.  

   2) 열차가 250km/h 이상으로 운행 시 속도표시 (표시속도는 사용자 선택) 

   3) 날짜 및 시간 표시 기능(특정영상 송출시 날짜 및 시간 비표시 등 사용자 선택) 

   4) 인근지역 표시 기능  

   5) 역사서버 접속 상태 및 GPS 수신 상태 표시  

   6) 표출 위치, 표출시간, 문자체 등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옵션 항목으로 개발한다. 

   7) GPS 위치 기준으로 코레일에서 지정한 곡선구간 위치 및 절연구간 위치 진입 시 열차 기관실에 신호를 전송하여 기관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 무선인터넷(5G) 접속 

   1) 열차 내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자막뉴스(N코드), 긴급뉴스(X코드), KTX긴급공지(X코드), 기타 대용량 동영상파일(C, A, S코드의 콘텐츠) 등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 개발한다.  

   2) 접속프로그램이 수정되어 열차로 배포되면 자동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 로그파일 생성 

   1) 열차 영상서버 내 운영프로그램에서 로그파일을 생성하여 역사서버나 5G모뎀을 통해 자동 전송하고 본사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2) 영상서버의 상태정보를 로그파일로 생성하여 역사에 설치된 역사서버와 5G모뎀을 통해 자동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 하드디스크 사용량 및 온도 / 동작상태 정보 

     - CPU 및 그래픽카드 온도 

     - 메인보드 온도 정보(로그서버에서 설정한 온도보다 높게 로그가 생성되면 장애등록 설정) 

     - 기타 개발과정 중 필요한 개발내용 일체 

   3)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역사서버로 전송하는 로그 이외에 열차 운행 이후 필요시 세밀한 장애분석 및 프로그램 디버그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 로그도 추가로 생성하여 보관한다. 

 

 ○ 프로그램 기타 기능 

   1) 열차번호 입력 전에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제공한다. 

   2) 열차 운행이 끝나면 종착역 GPS 신호를 받아 20분 후(옵션처리) 영상서버를 자동으로 종료 후 열차번호 입력 화면으로 전환한다. 

   3) 방송실에 있는 키패드와 터치모니터를 사용하여 열차번호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4) 무선LAN이 접속될 수 있는 역사에서는 원격에서 영상서버를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 무선인터넷(5G망)을 이용해서는 열차 운행 중 실시간 원격제어와 파일전송이 가능해야 한다. 

   5)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서 자동으로 배포되는 기능을 구현한다. 

   6) 사용자 정의가 필요한 옵션은 GUI 형태로 개발한다.  

   7) CPU 사용률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은 가볍게 개발한다. 

   8) 기존 프로그램 기능을 포함한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신규로 개발한다. 

   9) 모든 프로그램은 이중실행이 되지 않도록 한다. 

  10) 키패드 단축키를 이용하여 지정된 안내방송 음원이 재생 가능 하도록 개발한다. 

  11) 무선랜 및 5G 모뎀의 지정된 IP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IP그룹 별도 협의됨) 

  12) 객실모니터와 방송실 모니터를 다중디스플레이로 구성하여 객실 모니터는 영상방송을 출력하고 방송실 모니터는 영상서버의 현재 상태 및 열차 운행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화면으로 구성한다. 

  13) 승무원이 열차번호 입력 시 해당 열차의 종착역, 출발시간 등을 미리보기로 표시하여 열차번호 오입력을 최소화 하도록 개발한다. 

 

○ 원격접속 프로그램 

   1) 본사 로그서버에서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원격접속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2) 본사 모니터링 시스템(PC버전) 및 모바일(앱버전) 환경 등에서 원격으로 열차에 접속되도록 개발한다. 

   3) 파일 전송이 가능하도록 개발한다. 

   4) 연합뉴스의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 기능 외 추가로 신규 기능을 개발하여야 한다. 

    

○ 기타 사항 

  1) 프로그램은 향후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구조로 개발되고 Windows 계열 모든 OS와 호환 동작하여야 한다. 

  2) 위에서 나열한 내용은 중요한 사항만을 정리한 것으로 제안요청서에 기술되지 않은 프로그램 개발 상세 내용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회사와 별도 협의하여 진행한다. 

  3) 위에서 정의된 프로그램 기능은 개발 과정에서 변경 및 수정될 수 있으며 모든 프로그램 변경 및 수정은 양사가 상호 협의하여 진행하며 요구 시 소스코드도 함께 제공하여야 한다. 

  4)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신규 GPS 좌표나 GPS 위치조정 필요시 해당 GPS 좌푯값을 자체적으로 취득하여 개발에 반영하여야 한다. 

  5) 운영자가 이동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본사 열차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앱 버전으로 구현된 관제용 모바일 장비를 4대 제공해야 한다. 

  6) 모든 프로그램은 개발 과정 및 사업기간 중에 연합뉴스의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적극 반영하여 추가로 개발하여야 한다. 

  7) 로그서버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는 다양한 파일형식(엑셀, 워드, pdf 등)으로 추출되어야 하며, 각 항목별 보기쉽게 구분되어야 한다. 

  8) 코레일이 요청하는 기타 기능을 구현하여야 한다. 

1.5 KTX 15개 역사 통합전송시스템 개량 

   ○ 역사서버 

  1) 24시간 운영에도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여야 하며 19인치 통신 장착 가능한 서버급 이어야 한다. 

   2) MPEG2, MPEG4, Divx, Media-9 등 다양한 고화질의 영상재생을 지원하여야 한다. 

   3) 운영체제는 Windows server 2025 동급 및 이상이어야 한다.(라이선스 포함) 

  4) CPU는 안정적이고 품질이 우수한 제품으로 인텔 14세대 i7 2.1GHz, 12Core 이상이어야 한다. 

  5) 시스템 메모리 : DDR5 32G 이상  

   6) 저장장치   

    - 산업용 SATA-3 SSD 타입이며, 용량은 1TB 이상이어야 한다.(라이선스 포함) 

    - 디스크는 1(메인)+1(스페어) 이중화방식 및 RAID 방식의 자동백업 기능 구현  

   7) 그래픽카드  

    - 해상도 : 3,840*2,160(16:9) 이상     

    - 비디오 메모리 : 시스템 메모리 공유 지원 최소 1Gbyte 이상, 시스템 메모리를 공유하므로 메모리 속도 및 대역폭 향상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 PCI Express 2.0 이상 지원 모델 또는 메인보드 일체형 

  8) 대용량 콘텐츠를 배부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CPU, 메모리, I/O Port의 성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9) 외부에서 원격프로그램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설계하여야 한다. 

   10) 확장 Slot은 표준 PCI를 지원한다. 

   11) 입력전원은 AC 220V/110V(60Hz) 자동 전환 지원하며 이중화로 구성한다. 

   12) 모니터는 LCD 19인치 컬러 모니터 이상이어야 한다. 

   13) 장비 고장 시 교체할 예비장비를 확보하여야 한다. 

   

  ○ 역사 VPN Edge 장비 

 - 인입 전원은 AC 220V로 수용되고 이중화(Hot Swappable)가 지원될 수 있고 장비는 단일 설치 및 19"랙 실장이 가능하여야 하며 각 종 통신 및 전원 케이블 인입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 최소 4개의 10/100 Ethernet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Transparent mode, Route mode 등의 In-Line 구성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최대 4개의안존이 구성 가능해야 한다. 

 -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를 이용한 Active-Standby의 이중화 기법을 제공하고 ECMP(Equal Cost Multipath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최대 3개의 VPN 및 인터넷의 로드 발란싱이 가능하여야 한다. 

 -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서 Track-ip설정이 가능하고 하나의 장비에서 라우팅 구역을 분리할 수 있도록 Virtual Router 기능을 기본 3개 이상 지원해야 한다. 

- Dynamic Routing(OSPF, BGP,RIPv2), Static Routing 및 Source Based Routing 기능을 지원하여야 한다. 

 - VPN 연결방식은 Manual Key, IKE, PKI(X.509)를 모두 지원하고 Spoke & Hub방식의 VPN구성이 지원 가능하여야 한다. 

- 중앙 콘솔에서 산재된 VPN장비를 통합관리 할 수 있고 표준 VOIP 프로토콜 (SIP,H.323,MGCP,NAT for H.323/SIP)을 지원하여야 한다. 

 - 출발지/목적지 IP와 포트에 대한 필터링 기능과 NAT 기능, VPN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암호화 기능, 네트워크 및 서비스에 대한 그룹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 사용자의 TCP/UDP/ICMP 프로토콜별 임계치를 설정하는 기능과 임계치 이상의 세션이 발생하는 호스트에 대해서 탐지 및 대응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별 대역폭 제한이 가능하여야 한다. 

 - 3tier구조의 Management 기능을 제공하여야 하며, tier간의 통신은 암호화 되어야 한다. 

 - 최대 20개의 관리자 생성이 가능하여야 하며 최대 6개(network,host)의 접속자 제한 설정과 Configuration Rollback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 필터링한 결과에 대하여 저장 기능과 E-mail 등의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 칼럼과 필터 조건으로 침입 호스트, 피해 호스트, 공격 유형, 기간 등의 통계 산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 5가지 이상의 TOP report 기능을 제공하고 리포트와 로그에 대한 Customizing 이 가능하여야 한다. 

 - 방화벽 성능 100Mbps 이상/ 3DES VPN 성능 20Mbps 이상을 지원하여야 한다. 

 - 초당 연결 가능 최대 세션수는 4,000 이상이어야 한다. 

 - 최대 500개 이상의 보안정책을 제공 하여야 한다. 

 - 시스템을 통해 동시 접속 가능한 세션 수는 30,000 세션 이상을 지원 한다. 

 - 동시 VPN 연결을 위해 최대 125개의 터널을 지원 하여야 한다. 

 - VPN 터널을 위한 터널 인터페이스는 최대 25개 이상을 지원 하여야 하고 본사 VPN센터 장비와 호환되어야 한다. 

   

 ○ 역사 L3 SWITCH                                                   

  - 이 SWITCH는 역사서버, VPN Edge, 무선브리지의 특성에 맞는 인터페이스로 방송설비 간의 콘텐츠 전송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 이 SWITCH는 VLAN 기능을 지원하여 적절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여야 한다. 

  - 이 SWITCH는 관련 규격의 형식 등록을 필한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 이 SWITCH는 인접한 네트워크 간의 라우팅, ACL, 필터링 등의 기능을 지원하고  상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데 문제 없어야한다. 

  - 네트워크 표준(IEEE 802.3)을 사용하고 Ethernet은 10/100 Mbps를 지원한다. 

  - GBIG은 2 Port 이상, Ethernet Port(RJ-45)는 24 Port 이상 지원해야 한다. 

  - 기존의 Configuration을 수정하여 통신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 무선 AP 

  - 실외 설치용 장비를 사용하고 방진, 방풍, 방수 구조를 갖는다. 

  - IEEE 802.11a.b.g 이상의 국제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여야 한다. 

  - 2.4GHz ~ 5GHz 대역의 ISM밴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 안테나의 외장형 안테나 설치가 가능해야 한다. 

  - 장비의 설치 위치가 실외에 설치됨으로 동작온도 범위 -40℃ ~ 70℃를 지원하여야 한다. 

  - 옥외 이더넷 케이블 연결을 위한 방수 캡을 지원해야 한다. 

  - 주변 RF상황을 고려하여 간섭 없는 채널을 선택하는 자동 채널 선 기능을 지원해야 하고 채널 간 간섭 없이 동시 사용 가능한 채널을 4개 이상 제공하여야 한다. 

  - 출력 조절 기능을 지원하며 일정한 출력을 내야 한다. 

  - 무선 접속으로 펌웨어 업그레이드 및 환경 설정 기능을 지원해야 하고 환경 설정 변경 시 별도의 재부팅 없이 즉시 적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 이더넷 케이블을 통한 전원공급(POE) 기능을 지원하고 전원 공급 장로부터 100M 이내 떨어진 장소에 설치 가능하여야 한다. 

  - 25000V의 고압이 흐르는 전차선 주변에 설치하는 장비이므로 고압선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 데이터루핑 방지를 위하여 스패닝트리 프로토콜(STP)을 지원하여야 한다. 

  - 1:1 혹은 1:N 연결이 가능하여야 한다. 

  - 장비 관리 운영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GUI 접속 환경을 제공하야 하고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직접 접속이 가능하여야 한다. 

  - IP Address, MAC Address, Ethertype 등에 대한 Access List를 이용 하여 필터링 기능을 지원하여야 한다. 

  - AP 간 가시거리 통신 지원거리는 최소 3Km 이상을 지원하여야 한다. 

  - KTX 기준 2호차, 5호차, 11호차에 AP가 각각 설치되어야 하며, 기존 장비는 철거하고 미려하게 마무리 되어야 한다. 

  - AP가 설치된 3곳의 위치에서는 상행 및 하행 열차의 다운로드 속도는 최소1.5Mb/s 이상을 일정한 속도로 유지하여야 한다.    

  - 802.11s 표준을 지원하며, 상호간에 호환이 가능하여야한다. 

   - 무선장비는 Mesh 부분과 AP부분에서 802.11a,b,g를 지원하여야 한다. 

  - 802.11x, x509 보안 프로토콜을 지원하여야 한다. 

  - 무선 AP의 셋업 및 관리를 위한 Web 접속 시 보안을 위한 https 옵기능을 지원 하여야한다. 

  - 현재 운행 중인 KTX 고속열차내 영상방송 시스템의 차량 무선안테나 및 영상서버와 통신 호환성을 확보하여 콘텐츠 전송에 아무런 문제가 없어야 한다. 

   - 장비 고장 시 교체할 예비장비를 확보하여야 한다. 

  

 ○ 광컨버터 

   - 역사서버 및 AP설치장소에는 광컨버터를 설치하여 광ㆍ전, 전ㆍ광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하여야 한다. 

   - 역사서버의 광컨버터는 19" Rack에 설치하고, AP의 광컨버터는 광단자함ㆍAP와 함께 풀박스 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 광컨버터는 DC용 아답터를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 무선 안테나 

 - 지향성 안테나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설치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향성과 무지향성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 외장형 안테나 이득은 12dB 이상이어야 한다. 

 - 지향성 안테나 방사각도는 센터측인(통신실에서 메인AP) 경우 60도 이상 원격지인(2호차,5호차,11호차에서 열차안테나까지의 각도)경우 18도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 

 - 무지향성 안테나 방사 각도는 360도를 지원해야 한다. 

 - 옥외에 설치하는 안테나이므로 바람과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 낙뇌등으로부터 AP를 보호하기 위하여 어레스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 외벽에 고정하는 안테나 지지대는 안테나의 무게와 외부 영향에 의한 흔들림이 없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 외부 영향으로 인해 지지대가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 장비 고장 시 교체할 예비장비를 확보하여야 한다. 

 

 

○ 랙 설치  

  역사 통신실에 설치되는 19"RACK은 기존 환경을 충분히 파악하여 동일 규격의 제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 기타장비(함체) 

- 항온항습 기능을 보유한 함체를 사용하여 외부 온도 변화와 기후 변화로부터 관련 장비를 보호해야 한다. 

- 온도센서, 히터, 환풍용 팬 등이 설치되어 장비 동작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하고 전원차단기를 제공하여 이상 전압으로부터 장비를 보해해야 한다. 

- 외부 잠금장치를 지원하여 장비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 외부 영향으로 인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 고압이 흐르는 철로 변에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 장비 고장 시 교체할 예비장비를 확보하여야 한다. 

 

○ 무선랜 시스템 설치 시 요구사항 

 - 무선 장비는 열차 내 방송시스템에 콘텐츠 업데이트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각 역사와 차량기지에 설치함. 

 - 지향성 안테나는 상하행선 선로 방향으로 향하게 설치하여 최대한 속도가 빨리 나오도록 IEEE 802.11a 접속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 시 IEEE 802.11b.g를 사용하여 무선 접속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 

 - 무지향성 안테나는 승강장 열차에 무선랜 접속 환경을 지원해야 한다. 

 - 무선장비와 연결하는 부속품들은 본체와 동일 업체의 부속품을 사용하되 열차나 역사 특성을 고려할 때 위 부속품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동등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 차량기지는 열차가 운행하기 전에 대부분의 콘텐츠를 업데이트 받아 출고되어야 하므로 검수고와 차량기지 내 선로 어느 곳에서든 무선랜 접 환경이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 신규 설치(청량리) 

 - 역사서버, 통신장비, VPN 장비, 무선 AP 등은 다른 역사와 동일한 기준으로 설치하고 신규 설치 역의 경우 광케이블도 설치한다. 

 

○ 기존 장비 철거 

  - 개량되는 15개 역사 외 17개 역사의 역사서버, AP 등은 코레일이 재사용 계획이 없으면 철거해야 하며, 철거 후 잔여물 등이 남지 않도록 미려하게 마감처리 하여야 한다. 

  - 17개 역사는 광명, 천안아산, 대전, 동대구, 밀양, 김천구미, 경주, 울산, 오송, 서대전, 논산, 익산, 정읍, 광주, 전주, 남원, 순천이다. 

 

1.6 개량 일반사항 

 1) KTX 영상방송시스템 개량은 양사 계약 체결 후 공인인증기관 시험용 장비개발(6개월), KOLAS인정 공인시험기관 시험 및 코레일 제작승인(6개월, 국토교통부, 철도기술연구원, 코레일에서 요구하는 승인항목 등 전체 포함), KTX 본선시험 운행(1개월)을 진행하고, 완제품을(6개월) 생산하여 본 개량을 시작하며, 주당 1편성을 개량하여 완료한다.(단, 코레일과 연합뉴스 여건에 따라 개량일정은 변동될 수 있음) 

 2) 무상유지보수는 2031년 12월 31일까지이며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다. 

   - 하드웨어는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시스템 개량설비 및 그 외 제안요청서에 제안된 장비 일체를 포함한다.  

   - 무상유지보수가 끝나면 개량된 장비(예비품 및 예비부속품 포함)들은 정상 작동되도록 인수인계하여야 하며, 개발납품한 소프트웨어 소유권은 연합뉴스에 있으며 기능 개선을 위해 수정, 보완해 사용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은 KTX 영상방송시스템 운영프로그램, 본사 열차모니터링 시스템, 본사 및 단말 KTX긴급공지 프로그램 일체를 포함하며 무상유지보수 기간 동안 발생하는 수정 및 신규개발 업무를 포함한다. 

   - 무상유지보수가 끝나면 프로그램 소스코드 일체를 함께 제공하여야 한다. 

 3) 본 계약의 이행을 보증하기 위하여 이행보증보험증권 또는 금융기관이 발행한 지급 보증서를 양사 계약 체결일로부터 2개월 내로 총 계약금액의 10%를 제출하여야 한다. 

 4) 무상유지보수를 보증하기 위하여 이행보증보험증권 또는 금융기관이 발행한 지급 보증서를 영상방송시스템 개량완료일로부터 2개월 내로 총 계약금액의 5%를 제출하여야 한다. 

 5) 제안사는 고속열차(KTX, KTX-원강) 영상방송 개량 제안사업 요청서의 모든 항목을 만족하여야 하며, 사업 기간까지 위 사항을 수행하지 못하면 연합뉴스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으며 관련 비용을 손해배상 청구할 수 있다. 

 6) 개량하는 부분별 사항보다 우수성 및 편의성이 보장되는 최신의 기술력이 포함된 장비 및 프로그램이 있으면 자유롭게 제안 가능 

 7) 부품간 공간은 유지 보수가 편리한 구조여야 하며 표본(Sample) 작업 후 기능상에 문제가 없을 시 양산에 반영하고 형상, 색상 및 각 부품의 위치 등은 연합뉴스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8) 방송실 내 DC 72V DC/DC 14포트 전원분배장치를 설치하여 각 장치로 DC 72V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제작하며, 입력되는 전원의 상태를 LED창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9) 차량이 설계속도(320km/h)로 운행 시에도 진동으로 인한 방송장치 기능에 문제가 없어야 하며 설계 시 이에 대한 대책을 제안한다. 

 10) 전선결선용 터미널은 신뢰성 있는 제품(KS인증품)을 사용하고 차량과의 인터페이스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인출구는 사전에 연합뉴스와 협의한다. 

 11) 장치 내 전선은 차량용 전선과 동일한 전선 또는 동급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철도기술연구원, 국토교통부 및 코레일에 사전승인을 얻는다. 

 12) 제품에 적용된 UNIT 및 부속품들은 향후 10년간 구매 및 공급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이 기간에 대체품들을 적용할 경우 동일 이상의 성능 및 취부 호환성이 있는 제품을 생산하여야 한다. 

 13) 영상방송설비는 방열, 방음, 절연 및 진동 등에 대한 대책을 완벽하게 고려하고 소음발생 장치는 소음저감 대책을 마련한다. 

 14) 케이블 및 연합뉴스에서 지정한 재료 등은 난연 제품을 사용하여 제작함을 원칙으로 하며 코레일에서 요구하는 시험성적서를 제출하되 부득이 구조 및 기능상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연합뉴스에 사전 승인을 얻는다. 

 15) 철거 시 문제 발생 여지가 있을 때 감독자의 사전 승인을 얻은 후 작업을 시행하고 사전 협의가 안 된 사유로 설치와 철거 진행 시 모든 문제는 제안사에 책임이 있다. 

 16) 개조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은 재활용품과 폐기품으로 분류하고 폐기물 및 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은 계약자 부담으로 적법하게 폐기 처리하며 재취부되지 않은 부품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은 상호 협의하여 처리한다. 

 17) 작업 시 주변 환경 정리를 철저히 하며, 기존 배선 손상 및 실내 부속 장비(의자, 팔걸이, 선반 등)의 파손에 주의하며 파손 시 원상 복구한다. 

 18) 결선된 배선은 주행 진동에 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박되어야 하며, 모든 장비는 풀림 방지용 너트를 사용해야 한다. 

 19) 장비 및 케이블 끝단에 정확한 네임 태그를 부착하여 연결 및 유지보수를 쉽게 하여야 한다. 

 20) 영상방송설비는 기존에 설치된 주변장치들과 연결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주변장치의 기능에도 이상이 없어야 한다. 

 21) 방송실은 19"랙타입 형태로 각각의 장치들을 슬롯 타입으로 제작하며 기존 방송장치를 철거하고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22) 모든 장비는 탈부착이 쉬워야 하고, 기존에 사용 중인 모든 케이블은 서버 뒤쪽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케이블은 최대한 간단히 연결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23) 설치 시 필요한 소모성 자재는 제안사에서 일괄 공급 등 모든 제반 업무를 수행한다.  

 24) 이 설명서에 명시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방송장치의 설치에 수반되는 일반적인 자재(케이블, 단자, 기타 등)확보와 설치 작업은 제안사의 비용으로 부담한다. 

 25) 개량기간 중에 제안요청서에 기재되지 않는 사항의 장비 및 기타 설비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안사의 비용으로 부담한다. 

 26) 개량 장소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행신), 호남철도차량정비단(광주소재), 부산철도차량정비단(부산소재) 또는 기타 지역에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비용은 제안사가 부담한다. 

 27) 고속차량 운행 여건 변화에 따른 본 개량 소요 기간 변동으로 발생하는 비용은 제안사가 부담한다. 

 28) 개량 기간에는 관련 설비와 현장대리인 및 설치, 시험인력을 개량 일정에 맞게 상주시켜야 한다. 

 29) 납품되는 모든 장비는 역극성 보호 회로를 적용하여 DC 전원 극성이 바뀌어도 장비를 보호 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30) KTX 46편성 일반실 객실 내 좌석에 부착된 무선이어폰 장치는 탈거해야 하며, 탈거 후 잔여물 등이 남지 않도록 미려하게 마감처리 하여야 한다. 

 

Ⅲ. 일반적인 기술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본 설명서는 코레일 고속차량의 영상방송장치에 대한 설계, 제작, 시험검사, 시험운전, 납품, 품질관리와 사후관리 등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적용 규격 

 1) 부품의 제작에 사용하는 재료는 차량에 실용되고 있는 KS, KRS, KRCS BS, NF JIS, JRS, AAR, UIC 및 IEC 등에 규정되어 있는 것과 동등 이상이어야 한다. 

 2) 규격적용의 순위는 KS, KRS, KRCS, 국제규격, 기타 규격 순으로 하되 화재방지 관련 시험규격은 국제규격을 우선 적용할 수 있다. 

 3) 모든 개량설비는 코레일의 고속열차에 적용되는 프로세스 및 기준(철도안전법 및 내ㆍ외부 안전성 검증 포함)을 따라야 하고 코레일의 승인에 따라 진행한다. 

  

1.3 이의의 해석 

  본 설명서상에 기술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불명확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하여 제안사는 계약 전에 연합뉴스의 해석 및 의견을 확인하여야 하며 계약 후에는 연합뉴스의 해석을 우선으로 한다. 

  

1.4 제안사의 책무 

  1) 부품의 설계, 제작, 납품 등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이 있으며 모든 부품은 정상 동작상태에서 파손이나 변형 없이 충분한 강도와 성능을 갖도록 보증하여야 하고, 유지보수가 원활히 유지될 수 있도록 장기간 생산,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2) 부품을 제작하면서 필요한 부분의 누락 또는 생략되었을 경우 제안사는 이를 무상으로 보완하여야 한다. 

  3) 제안사는 부품 제작에 있어 필요한 경우 연구기관 및 기술업체의 자문을 받아 예상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며, 문제 발생 시 무상으로 보완하여야 한다. 

  4) 제안사는 영상방송설비 납품 후 사후 관리계획, 비축 자재 등 전반적인 사후 관리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5) 운용 중인 고속차량과의 호환성을 최대한 고려, 표준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6) 도면 승인, 제작감독 및 검사, 시험 등에 합격 되었다 하더라도 설계, 제작 등의 근본적인 결함이 인정될 때는 하자 기간이 경과 되었다 하더라도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7) 제안사가 이미 승인된 설계 내용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에는 그 사유를 변경 전에 연합뉴스의 승인을 받아 변경할 수 있으며 승인을 받지 않은 변경은 인정되지 않는다.  

  8) 제안사가 본 설명서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변경 전보다 월등히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객관적인 자료를 첨부하여 연합뉴스의 승인을 받아야 대안으로 변경될 수 있다. 

  9) 국내․외 고속차량에 설치되어 신뢰성이 입증된 제품을 생산한 제작자에 의해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10) 부품공급자 및 제작자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때 부품, 구성품 제작자 및 공급자의 자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1.5 특허 및 실용신안 

  1) 연합뉴스는 본 사업의 계약으로 납품된 영상방송설비와 관련 프로그램 모두 특허 및 실용신안 등을 유지보수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2) 제안사는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의 사용으로 인한 제3자와의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모든 책임을 지며 제안사의 부담으로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 

  

1.6 도면 및 자료 승인 

  1) 제안사는 해당 제품 제작에 필요한 다음의 도면 및 자료를(관련 자료가 수록된 USB 1매 포함) 작성하여 국토교통부 및 코레일의 승인을 직접 받아야 하며, 코레일의 요구 등 필요에 따라 도면 및 자료를 수정하였을 경우 제안사는 최종 도면 및 자료를(관련자료가 수록된 USB 1매 포함) 재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제출 자료 

    - 부품기술사양서, 구성부품 목록 및 설명서 

    - 양산품에 대한 제작공정 및 시험, 검사 계획서 

    - 형식, 전수시험 수행 계획서 

    - 예비품, 특수공구 및 시험기기 

    - 신뢰성 등에 관한 활동 계획서 

    - 기타 연합뉴스와 코레일이 요구하는 자료 등 

 

1.7 설계도서 승인 후 변경 

  1) 연합뉴스는 설계도면 승인 후라도 필요한 경우 경미한 사항의 변경을 제안사에 요구할 수 있으며 중요한 사항의 변경은 양자 협의에 의한다. 

  2) 제안사가 승인받은 설계 도면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그 사유와 근거를 제시하여 승인받아야 한다. 

  3) 제안사 요구에 의한 설계변경 내용은 제안사 비용으로 부담하며 이에 따른 제작 공정 지연 등으로 납품 기한 연장 사유로 인정하지 않는다. 

  4) 변경된 모든 내용은 납품 시 제출할 자료에 반영되어야 한다.  

1.8 제품 납품 시 제출 자료 

  제안사는 제품 납품 시 다음의 자료를 제출한다. (단, 아래 항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부품별 도면문서 및 준공도(관련 도면이 수록된 USB 1매) 

  - 운영 및 정비지침서 (단계1~단계4) 

  - 시험 및 검사성적서 

  - 제작공정 사진 (주요 공정별, 부품별 사진) 

  - 부품 카탈로그, 주요부품 명칭도감, 부품 목록(재고번호, 규격 및 형식을 기재한 도면 포함) 

  - 기타 연합뉴스가 요구하는 자료 등 

 

2. 공통 사항 

2.1 제품 제작 규격 

 1) 적용 규격 

  - 정격 전압으로 3분간 동작, 3분간 정지의 반복 동작을 24시간 시행하였을 때 이상이 없도록 개발한다. 

  - 방습, 방수, 방진이 되고, 내구성 및 내식성이 뛰어난 제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 차상에 설치되는 장치는 -40℃~+70℃ 상태에서 운영 시 시스템의 정상동작 및 기능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2) 모든 장치의 전원부에는 써지억제 회로 등 외부 영향으로부터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보호 장치를 마련하여 장착하며 제안서 내용에 관련 기술을 설명한다. 또한 모든 장치의 입력 전원부는 역전압(극성) 보호회로가 적용되어야 한다. 

  3) 외부함체는 분체 도장 또는 표면처리를 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하고, 표면은 요철이나 도료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미려하게 한다. 

  4) 내부 기기는 점검 및 보수가 쉽도록 UNIT 별로 분리가 가능하여야 하며, 배선은 늘어지거나 중간 결선이 없도록 정돈되어야 한다. 

  5) 외부에서 먼지 및 오물이 침입되지 않도록 직경 5㎜ 이상의 통풍구는 방진 Filter를 부착한다. 

  6) 각 부품은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2.2 시험 및 검사 

  1) 제안사는 시험항목, 시험내용, 시험일정, 시험장소, 시험장비 합격기준 등이 포함된 상세 시험절차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연합뉴스와 협의 후 승인된 절차에 의해 시험을 시행한다. 시험 항목은 다음과 같다. 

순번 

시험 항목 

적용 여부 

형식시험 

전수시험 

1 

외관 구조 검사 

 

 

2 

치수 검사 

 

 

3 

절연저항 시험 

 

 

4 

내전압 시험 

 

 

5 

접지 시험 

 

 

6 

전원 변동 시험 

 

 

7 

성능 시험 

 

 

8 

전자파 적합성 시험 

 

 

9 

온도 시험 

 

 

10 

진동 및 충격 시험 

 

 

11 

연속 통전 시험 

 

 

 

 

  2) 제품은 본 구매사양서 및 부품기술사양서의 시험 및 검사 사양에 따라 작성되어 승인된 형식 / 전수 시험사양서에 따라 시험 및 검사를 받아야 한다. 

  3) 제작 완성된 제품은 납품 전에 연합뉴스의 검사를 받아야 하며, 연합뉴스는 승인된 도면 및 제작사양서와 일치하지 않거나 결함 부분이 내포된 제품의 인수를 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제안사는 조속한 시일 내 수정, 보완 또는 교체작업 완료한 후 재검사를 요청하여야 한다. 

  4) 시험 항목은 기본적으로 기능시험, 외관검사, 치수검사 등을 포함하며 시험성적서 원본 1부를 시험 시행 후 10주 내 제출해야 한다. 

  5) 계약자는 고속열차(KTX, KTX-원강) 철도차량 용품의 표준화에 필요한 철도차량 도면 및 기술 자료에 의하여 개량에 필요한 상세도면, 부품설명서, 시험 및 검사기준서를 제출하여 국토교통부 및 코레일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6) 연합뉴스는 도면 승인 등과 관련하여 제안사에 관련 자료를 요구할 수 있으며, 제안사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7) 제안사는 해당 제품의 검사와 시험을 위하여 제작사양서와 시험계획서(시험사양서 포함)를 제출하여 국토교통부와 코레일의 승인을 직접 받아야 하며, 시험 및 검사를 실시 후 시험 결과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8) 제안사는 해당 제품의 진동시험은 KSR 9144(철도차량 부품의 진동시험 방법)의 1종B, 2종B, 5종B 및 6종B 또는 동등 이상의 진동시험 방법에 따르되 고속열차 운행 시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여야 한다. 

  9) 제안사는 해당 제품의 환경시험은 KSR 9156 또는 동등 이상의 환경시험 방법 등에 의한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여야 한다. 

  10) 그 외 특별히 수요처 지정기관에 의해 요구된 시험이 있을 때 해당 시험을 시행해야 한다. 

  11) 시제품 시험 실패 시 재시험에 대한 제반 비용은 제안사가 부담한다. 

  12) 여건상 현차 시험이 어려운 경우 제작사가 제출하는 공인기관의 시험성적서로 갈음할 수 있다. 

  13) 1편성분에 대한 개량(개발) 시제품을 현차에 시범 설치하여 각종 시험절차에 의한 사전평가 후 지적사항 등을 보완하여 양산 작업에 착수하여야 한다. 

  14) 공인인증기관 시험규격은 코레일이 요구하는 최신 규격으로 시험하여야 한다. 

  15) 기타 연합뉴스가 요구하는 시험성적서 등 

 

3. 품질보증 

  1) 무상유지보수는 2031년 12월 31일까지이며,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다. 

   - 하드웨어는 열차 영상방송시스템 개량설비 및 그 외 제안요청서에 제안된 장비 일체를 포함한다.  

   - 무상유지보수가 끝나면 개량된 장비(예비품 및 예비 부속품 포함) 들은 정상 작동되도록 인수인계하여야 한다. 

   - 프로그램은 본사 열차모니터링 시스템 프로그램(로그서버, 원격제어 프로그램, 웹브라우저 등), 본사 및 단말 SRT 긴급공지프로그램, 영상방송 운영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일체를 포함하며 무상유지보수 기간 동안 발생하는 신규 개발 및 수정개발 업무를 포함한다. 

   - 무상유지보수가 끝나면 프로그램 소스코드 일체를 함께 제공하여야 한다.  

   - 장비 수리는 제조사 입고 후 일주일 내에 수리되어 연합뉴스가 지정하는 장소에 발송해야 한다. 

   - 수리할 수 없는 제품은 신품으로 교환하여 일주일 내에 연합뉴스가 지정하는 장소에 발송하여야 한다. 

  2) 영상방송시스템 일체 및 구성부품, 소프트웨어 등의 결함으로 발생한 모든 결함에 대해서도 수정 또는 배상하여야 한다. 

  3) 결함 발생이 제안사의 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 명백한 경우(사용자 취급 부주의, 우발적인 사고, 천재지변, 유지보수 결함) 하자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때 제안사는 제안사의 귀책이 아님을 입증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발생하는 비용 또한 부담 한다. 

  4) 같은 장애가 한 달 평균 30회 연속적으로 발생할 때 이 또한 하자로 보고 이를 위해 발생하는 비용 또한 제안사가 부담한다. 

  5) 또한 같은 장애가 3개월 이상 해결되지 않을 때 기존에 설치된 설비로 2개월 이내에 원상복구 하며, 1개월 이내에 총 계약금액의 두 배로 즉시 배상한다. 

  6) 공급품 최종 인수 후 무상하자기간 종료 이후라도 설계, 제작 등의 근본적인 결함인 경우에는 하자 기간이 지났다 하더라도 제안사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7) 저사양 납품 제품으로 인해 장비의 동작상태 및 프로그램 구현이 되지 않을 때 이 또한 하자로 보고 해당 제품 제안사는 무상으로 수정, 보완하여야 한다. 

  8) 해당 제품에 요구되는 모든 기능이 연합뉴스 및 제품 제안사와의 협의에 의해 결정되어 수요처 승인에 따라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영업 운행 및 검사 시 안전성, 운용성 및 유지보수성 측면에서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되거나 운영상 해당 제품의 사용 목적 달성에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제품 제안사는 무상으로 수정 보완하여야 한다. 

  9) 납품 완료 후 운행 중 발생하는 불량으로 개조되는 사항에 대해 연합뉴스에 사전 보고하고, 즉시 관련도면 및 자료를 도면 승인 후 변경 절차에 의거 제출하여야 한다. 

  10) 소프트웨어 기반 장치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는 논리적으로 코딩 충분한 문서화, 충분한 검토활동 및 시험활동 등을 통한 고품질의 소프트웨어가 납품되도록 해야 하며 소스코드도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11) 계약자는 계약 후 90일 이내에 소프트웨어 검증(Verification) 및 입증(Validation) 계획(SVVP) 및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이 포함된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계획서에는 다음의 필수 정보가 기재되어야 한다. 

    - 조직도 및 업무별 권한 및 책임,  소프트웨어 구성 / 제출물 

    -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및 각 활동별 Input/Output 및 활동별 일정 

    - 소프트웨어 적용 규격(코딩규격, 설계규격, 시험규격, 검증/확인규격 등) 

    - 소프트웨어 검증 및 확인 

    - 소프트웨어 시험 및 형상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Tools, 협력업체 관리(Supplier Control) 

    - 기타 연합뉴스가 요구하는 자료 등 

 

4. 유지보수 

 4.1 예비품 

  1) 제안사는 마지막 편성 설치 완료 이후 10년 동안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 및 기존 설치 장비와 호환성이 있는 예비품을 판매ㆍ수리하여야 하며 이를 수행하지 못하여 발생한 영업 손실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진다.  

  2) 동일한 부품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제안사는 동일 성능 이상의 공인인증된 부품을 제공해야 한다. 

  3) 예비 부속품은 부속품 단종을 대비해 아래와 같이 제공헤야 한다 

부속품 

수량 

예산 

방송서버 저장장치 (SSD) 

80개 

영상서버 부분에 합산(SSD 브래킷 포함) 

비디오 카드 

40개 

영상서버 부분에 합산 

GPS 카드 

40개 

영상서버 부분에 합산 

내장형 무선랜카드 

20개 

영상서버 부분에 합산 

29.4인치 이상 와이드 패널  

400개 

객실모니터 부분에 합산 

19인치 이상 와이드 패널 

10개 

객실모니터 부분에 합산 

각종 모니터 백플랜 부품 

200개 

객실모니터 부분에 합산(AD보드, 케이블류 등) 

객실모니터 브래킷 (양면형) 

4개 

객실모니터 부분에 합산 

객실모니터 브래킷 (단면형) 

4개 

객실모니터 부분에 합산 


 

 

 4.2 유지보수 매뉴얼 

  1) 유지보수 매뉴얼은 각 시스템의 개별부품에 대하여 작성함으로써 모든 차량의 시스템이 최적의 상태로 운영되고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매뉴얼에는 공급품의 안전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 관련 주의사항 특별유지보수절차, 경고문 또는 기타 필요한 정보를 기술하여야 한다.  

  3) 유지보수 매뉴얼은 고장 시의 장애처리 대책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여야 한다. 

  4) 매뉴얼은 시스템 운용매뉴얼에 있는 정보사항을 다뤄야 하고 운용 중 보수에 알맞은 장애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계통도와 블록다이어그램을 수록하여야 한다. 

  5) 단계1~단계3 매뉴얼은 연합뉴스 및 코레일 유지보수 요원이 효율적으로 검사 조정, 장애조치, 보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6) 매뉴얼에는 프로그램 기능, 시스템 구조도 및 흐름도, 정보 흐름도와 정보용어집이 수록되어야 하고, 프로그램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자료를 기술하여야 한다.  

[서식 1호] 

입찰 참가 신청서 

신 청 인 

업 체 명 

 

사 업 자 

등록번호 

 

주    소 

 

대 표 자 

 

전화번호 

 

입찰건명 

고속열차(KTX, KTX-원강)영상방송시스템 개량사업 용역 

          당 업체는 연합뉴스의 고속열차(KTX, KTX-원강)영상방송시스템 개량사업 용역 입찰에 참여하고자 귀사가 정한 사업자 선정 방식 및 공고사항을 모두 승낙하고 붙임서류를 첨부하여 참가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붙임서류  

1. 

2. 

3. 

4. 

5. 

6. 

 

 

2025년   10월    일 

 

 

업 체 명  :                   대표 :            (법인 인감 날인) 

 

 

연합뉴스 귀중 

 

[서식 2호] 

가격 제안서 

단위 : 백만 원 (부가세 별도) 

구분 

설 비 

수량 

가격 

비고 

KTX 

방송실 설비 

51Set 

 

 

객실 

설비 

통합분배기 

 4채널, 차간/신호/전원 분배, 일반실 

658 

 

FULL HD급, AGC 구현 

 6채널, 특실(2~5호차) 

203 

 

4채널, 일반실, 앰프내장(8호차) 

55 

 

객실모니터 

29.4인치, 양면브라켓 

1,820 

 

양면형 모니터  

29.4인치, 단면브라켓 

405 

 

단면형 모니터 

29.4인치, 단면브라켓 

5 

 

단면형 모니터 

KTX-원강 

방송실 설비 

16Set 

 

 

객실 

설비 

통합분배기 

 4채널, 차간/신호/전원 분배, 일반실 

108 

 

 FULL HD급, AGC 구현 

 8채널, 특실(3호차) 

16 

 

객실모니터 

29.4인치, 양면브라켓 

124 

 

양면형 모니터  

29.4인치, 단면브라켓 

247 

 

단면형 모니터 

19인치, 단면브라켓 

81 

 

단부형 모니터 

통합전송 

시스템 

역사서버 

15 

 

 

L3 스위치 

15 

VPN 

15 

AP 

56 

광컨버터 

112 

프로그램 

영상방송프로그램 개발 

1식 

 

본사 프로그램 및 본사서버 개발 비용  

공인인증 

시험 

제반 시험 비용, 

시료 제작비용 등 

1식 

 

국토부, 코레일, 철도기술연구원 등 승인 비용 포함 

설치 

공사 

 차량 내 설치, 시험, 시운전 / 역사 무선망 최적화 / 기존장비 철거 및 폐기물처리 / 현장운영비 등  

1식 

 

기타 부대 비용 및 KTX 천장 개량 비용 포함 

최종제안가 

  

*부가세 별도 

 

2025년   10월    일 

 

업 체 명  :                    대표 :            (인) 

※ 별첨 1) 

KTX 개량 수량 

구 분 

설 비 

규 격 

수량 

비 고 

설치 

예비 

 

방송실 

설비 

영상서버 

산업용 

    46  

    5   

51 

FULL HD급  

HD 모듈레이터 

산업용 

    46  

   5   

51 

FULL HD급
2분배 RF 송출 

메인 컨트롤러 

산업용 

46 

5 

51 

영상/음원 송출 

무선안테나 

GPS, WIFI 겸용  

46 

5 

51 

산업용 

방송실모니터 

 15" Panel 터치  

   46 

   5   

51 

브래킷 포함 

객실설비 

통합분배기 

 4채널, 차간/신호/전원 분배, 일반실 

598 

60 

658 

 FULL HD급 AGC 구현 

 6채널, 특실(2~5호차) 

184 

19 

203 

4채널, 일반실, 앰프내장(8호차) 

46 

5 

55 

객실모니터 

  

29.4인치, 양면브라켓 

1,656 

166 

1,822 

양면형 모니터 (예비는 브라켓 제외) 

29.4인치, 단면브라켓 

368 

37 

405 

단면형 모니터 

(예비는 브라켓 제외) 

29.4인치, 단면브라켓 

4 

1 

5 

단면형 모니터 

(예비는 브라켓 제외)  

프로그램 

 KTX 영상방송프로그램  

기존 프로그램과 호환성 유지 

   1식  

    -  

   1식  

본사 프로그램 최적화 비용 

공인 

인증시험 

제반 시험비 / 

시료 제작 등 

 진동시험 외 11종 

   1식  

     -  

   1식  

추가 요청 시 별도시행 

설치공사 

설치 / 시험 / 시운전 / 현장운영 / 기존장비 철거 및 폐기물처리 등 

32편성 개량 

   1식  

     -  

   1식  

 

 

 

 

※ 별첨 2) 

KTX-원강 개량 수량 

구 분 

설 비 

규 격 

수량 

비 고 

설치 

예비 

 

방송실 

설비 

영상서버 

산업용 

    14  

    2   

16 

FULL HD급  

HD 모듈레이터 

산업용 

    14  

   2   

16 

FULL HD급
2분배 RF 송출 

오디오전송장치 

산업용 

14 

2 

16 

영상/음원 송출 

무선안테나 

GPS, WIFI 겸용  

14 

2 

16 

산업용 

방송실모니터 

 15" Panel 터치  

   14 

   2   

16 

브래킷 포함 

객실설비 

통합분배기 

 4채널, 차간/신호/전원 분배, 일반실 

98 

10 

108 

 FULL HD급 AGC 구현 

 8채널, 특실(3호차) 

14 

2 

16 

객실모니터 

29.4인치 이상, 양면브라켓 

112 

12 

124 

양면형 모니터 (예비는 브라켓 제외)  

29.4인치 이상, 단면브라켓 

224 

23 

247 

단면형 모니터 (예비는 브라켓 제외) 

19인치 이상, 단면브라켓 

56 

6 

81 

단부형 모니터 (예비는 브라켓 제외) 

프로그램 

 KTX 영상방송프로그램  

기존 프로그램과 호환성 유지 

   1식  

    -  

   1식  

본사 프로그램 최적화 비용 

공인 

인증시험 

제반 시험비 / 

시료 제작 등 

 진동시험 외 11종 

   1식  

     -  

   1식  

추가 요청 시 별도시행 

설치공사 

설치 / 시험 / 시운전 / 현장운영 / 기존장비 철거 및 폐기물처리 등 

32편성 개량 

   1식  

     -  

   1식  

 

 

 

 

※ 별첨 3) 통합전송시스템 개량 및 신규 설치 장비 내역(15개 역사)  

순번 

역사명  

역사서버 

L3  

VPN 

AP 

UPS 

광 컨버터 

비고 

1 

서울 

1 

1 

1 

5 

1 

10 

 

2 

고양기지 

1 

1 

1 

7 

1 

14 

청소동 포함 

3 

행신 

1 

1 

1 

3 

1 

6 

 

4 

용산 

1 

1 

1 

5 

1 

10 

 

5 

부산 

1 

1 

1 

4 

1 

8 

 

6 

가야기지 

1 

1 

1 

4 

1 

8 

 

7 

포항 

1 

1 

1 

3 

1 

6 

 

8 

마산 

1 

1 

1 

3 

1 

6 

 

9 

진주 

1 

1 

1 

3 

1 

6 

 

10 

광주송정 

1 

1 

1 

5 

1 

10 

 

11 

광주기지 

1 

1 

1 

1 

1 

2 

 

12 

목포 

1 

1 

1 

4 

1 

8 

 

13 

여수엑스포 

1 

1 

1 

4 

1 

8 

 

14 

청량리 

1 

1 

1 

4 

1 

8 

신규 설치 

15 

강릉 

1 

1 

1 

1 

1 

2 

 

 

 

15 

15 

15 

56 

15 

112 

 

 

 

 

 

 

 

 

 

 

 

 

 

※ 별첨 4) 개량 대상 장비  

KTX 방송실 

KTX-원강 방송실 

 

 

KTX 단면형 모니터 

KTX-원강 단면형 모니터 

 

 

KTX 양면형 모니터 

KTX-원강 양면형 모니터 

 

 

KTX 분배기 

KTX-원강 분배기 

 

 

 

KTX-원강 특실 단부형 모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