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정보 > 입찰공고 현황 > 용역
1. 공고일반 ※ 회원가입 후 시그니처 입찰시스템을 활용해보세요!
공고번호 R25BK01025413-001 공고일시  2025/09/08 09:34
공고명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용역
공고기관 강원대학교 수요기관 강원대학교
공고담당자 서지영(☎: 033-250-7166) 과업설명 제한여부
입찰방식 전자입찰 계약방법 제한경쟁
용역구분 국제입찰구분  
 
2. 입찰일시
입찰개시일시 2025/09/08 10:00 과업설명일시
공동협정서마감일시 2025/09/10 18:00  PQ신청서 신청기한
참가신청 신청기한    
입찰(투찰)마감일시 2025/09/11 18:00 개찰(입찰)일시 2025/09/11 19:00
 
3. 입찰금액
기초금액
비공개
   
배정예산
798,000,000 원
   
추정가격
725,454,545 원
낙찰하한율
-
 
4. 입찰공고서 원문
 

 

제 안 요 청 서 

 

 

사 업 명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주관기관 

강원대학교 

 

 

 

 

2025 

 

 

 

 

담당 

강원대학교 교육혁신본부 

은동진 

goto95@kangwon.ac.kr 

033-250-7161 

 

 

 

 

 

그림입니다.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개요                                                                                5 

2. 사업 배경 및 목적                                                                  5 

3. 사업 범위                                                                           5 

4. 기대 효과                                                                           6 

5. 사업 기간                                                                           6 

6. 사업 추진 체계                                                                     7 

    가. 추진 체계                                                                       7 

    나. 조직별 역할                                                                     7 

 

Ⅱ. 제안 요청 내용                                                                       8 

1. 일반 사항                                                                           8 

2. 주요 사항                                                                           8 

3. 요구사항 목록                                                                      9 

    가. 요구사항 총괄표                                                                9 

    나. 요구사항 목록표                                                                9 

4. 요구사항별 세부내용                                                               15 

    가. 시스템 장비구성 요구사항                                                     15 

    나. 기능 요구사항                                                                 17 

    다. 성능 요구사항                                                                 49 

    라.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50 

    마. 데이터 요구사항                                                               51 

    바. 테스트 요구사항                                                               53 

    사. 보안 요구사항                                                                 53 

    아. 품질 요구사항                                                                 57 

    차. 프로젝트 관리 요구사항                                                       60 

    카. 프로젝트 지원 요구사항                                                       63 

 

Ⅲ. 과업수행 지침                                                                       65 

1. 과업수행 일반지침                                                                 65 

2. 과업내용 확정 심의 여부                                                          66 

3. 과업수행 보고                                                                     66 

4. 연구용역 성과물 제출                                                              67 

5. 보안대책                                                                           67 

6. 연구 개발진의 구성 및 운영                                                      68 

7. 개발(연구)용역 수행 관련 일반사항                                                68 

 

Ⅳ. 입찰 관련 사항 안내                                                                70 

1. 입찰 방식                                                                          70 

2. 입찰 참가 자격                                                                    70 

3. 협상대상자 선정 방식                                                              71 

 

Ⅴ. 기타사항                                                                             74 

1. 하자담보 책임기간                                                                 74 

2. 작업 장소 등                                                                      74 

3. 계약목적물의 지적재산권                                                          75 

4. 누출금지정보의 범위                                                               76 

5. 특허권 및 저작권 보호                                                             76 

6. 개발 SW 공동 활용 사전 명시 및 SW사업 영향 평가                              77 

7. 적정 사업기간 산정                                                                77 

8. SW사업정보 저장소 데이터 작성 및 제출                                          77 

9. 인력 요구사항의 한정                                                              78 

10. 과업변경심의위원회                                                               78 

11. 관련 법 규정                                                                     78 

 

Ⅵ. 제안서 작성 안내                                                                    79 

1. 제안서 작성 유의사항                                                              79 

2. 제안서의 효력                                                                     80 

3. 제안서 제출기한 및 제출방법                                                      80 

4. 제안서 평가회                                                                     80 

5. 제안서 내용 및 방법                                                               81 

 

Ⅶ. 붙임                                                                                 83 

   [붙임1] 제안서 기술 평가 항목 및 배점표                                           83 

   [붙임2] 정량지표 평가 기준                                                          85 

   [붙임3]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 검토 결과서                                       86 

   [붙임4] 소프트웨어사업 개발사업 적정 사업기간 종합산정서                         87 

  [붙임5] 직접구매 대상 상용소프트웨어 구매계획                                      88 

  

Ⅷ. (별첨) 입찰 및 제안서 관련 서식(권장사항)                                          89 

   [별첨1] 확약서                                                                       90 

   [별첨2] 보안서약서(대표용)                                                           91 

   [별첨3] 보안서약서                                                                   92 

   [별첨4] 용역사업 보안특약 조항                                                     94 

   [별첨5] 용역사업 보안위규 처리 기준                                                95 

   [별첨6] 보안 위약금 부과 기준                                                      97 

   [별첨7] 표준 개인정보처리위탁 계약서                                               98 

   [별첨8] 일반현황 및 연혁                                                           100 

   [별첨9] 수행 실적 총괄표                                                           101 

   [별첨10] 공동수급 표준협정서                                                      102 

   [별첨11]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106 

   [별첨12] 기술적용계획표                                                            107 

   [별첨13] 사업자 간 책임 및 역할 분담표                                           113 

 

사업 개요 

 

1. 개 요 

 □ 사 업 명: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 사업기간: 계약일로부터 120일 

 □ 사업예산: 798,000,000원(칠억구천팔백만원) 

 □ 입찰방식: 제한경쟁입찰 

 □ 계약방식: 협상에 의한 계약 

 

2. 사업 배경 및 목적 

 □ (디지털 전환 확대) 획일화된 보편적 서비스보다 개인의 취향과 선호도에 맞춘 초개인화된 원격교육 서비스 필요 

 □ (데이터 기반 교육혁신) 원격수업에서 대면수업과 동등한 수준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유형 원격교육 체계 구축 필요 

 □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시공간의 제약 없이 통합 전 공동으로 운영하며 양질의 교육 콘텐츠 공유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 필요 

 □ (통합 전후 원활한 원격수업 지원) 강원대학교와 강릉원주대학교의 통합 전후 원활한 원격수업을 지원하는 초개인화 개방형 교육 허브 플랫폼 구축 필요 

 □ (교육의 질 향상 및 지속 가능성 강화) 원격교육체계와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대학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 

 

3. 사업 범위 

 □ 강원대학교-강릉원주대학교 통합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학습관리시스템 (Learning Management System 이하 ‘LMS’) 구축 

   통합 전·후 전체 교육과정 운영지원 

   콘텐츠 관리시스템(Contents Management System 이하 ‘CMS’) 통합 

 □ 「강원1도1국립대학 공유형 공동 원격교육 플랫폼 구축을 위한 AI 활용 학습기록시스템 지표 개발 연구」 결과를 반영한 LRS(Learning Record Store) 구축 

4. 기대 효과 

 □ 강원1도1국립대학 공유형 공동 원격교육 체계 구축을 통해 연합·통합형 집중교육 이행에 기여 

 □ 고등교육 학습자의 요구 및 학습분석학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혁신에 기여 

 □ 개방형 융합전공 확대 개설을 통한 종합적 학습 역량 강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래가치 창출 역량 제고 

 □ 대학 간 학점 인정을 통한 학습 수요 창출 및 학습 접근성 강화를 통한 만족도 제고 

 □ 자유학기제 및 유연/집중학기제 등 미래형 학사제도 지원을 통한 적기 학습 기회 확대 

 □ 공동 교육과정 운영 및 융‧복합 과목 개설 등 교수학습 자원의 공유․확산을 위한 물적 기반 조성 

 

5. 사업 기간: 계약일로부터 120일 

상기 일정은 사업 수행 과정에서 일부 조정될 수 있으며, 정기 보고는 서류 보고로 대체될 수 있음 

시기  

 내용 

M 

M+1 

M+2 

M+3 

M+4 

계획 

사업계획 및 입찰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시스템 개발 

 

 

 

 

 

 

 

 

 

 

 

 

 

 

 

 

 

 

 

 

 

 

 

 

 

 

 

 

 

 

테스트 및 검증/안정화 

 

 

 

 

 

 

 

 

 

 

 

 

 

 

 

 

 

 

 

 

 

 

 

 

 

 

 

 

 

 

정기 보고 

(착수/완료) 

 

 

 

 

 

 

 

 

 

 

 

 

 

 

 

 

 

 

 

 

 

 

 

 

 

 

 

 

 

 

 

 

6. 사업 추진 체계 

 가. 추진 체계 

 

 

 

 

 

강원대학교-강릉원주대학교 

 

 

 

 

 

 

 

 

 

 

 

 

 

 

 

 

 

 

 

 

 

 

사업추진총괄 

 

 

 

 

 

 

 

 

 

 

교육혁신본부 

 

 

 

 

 

 

 

 

 

 

 

 

 

 

 

 

 

강원대 사업협조 

 

 

실무추진 

 

 

강릉원주대 사업협조 

학사지원과 

정보화본부 

교양교육원 

 

 

글로컬 원격교육센터 

 

 

교육혁신과 

교양기초교육본부 

정보화본부 

 

 

 

 

 

 

 

 

사업수행 

 

 

 

 

 

 

 

 

 

 

 

 

 

 

 

전담 사업자 

 

 

 

 

 

 

 나. 조직별 역할 

역할 

운영 조직 

추진내용 

사업총괄 

교육혁신본부 

∘ 사업 총괄 관리 

∘ 사업추진 주요 정책 결정 

사업추진총괄 

글로컬원격교육센터 

∘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총괄 

∘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총괄 

시스템 

연계/연동 

강원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협력부서 

∘ 통합사용자인증 정책 지원 

∘ 학사연계 및 연동 정책 지원 

∘ 통합사용자인증 정책 협의 

∘ 학사연계 및 연동 정책 협의 

사업수행 

전담 사업자 

∘ 학습관리시스템(LMS) 구축 

∘ 통합사용자인증시스템(ID Federation 기반) 구축 

∘ 학사데이터연계시스템 구축 

∘ 사업수행계획서 승인 요청 

∘ 시스템 개발/설치 및 결과물 제출 

∘ 사업추진 상황 보고 

∘ 교육지원 및 운영지원 

 

 

 

 

 

제안 요청 내용 

 

1. 일반 사항 

 □ 본 제안요청서 내용은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구조건이며 항목별 제반 사항들을 만족하여야 한다. 

 □ 업체는 요구조건을 정확히 분석하여 타당성이 충분한 구축 방법을 제시하여야 하며, 제시된 기능, 장점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 기능 및 프로그램 등은 최신 기술을 이용한 것이어야 하며, 요구된 기능과 성능을 만족하여야 하고 본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상호 협의하여야 한다. 

 □ 개발된 기능은 현재 본교에 구축된 학사시스템과 연계되어 원활히 서비스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개발된 기능은 현재 본교의 전산 환경에 맞게 개발되고 상호 연동이 원활히 진행되어야 한다. 

 □ 유연성 있는 기능을 설계하고 구조 등에서 수정, 보완이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본 사업과 관련하여 취득한 모든 정보는 일체 유출 또는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주요 사항 

 □ 가장 최적의 교육효과를 낼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여야 한다. 

 □ 추후 기능 업데이트 시 시스템 관리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 제안요청서에 명기되지 아니한 사항이라도 사업 수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은 반드시 이행하여야 하며 세부적인 내용은 상호 협의로 결정한다. 

 □ 계약 후에도 본 제안요청서의 요구조건과 상이하게 작성되었다고 판명될 경우 사업자의 부담으로 사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 행정안전부의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시큐어코딩) 가이드를 준수하여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련 보고서를 필히 제출해야 한다. 

 

3. 요구사항 목록 

가. 요구사항 총괄표 

요구사항 구분 

ID 

부여규칙 

요구 사항 수 

시스템 장비구성 요구사항 

Equipment Composition Requirement 

ECR-000 

3 

기능 요구사항 

System Function Requirement 

SFR-000 

75 

성능 요구사항 

Performance Requirement 

PER-000 

2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System Interface Requirement 

SIR-000 

2 

데이터 요구사항 

Data Requirement 

DAR-000 

6 

테스트 요구사항 

Test Requirement 

TER-000 

1 

보안 요구사항 

Security Requirement 

SER-000 

9 

품질 요구사항 

Quality Requirement 

QUR-000 

3 

제약사항 

Constraint Requirement 

COR-000 

5 

프로젝트관리 요구사항 

Project Management Requirement 

PMR-000 

4 

프로젝트지원 요구사항 

Project Support Requirement 

PSR-000 

4 

합계 

114 

 

 

나. 요구사항 목록표 

구분 

설명 

응낙수준 

시스템 장비구성 요구사항 

ECR-001 

시스템 인프라 구성 

필수 

ECR-002 

클라우드 기반 CMS 서비스 

필수 

ECR-003 

강의 저작 S/W 

필수 

기능 요구사항 

SFR-001 

표준 준수 

필수 

SFR-002 

반응형 웹 설계·구현 

필수 

SFR-003 

학사행정시스템, 전자출결시스템, 화상강의 연동 

필수 

SFR-004 

다양한 교육과정 지원 

필수 

SFR-005 

통합 인증 체계 구축 

필수 

SFR-006 

기간(기운영)시스템 연계방안 

필수 

SFR-007 

다국어 지원 

필수 

SFR-008 

데이터 이관 방안 

필수 

SFR-009 

모바일 환경 지원 

필수 

SFR-010 

스마트 출석관리 및 온라인 출결조회 

필수 

SFR-011 

편리한 파일 업로드 

필수 

SFR-012 

일정 관리 기능 및 알람 서비스 제공 

필수 

SFR-013 

웹 에디터 기능 제공 

필수 

SFR-014 

설문조사 관리 

필수 

SFR-015 

원격수업 운영지침에따른 콘텐츠 학습분량 점검기능 

필수 

SFR-016 

원격수업 운영지침에따른 대리출석 방지기능 

필수 

SFR-017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Universal Design) 

필수 

SFR-018 

분반 동기화 관리 

필수 

SFR-019 

합반 관리 

필수 

SFR-020 

(교수자) 교수학습 관리 

필수 

SFR-021 

(교수자) 코스설계 기능 

필수 

SFR-022 

(교수자) 강의 설문 

필수 

SFR-023 

(교수자) 시험관리 

필수 

SFR-024 

(교수자) 실시간 수업 서비스 

필수 

SFR-025 

(교수자) 수업조교/청강 신청 

필수 

SFR-026 

(교수자) 외부 콘텐츠 탑재 

필수 

SFR-027 

(교수자) 자기/동료 평가 기능 

필수 

SFR-028 

(교수자) 수강생 관리 

필수 

SFR-029 

(교수자) 수강생 독려 기능 

필수 

SFR-030 

(교수자) 강좌 관리 기능 

필수 

SFR-031 

(교수자) 출석 관리 기능 

필수 

SFR-032 

(교수자) 성적 관리 기능 

필수 

SFR-033 

(교수자) 학습 진도 관리 

필수 

SFR-034 

(교수자) 강좌백업&복구&이전 복사 

필수 

SFR-035 

(교수자) 과제 관리 기능 

필수 

SFR-036 

(교수자) 팀 프로젝트 관리 

필수 

SFR-037 

(교수자) 학습활동 기능 

필수 

SFR-038 

(교수자) 강의자료 관리 

필수 

SFR-039 

(교수자) 게시판 관리 

필수 

SFR-040 

(학습자) 메인 페이지 구성 

필수 

SFR-041 

(학습자) 학습현황 관리 

필수 

SFR-042 

(학습자) 게시판 관리 

필수 

SFR-043 

(학습자) 설문조사 기능 

필수 

SFR-044 

(학습자) 팀 프로젝트 기능 

필수 

SFR-045 

(학습자) 시험 기능 

필수 

SFR-046 

(학습자) 과제 기능 

필수 

SFR-047 

(학습자) 수업 기능 

필수 

SFR-048 

(학습자) 동영상 기능 

필수 

SFR-049 

(학습자) 실시간 수업 기능 

필수 

SFR-050 

(관리자) 통합학사연동 관리 

필수 

SFR-051 

(관리자) 사용자 관리 

필수 

SFR-052 

(관리자) 강좌 관리 

필수 

SFR-053 

(관리자) 콘텐츠 관리 

필수 

SFR-054 

(관리자) 통계 관리 

필수 

SFR-055 

(관리자) 시스템 모니터링 

필수 

SFR-056 

(관리자) KOCW 연계 관리 

필수 

SFR-057 

(관리자) 시스템 접속현황 조회 

필수 

SFR-058 

(관리자) 팝업관리 

필수 

SFR-059 

(MOOC) 관리자 기능 

필수 

SFR-060 

(MOOC) 운영자 기능 

필수 

SFR-061 

(MOOC) 학습자 기능 

필수 

SFR-062 

(공유형 플랫폼) 서비스 구성 

필수 

SFR-063 

(공유형 플랫폼) 메인페이지 

필수 

SFR-064 

(공유형 플랫폼) 기본사항 

필수 

SFR-065 

(공유형 플랫폼) 강좌 목록 및 검색 

필수 

SFR-066 

(공유형 플랫폼) 강좌 소개 및 수강신청 

필수 

SFR-067 

(공유형 플랫폼) 마이페이지(학습자) 

필수 

SFR-068 

(공유형 플랫폼) 마이페이지(운영자) 

필수 

SFR-069 

(공유형 플랫폼) 사용자 관리(운영자) 

필수 

SFR-070 

(공유형 플랫폼) 강좌 관리(운영자) 

필수 

SFR-071 

(공유형 플랫폼) 학습 이수 관리(운영자) 

필수 

SFR-072 

외부시스템연계 – CDN 

필수 

SFR-073 

동영상 학습관리 

필수 

SFR-074 

Learning Record Store 구축 

필수 

SFR-075 

LRS기반 학습분석(학습자, 교수자, 관리자) 

필수 

성능 요구사항 

PER-001 

성능 일반 

필수 

PER-002 

오류 응답시간 

필수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SIR-001 

디자인 요구사항 

필수 

SIR-002 

메시지 제공 

필수 

데이터 요구사항 

DAR-001 

데이터 표준화 기준 준수 

필수 

DAR-002 

데이터 관리 

필수 

DAR-003 

데이터 이행 테스트 데이터 구축 

필수 

DAR-004 

최적의 데이터 이행 방안 마련 

필수 

DAR-005 

백업요구사항 

필수 

DAR-006 

SQL튜닝요구사항 

필수 

테스트 요구사항 

TER-001 

테스트 요구 일반사항 

필수 

보안 요구사항 

SER-001 

관리자로그인 보안조치 

필수 

SER-002 

사용자 인증정보 보호 

필수 

SER-003 

개인정보 보호 

필수 

SER-004 

페이지 보안 

필수 

SER-005 

구간 암호화 

필수 

SER-006 

보안규정 및 지침 준수 

필수 

SER-007 

취약점 점검 수행 및 점검 보고서 제출 

필수 

SER-008 

응용 시스템 보안 

필수 

SER-009 

데이터 보안 

필수 

품질 요구사항 

QUR-001 

가용성 보장  

필수 

QUR-002 

장애 대응을 위한 백업절차 마련 

필수 

QUR-003 

유지보수 방안 

필수 

제약사항 

COR-001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필수 

COR-002 

웹표준 및 호환성 준수 

필수 

COR-003 

개발관련 지침 준수 

필수 

COR-004 

저작권 및 지적재산권 보호 

필수 

COR-005 

모듈화 설계 및 개발 표준화 

필수 

프로젝트관리 요구사항 

PMR-001 

사업수행 조직 구성 

필수 

PMR-002 

검수 및 산출물 관리 

필수 

PMR-003 

보안 관리 

필수 

PMR-004 

참여인원 보안 

필수 

프로젝트지원 요구사항 

PSR-001 

하자보수 지원 

필수 

PSR-002  

하자보수  

필수 

PSR-003 

기술이전 지원 및 교육 

필수 

PSR-004  

사용자 교육 및 매뉴얼 지원 

필수 

 

4. 요구사항별 세부 내용 

가. 시스템 장비 구성 요구사항  

고유번호 

ECR-001 

요구명칭 

시스템 인프라 구성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시스템 인프라 구성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제안사는 최적의 인프라의 구성을 제안하여야 하며, H/W 일체에 대한 사양과 용량 제시 (학내 클라우드 활용 예정)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학습관리시스템 장비가 호환되도록 방안 제시 

OS / WAS / DBMS 라이선스 등 구축 시 발생하는 비용은 제안사가 부담함 

 

 

고유번호 

ECR-002 

요구명칭 

CMS 서비스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CMS 서비스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동영상 학습 콘텐츠를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서 원활한 VOD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현재 운영 중인 CMS 연계 개발 지원 

○ 학습관리시스템 이용자 급증에 따른 CDN 서비스 연계 개발 지원 

 - 학습관리시스템 이용자(교수/학생/직원 등)에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함 

   ※ 동영상은 mp4 형태의 영상파일 및 웹 콘텐츠 형태의 파일임 

   ※ 계약기간 내 VOD CDN 스트리밍이 무제한 용량으로 제공되어야 함 

   ※ VOD CDN 트래픽은 무제한으로 제공되어야 함 

 - 동영상 변환 시 변환된 영상을 CDN 서버에 자동 업로드되어야 함 

 - 영상 소스 URL 재생성으로 기존 영상 보관이 지원되어야 함 

 - 진도 처리, 자동 출석체크 기능 반영/연계 지원이 되어야 함 

 - 콘텐츠 보안을 위해 HTTPS 전송 지원(SSL 인증서 설정 기능 포함), 등록된 도메인 접근 기준 제한, 원본 서버와 HTTPS를 통한 동영상 연동을 지원하여야 함 

구 분 

사양 

비고 

트랜스코더 S/W 

- 모든 영상/음성에 대한 대용량/고성능 인코딩 지원 

- H.264/AVC 등 멀티 코덱 지원 

- (AVI/WMV/WMA/ASF/MPG/MPEG/MOV/MP4/M4V/MP3/FLV/MKV/OGG/WAV/RM/PCM/M2TS/SKM/K3G/3GP 등) 

- QUEUE 기반 프로세싱 지원 

- PC,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동시 변환 지원 

- 서버 기반 

 1식 

스트리밍  

S/W 

- 모든 기기(device) 지원 

- RTSP, RTMP, HLS, MPEG-TS, NFS/AFS, ICY 등 멀티 프로토콜 지원 

- 멀티 서버 로드밸런싱을 지원하여 사용자 수 확장에 대응이 용이해야 함 

- 고화질 스트리밍 서비스 지원 

- 영구 라이선스 

 1식 

 

 

 

 

고유번호 

ECR-003 

요구명칭 

강의저작 S/W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강의저작 S/W 

(※필요시 별도 솔루션 연계가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강의 녹화 기능 

 - 강사의 육성과 판서 화면을 동시에 녹화 

 - 윈도우 화면녹화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영상 제작 지원 

 - 카메라 녹화와 화면녹화를 동시에 지원 

 - 실시간 H.264 MP4 인코딩 지원 

강의 영상 배포 

 - 플랫폼에 연동되어 직접 강의 녹화 영상 전송이 가능해야 함 

 - 강의/주차 자동 배포 

콘텐츠 관리 

 - 플랫폼 내 통합 CMS를 통한 업로드 된 콘텐츠 관리 지원 

학교 라이선스(Site License) 공급하여 모든 구성원의 이용이 가능해야 함(Window, Mac 지원 필수) 

 

 

 

 

 

 

 

나. 기능 요구사항 

고유번호 

SFR-001 

요구명칭 

기능요구 일반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기능요구 일반사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글로벌 교육 산업표준 (IMS Global, ADL SCORM 등)과 정보기술 표준 (Web표준, SQL, 보안표준 등)을 준수하는 개발이 이뤄져야 함 

○ Moodle 버전 3.5 이상으로 개발되어야 함 

○ 웹 개발 표준 및 보안 지침을 준수해야 함 

 - 공공기관 웹사이트 개인정보 노출 방지 가이드라인(행정안전부) 

 -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ICS) 

 - 장애인 차별 금지법에 따른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 

○ 이러닝 표준규격(SCORM, IMS 등)을 지원하여 시스템 상호 호환 및 콘텐츠 호환이 가능한 환경을 구성해야 함 

○ 시스템 이용 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Active-X)가 요구되지 않아야 함 

  (단, 비정형 콘텐츠 뷰어, 대용량 업로드 컴포넌트 제외) 

○ 웹 표준 및 접근성을 준수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학습환경(Device, Os, Browser)에서 시스템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 

 - Device 지원 : PC, Tablet PC, Mobile 

 - OS 지원 : Windows, MacOS, Linux 등의 PC 환경 

             iOS, Android, Windows 등의 Mobile 환경 

 - Browser 지원 : Internet Explorer 10, Firefox 5, Chrome 17, Safari 5, 

                  Opera9 이상 

고유번호 “SFR-063”에 정의된 공유형 학습플랫폼은 통합 운영을 전제로 구성하여야 한다.  

 

 

고유번호 

SFR-002 

요구명칭 

반응형 웹 설계·구현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반응형 웹 설계·구현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PC 및 모바일기기를 고려한 반응형 웹 인터페이스 구현 

  –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모바일기기에서도 차별 없이 제공 

  – 다양한 모바일기기 OS 및 브라우저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개발
(특정 플랫폼에만 작동하는 기능 배제) 

○ 웹 표준, 웹 접근성 및 호환성을 준수하여 개발 

 

 

고유번호 

SFR-003 

요구명칭 

학사행정시스템, 전자출결시스템, 화상강의 연동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사행정시스템, 전자출결시스템, 화상강의 연동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원대학교-강릉원주대학교 통합 전·후를 고려하여 시스템 설계가 진행되어야 함 

○ 학사행정 시스템, 통합 포털 및 관련 시스템과 학습관리시스템 간의 데이터 통합이 무결점을 확보하는 수준에서 이뤄지고, 지속적인 정보기술 및 시스템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 

○ 학내 학사행정 시스템, 통합 포털과 연동되어 학습관리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교수, 조교, 직원, 학생 등), 학기 및 개설 코스 (교과목), 교수자 등록 정보, 수강생 등록 정보 등이 원활하게 동기화되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데이터 정합성 체크와 보장을 위한 기본 기능을 제공해야 함 

○ 학사 정보 연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해야 함 

 - 연동 범위 : 구성원, 조직체계, 학사일정, 강의정보, 수강정보, 학적정보, 수업계획서, 성적, 출석 등 

 - 관리자는 시스템을 통해 학사 정보 동기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함 

 - 수강신청 기간에 자동 동기화되어야 하며, 연동 주기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어야 함 

 - 학내의 학사제도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으로 구축해야 함 

○ 관리자는 웹을 통해 학사 정보 동기화 과정을 직접 조작할 수 있어야 하며, 진행 과정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함 

○ 최소 1일 1회 이상 자동으로 학사 정보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함 

 - 자동 동기화에 대한 시간/주기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어야 함 

 - 필요시 동기화 실행을 할 수 있어야 함 

 - 개인별 동기화 결과를 조회 및 연동하는 기능을 지원해야 함 

 - 학사 행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수업계획서 연동방안을 제시해야 함 

 - 출결 연동방안을 제시해야 함 

 - 성적 연동방안을 제시해야 함 

○ 온라인수업(화상강의)에 대한 출결 및 성적이 전자 출결 시스템으로 연동되는 기능을 지원해야 함 

 

고유번호 

SFR-004 

요구명칭 

다양한 교육과정 지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다양한 교육과정 지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정규강좌 및 비정규강좌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축함 

 - 타 부서 주관 강좌 운영지원 

 - 공개강좌 운영지원 

 - 정규강좌 중 교수자의 권한으로 공개수업(OpenCourseWare)형태 지원 

 - 타 기간/대학 학점교류 학생들의 원활한 수강 지원 

 - 편리한 수강생 업로드(추가, 삭제, 수정) 관리 지원 

○ 모든 강좌는 유형(100% 이러닝, 블랜디드 러닝, 오프라인 수업)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함 

○ 온라인, 오프라인, 블랜디드 교육(Blended Learning), MOOC 활동의 지원이 가능한 사이버 학습체계 구축 

○ 오프라인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규 과정 강의를 강의 녹화 또는 온라인 콘텐츠로 제작하여 학습자들에게 복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교수자가 미리 올려놓은 강의자료 등으로 선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기별 개설 교과를 모두 온라인 강의실로 개설하여 지원함 

○ 교육 특강, 세미나, 워크숍, 학술행사 등 교내 타 부서의 요청으로 촬영된 콘텐츠를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교내 구성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비정규 과정을 지원함 

○ 비정규 강좌는 사용자가 직접 수강 신청할 수 있어야 하며, 관리자가 일괄적으로 수강 신청할 수 있어야 함 

 - 학기별로 개설된 강좌 조회 기능 제공 

 - 지난 학기 수강 강좌 조회 기능 제공 

○ 비정규강좌 수료증 인쇄 기능 제공 

 

 

고유번호 

SFR-005 

요구명칭 

통합 인증 체계 구축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통합 인증 체계 구축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내에서 운영 중인 SSO 모듈을 통한 통합 인증이 구현되어야 하며(SSO 클라이언트 라이선스 구매비용 2식 포함), 외부 구성원에 대한 별도의 회원 가입/변경 및 로그인 처리 기능 제공 

○ 로그인 암호화 반영, 시스템 보안 사항 준수 

 - 보안성을 강화한 사용자 인증 방식 적용 

 - 동일 계정에 대한 동시 로그인 차단 

 - 로그인 시 접속 IP, 시간 등 포함한 최종 접속 기록 표시 

 - 자동 로그아웃 기능 설정 

 - 일정 횟수 로그인 실패 시 로그인 차단 

○ 웹서버 보안인증서(Secure Sockets Layer:SSL)를 설치하여 사용자와 웹서버 사이에 전송되는 개인정보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함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신분 계정을 보유 시 멀티 로그인이 될 수 있도록 계정 선택이 가능하도록 방안 제시 

○ 최초 로그인 시, 개인정보 활용 동의 안내 기능 제공 및 2년 또는 3년마다 갱신될 수 있도록 하며 휴면계정 관리 

○ 인적 DB에서 계정 삭제 정보 연동 및 탈퇴 가능 

 

 

고유번호 

SFR-006 

요구명칭 

기간(기운영)시스템 연계방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기간(기운영)시스템 연계방안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내에서 운영 중인 기간계 시스템(Mail, SMS 등)에 대해 연계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향후 시스템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개발 

 - 모듈별 개발을 지향하여 안정적인 기능 제공 

 - 개발된 각 모듈은 관리자에 의해 관리(기본설정, 사용여부) 

○ 학내 강의 녹화 시스템에서 생성한 자료에 대한 자동저장 기능 및 LMS 탑재 기능 제공 

 

 

고유번호 

SFR-007 

요구명칭 

다국어 지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다국어 지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다국어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기본 지원 

○ 영문 온라인 매뉴얼 기본 제공(학생용, 교수용, 관리자용 / 검색 기능 가능) 

○ 향후 언어 확장 가능하도록 설계 혹은 적절한 지원 

○ 사용자가 언어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강의실은 교수자가 언어를 지정할 수 있어야 함 

(학사 정보 연동 시, 언어지정 교과목에 대해서는 미리 언어를 지정해야 함) 

 

 

고유번호 

SFR-008 

요구명칭 

데이터 이관 방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데이터 이관 방안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내에서 기운영 중인 시스템에 대한 Data Migration 방안 제시 

○ 기존의 콘텐츠 및 DB를 신규 시스템에 완벽하게 이관하여 기존 강좌 정보 조회가 가능해야 함 

 - 운용 데이터 및 강좌소개, 동영상 파일, 공지사항, 질의응답, 강의자료실, 상담게시판, 과제, 각종 게시물 데이터 포함 

 

 

고유번호 

SFR-009 

요구명칭 

모바일 환경 지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모바일 환경 지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모바일 앱 개발 제공(iOS / Android 2종) 

○ 사용자들이 모바일 앱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 

 - 애플스토어 / 플레이스토어에 모바일 앱 탑재 

 - PC환경 / Mobile에서 쉽게 모바일 앱 설치 가능하도록 안내 

 - App 운영 및 유지보수는 제안 업체에서 관리 

 - 서버인프라 및 트래픽 사용에 관련된 제반 사항은 제안 업체에서 관리 

○ 모바일 환경에서 최적화된 기능으로 활용 가능 

○ 모바일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 학사 정보시스템 연동을 통한 로그인 가능(SSL포함) 

 - 대시보드를 통한 강좌 선택  

 - 수강 강좌로 접속하여 학습 가능 

 - 동영상 시청, 퀴즈 풀기, 토론 참여 가능(동영상 학습 시간 저장 필수) 

○ 모바일 환경에서 학습 진행 시 PC에서의 학습 진행 시와 동일한 형태의 학습기록 및 동영상 진도 체크가 진행되어야 함 

○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한 학습에 관한 기록은 PC환경에서도 교수자 및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야 함 

○ 스마트 출석 기능, 푸시 알림 기능 필수 

○ 대리 출석 방지를 위한 생체인식 기반(얼굴인식, 지문인식 등) 및 번호(OTP), 카카오톡, SMS, 이메일 인증 지원 

 

 

고유번호 

SFR-010 

요구명칭 

스마트 출석관리 및 온라인 출결조회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스마트 출석관리 및 온라인 출결조회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다양한 방식의 전자출결 방안 제시 

 - 인증번호 방식, 사진등록 및 인증 방식 

○ 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서 양방향 출석 시스템을 구현해야 함 

○ 동시접속 3,000명까지 수용해야 함 

○ 온라인 부정 출결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함 

○ 모바일 환경이나 PC환경에서 출석 이력이 실시간 확인 가능하고, 수동으로 출석 입력도 가능해야 함 

○ 사진 출석부, 리스트형 출석부 모두 지원해야 하며, 팀 단위로도 구분되어 볼 수 있어야 함 

○ 교수자가 출석, 결석, 지각, 공결 처리가 가능해야 하며 사유 입력이 가능해야 함 

○ 사진등록 출석 시 촬영위치 및 일시정보가 저장돼야 함 

○ 학교 출석부 양식과 동일한 출석 결과 엑셀 다운로드 기능 제공 

○ 주차 별 출석, 지각, 결석 현황 상시 확인 가능 

○ 주차 별 출석, 지각, 결석 현황 엑셀 형태 파일 다운로드 기능 

○ 학습 상세 이력(진도율, 사용 디바이스(모바일, PC), IP, 학습 시작일시, 종료일시, 시청 시간) 확인 가능 

○ 동영상 부정 수강 방지 기능(여러 강의 동시 재생 방지) 

○ 학습 인정 수동 설정 기능 

 

 

고유번호 

SFR-011 

요구명칭 

편리한 파일 업로드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편리한 파일 업로드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파일 첨부 시 최신 IT 기술을 반영한 사용자 경험(UX) 제공 

○ 업로드할 파일(폴더)을 별도의 툴 없이 간편하게 관리 가능해야 함 

○ Drag & Drop 기능으로 편리하게 파일 업로드가 가능해야 함 

  (Drag & Drop 기능을 지원하는 브라우저에 한하여 기능 제공) 

○ 별도의 툴 없이 웹상에서 압축 파일(zip) 해제 기능 제공 

○ 최근 업로드한 파일을 재사용 기능 제공 

○ Dropbox, Google Drive, Office365 등 외부 콘텐츠 저장소와 연동 지원 

○ 대량의 파일 또는 대용량 파일을 빠르고 쉽게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기능을 지원해야 하며, 파일의 업로드 진행 상태 확인 기능 제공 

 

 

고유번호 

SFR-012 

요구명칭 

일정 관리 기능 및 알람 서비스 제공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일정 관리 기능 및 알람 서비스 제공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일정 관리 기능 제공 

 - iCal 기반의 외부 Calendar 서비스(Google Calendar)와 동기화 지원 

 - 관리자가 학사 일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기능 제공 

 - 강좌 일정, 개인 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 제공 

 - 홈 화면에도 통합된‘달력’기능 추가 

○ 알람 서비스 제공 

 - 미이수 교과목에 대한 알람 서비스 추가 제공(D-1) 

 

 

 

고유번호 

SFR-013 

요구명칭 

웹 에디터 기능 제공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웹 에디터 기능 제공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모든 등록 페이지에는 웹 에디터를 기본 제공 

○ 글, 그림, 표, 링크, 동영상 등의 등록에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함 

○ 수식 편집기를 제공해야 하며, 수식 코드(Latex)를 이미지로 자동 변환되는 기능 제공 

○ 분 단위로 작성 중인 글을 자동으로 저장하여 사용자 부주의 및 로그인 세션 손실에 따른 작성된 데이터 유실 방지 

 

 

고유번호 

SFR-014 

요구명칭 

설문조사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설문조사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대학교육성과 관리를 위해 점차 증가하는 다양한 설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설문조사 기능 제공 

○ 설문조사는 PC/MAC 웹 환경뿐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응답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대학 전체, 학부/학과, 프로그램, 코스와 커뮤니티 등 언제든 필요시에 쉽게 설문지를 설계하여 작성하고, 대상자를 정하여 배포하고, 설문 참여를 독려하고 응답을 집계하는 통계 보고서 제공 

○ 학습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대상으로 설문 가능 

 - 학내 학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대상자 구분으로 설문 가능 

   (교수, 학습자, 소속, 학년, 등 사용자별로 설문 가능) 

○ 다국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및 에디터로 설문 문항 작성 가능(동영상, 특수기호, HTML 소스 삽입 가능) 

○ 설문지 템플릿 재활용 가져오기 기능과 가져온 문항 편집 기능 

○ 설문 결과를 웹상에서 통계 수치(그래프)로 확인 가능하고, 파일로도 다운로드가 되어야 함 

○ 모바일 환경에서 설문이 가능해야 함 

 

 

고유번호 

SFR-015 

요구명칭 

원격수업운영지침에 따른 콘텐츠 학습분량 점검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원격수업운영지침에 따른 콘텐츠 학습분량 

점검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모든 차시 내의 콘텐츠 재생 시간을 합산,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 토론, 퀴즈 등에 대해 학습 시간을 지정한 후 전체 학습 시간을 합산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 전체 주차에 대한 일괄 체크 기능을 제공해야 함(콘텐츠 재생시간 부족 차시 표시, 총 학습시간 부족 차시 표시) 

 

 

고유번호 

SFR-016 

요구명칭 

원격수업 운영지침에따른 대리출석 방지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원격수업 운영지침에따른 대리출석 방지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대리 출석 방지를 위한 인증 기능 개발(아래 사항 필수) 

 - 생체 인증(지문인식, 안면인식, 홍채인식 등) 

 - SMS, OTP, 이메일 본인 인증 

 

 

고유번호 

SFR-017 

요구명칭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Universal Design)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Universal Design)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저시력, 시각장애, 청각장애, 노인 등 복잡하고 다양한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UD) 적용 방안 제시 

 - 웹 표준, 접근성 준수 

 - 저시력/시각장애/청각장애 등 장애 유형에 맞는 LMS 사용 방안 제시 

 

고유번호 

SFR-018 

요구명칭 

분반 동기화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분반 동기화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분반 개설 기능 

 - 학내 학사시스템과 연동하여 교과목(분반)을 기준으로 자동 개설되어야 함 

○ 분반 동기화 기능 

 - 공지사항, 자료실, 온라인 주차 학습, 과제, 토론, 시험 등을 등록 후 원클릭으로 동일 과목 모든 분반에 자동 동기화 되어야 함 

 - 동기화한 내용을 개별 분반에서 수정 및 삭제할 경우 재동기화하여도 수정, 삭제 사항이 더 이상 동기화되지 않아야 함 

○ 분반 동기화 이력 정보 조회 기능 

 - 동기화된 상세 이력 정보 상시 조회 기능(동기화 시간별, 동기화 내용, 예외 사항 등) 

 - 비 동기화된 사항 정보 상시 조회 기능 

 

 

고유번호 

SFR-019 

요구명칭 

합반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합반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Code Share 과목의 경우 자동 합반 처리 가능 

 -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과목에 대해 합반 처리 

 - 대표 분반, 공유 분반 수강신청자가 0명이더라도 대표 분반으로 합반 처리 

 - 공유 분반 숨김 처리 기능 

 - 해당 과목 교수(조교)가 직접 합반 처리 가능하여야 함  

 - 합반 이후에도 학사시스템과 동기화 되어야 함 

 - 공유 분반에 학습자 활동 내용이 있다면 합반 처리 이후 대표 분반의 학습자 활동 내용에 데이터가 옮겨져야 함 

 

 

고유번호 

SFR-020 

요구명칭 

(교수자) 교수학습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교수학습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교수자의 전체 강의과목 및 강의 시간이 표시되어야 함 

○ 교수자의 강의 시간/과목/강의실이 표시되어야 함 

○ 맞춤형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 

 -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에 따른 조건적인 과정 운영이 가능하도록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수준별 과정 운영이 가능해야 함  

 - 구성 메뉴의 기능별 모듈화를 통하여 강의실별 교수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이 가능해야 함 

○ 교수, 조교, 교직원, 채점자, 학생 등 다양한 사용자 역할을 설계하고 역할에 따른 적절한 접근 권한을 유연하고 편리하게 설계할 수 있어야 함 

○ 강의메뉴 추가 및 삭제 등 교수자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메뉴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기등록된 콘텐츠에 대해 주 회차 이동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21 

요구명칭 

(교수자) 코스설계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코스설계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좌별 과제, 토론, 위키, 퀴즈 등의 학습활동을 다양한 교수법에 맞게 쉽고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강좌별 SCORM/사회적/주차/토픽/포틀릿 단위로 다양한 강의자료(동영상, 문서, 이미지, 게시판 등)의 시각적 구성이 가능해야 함 

○ 학습자 간의 협동학습 및 토론학습의 운영,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 PBL(Problem Based Learning) 등의 다양한 교수 학습법을 적용하여 코스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이 공동으로 문서를 편집하는 기능이나 학습자 그룹별 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지원하여야 함 

○ 다양한 학습모형(LD : Learning Design)의 적용이 용이해야 함 

○ 팀 티칭/옴니버스식 강의에서는 한 강좌에 여러 교수자의 활동이 가능해야 함 

○ Flipped Learning, MOOC 등 최신 패러다임 교육 지원이 가능하여야 함 

○ 온라인상에서 학습 콘텐츠 전달 중심에서 벗어나 교수자-학생, 학생-학생, 콘텐츠-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interactivity)을 촉진하여 성취도 제고와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풍부한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22 

요구명칭 

(교수자) 강의 설문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강의 설문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설문 내용은 재사용 가능하고 여러 설문 문항을 추가할 수 있어야 함 

 - 설문 문항은 선다형, 서술형 등 다양한 문항 편집 기능을 제공해야 함 

 - 강좌에 해당하는 수강생만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현함 

 - 실명/익명 평가 참여가 가능해야 함 

 - 응답 결과를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야 함 

 - 설문에 참여하지 않은 수강생은 설문 처리가 되지 않는 등의 별도 옵션을 포함해야 함 

 - 기존 강의 평가 연계 기능을 제공해야 함 

 - 교수 역량 진단 도구 연계 기능을 제공해야 함 

 - 학생 역량 진단 도구 연계 기능을 제공해야 함 

○ 기본 기능 

 - 설문지 템플릿을 제공하여 가져오기와 가져온 문제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함 

 - 설문 결과 통계 기능을 제공해야 함 

 - 설문 결과 문항별 빈도율, 교차분석 기능을 제공해야 함 

 - 복수 응답과 무응답의 경우 오류가 없어야 함 

 

 

 

 

 

고유번호 

SFR-023 

요구명칭 

(교수자) 시험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시험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퀴즈는 온라인 시험(중간고사, 기말고사, 수시 테스트 등) 학습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문제(선다형, 단답형, 서술형, O/X 등)의 출제가 가능해야 하고 채점(자동/수동) 기능을 제공해야 함 

 - 틀린 답을 입력할 시, 팝업창으로 “틀렸습니다. 다시 풀어보세요.”등의 피드백 및 시도할 수 있는 설정 기능을 제공해야 함 

○ 평가를 위한 문제 출제는 [문제은행]에서 관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해야 함 

○ 강좌 간의 문제은행 데이터 이관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문항, 보기 항목에는 텍스트 이외에 이미지나 동영상(Youtube 등)의 첨부 지원이 가능하여야 함 

○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적 보완 조치를 지원하여야 함(문제 난이도별 Random화, 출제 문서 순서 Random화, 보기 항목의 Random화, 접속 IP추적 및 제한, 응시 시간 및 횟수 제한 등) 

○ 시험 응시 결과 및 응시 내용을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24 

요구명칭 

(교수자) 실시간 수업 서비스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실시간 수업 서비스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실제 수업 시간에 실시간 수업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학습자 간의 협동학습 및 토론학습의 운영,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 

○ PBL(Problem Based Learning)등의 다양한 교수 학습법을 적용하여 코스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이 공동으로 문서를 편집하는 기능이나 학습자 그룹별 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지원해야 함 

○ 실시간 수업을 위한 교수자 알림 기능이 추가되어야 함 

○ 실시간 수업 학생 초대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25 

요구명칭 

(교수자) 수업조교/청강 신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수업조교/청강 신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자율적인 수업 지원, 조교 및 청강생 신청/관리가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사용자는 자신이 수업 지원 조교, 청강생 역할로 참여하고 싶은 강좌를 조회한 뒤 직접 신청/취소가 가능해야 함 

 - 교수자가 승인 시 교수자 및 조교에게 자동으로 승인 메일을 발송할 수 있어야 함 

○ 교수자는 신청된 사용자를 승인/취소할 수 있는 관리 기능 제공하여야 함 

 - 조교 및 청강생이 수업조교/청강 신청을 할 때, 교수자가 신청을 확인할 수 있는 메일이 자동으로 발송되어야함 

○ 교수자가 직접 사용자를 검색하여 역할 부여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26 

요구명칭 

(교수자) 외부 콘텐츠 탑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외부 콘텐츠 탑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Google Drive 및 Youtube 연동이 가능해야 함 

○ Dropbox, OneDrive 등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지원이 가능해야 함 

 

 

고유번호 

SFR-027 

요구명칭 

(교수자) 자기/동료 평가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자기/동료 평가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교수자의 학습자 평가 외에 자기평가, 동료평가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동료 평가 시, ‘익명’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과제 평가 시 학습자 동료 평가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함 

○ 교수자는 학습자 동료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과제 개수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하고, 학습자별로 과제평가 파일을 자동/수동으로 지정할 수 있어야 함 

○ 등록한 평가점수는 과제별로 구분하여 표시되어야 하고, 일괄 다운로드가 가능해야 함 

 

 

고유번호 

SFR-028 

요구명칭 

(교수자) 수강생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수강생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수강생/청강생의 조회가 가능하여야 함(학번/소속/휴대전화 번호/최근 접속일 정보) 

○ 수강생별 학습 성찰일지 작성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수강생별 학습활동 보고서 조회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수강생별 접속 현황 및 학습 이력 조회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학생 모드에서 보여지는 강의실 확인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특정 수강생 권한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 제공) 

 

 

고유번호 

SFR-029 

요구명칭 

(교수자) 수강생 독려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수강생 독려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e-mail, 메시지, 카카오알림톡, SMS 등 교수자가 수강생들에게 일괄적으로 메시지 전달이 용이해야 함 

○ 학습관리 및 독려(시험공지, 과제물 제출, 토론 참여 등)를 위한 알림 독려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출결 규정에 따른 학습 부진자, 과제물 미제출자, 점수 미달자 등에 대한 조기 경고 대상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그들에 대한 경고를 이메일/메시지/SMS 등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 사용자에게 알림을 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포함되어야 함 

○ 알림 발송 시, 발생하는 비용은 운영 유지보수 비용에 포함되어야 함 

○ 전체 학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발송 가능해야 함 

 

 

고유번호 

SFR-030 

요구명칭 

(교수자) 강좌 관리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강좌 관리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의실 템플릿 기능 제공 

 - 온라인 강의형/블랜디드러닝형/오프라인수업형 등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여야 함 

 - 사용자 별로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템플릿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강의계획서는 대학의 학사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보여주고, 이전 학기 수업계획서 조회 및 복사/출력이 가능하여야 함 

○ 강좌 백업 기능 

 - 강좌 단위의 백업 및 복구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며 기운영된 과정을 활용하여 신규 강좌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과제, 게시판, 토론, 강의자료 등의 데이터를 전체, 부분 선택하여 백업할 수 있어야 함 

○ 현재 또는 이전에 사용한 수업 활동 자료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함 

○ 기간 설정 등 각 수업 활동 자료를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함 

 

 

고유번호 

SFR-031 

요구명칭 

(교수자) 출석 관리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출석 관리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온라인/오프라인 출석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실시간 화상강의 학습자별 출석 이력 확인이 가능하여야 함 

○ 강의별 유연한 주/차시 구성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Mobile/Tablet PC 환경에서 동작하는 출석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출석부 양식은 엑셀 다운로드 및 인쇄가 가능하여야 함 

○ 출석시스템 내 출석 정보와의 연동방안을 제시하여야 함 

○ 온라인 강의의 학습자별 출석 이력 확인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학습자별 출석 이력 확인 시 시스템 장애로 인한 비정상 종료 자료에 대해 출석 조정이 가능하여야 함 

○ 학습자별 차시별 출석 이력 조회가 가능하여야 함 

○ 모바일 환경과 PC환경에서도 출석 이력을 실시간 확인 가능하고, 수동으로 출석 입력도 가능하여야 함 

○ 청강생 등록이 가능하여야 함 

 - 수강 학생들과 동일하게 수강이 가능하여야 함 

 - 접근권한부여 기능 필수(과제, 토론, 동영상 시청, 팀프로젝트 등) 

 - 청강생은 성적처리 시에는 자동으로 제외되어야 함 

○ 교수자가 수업에 대한 휴·보강 설정이 가능하여야 함 

○ 오프라인 이러닝 보강 설정 시 선택이 가능해야 함 

 - 오프라인에는 보강 일정을 삽입하고, 이러닝 보강일 경우에는 별도의 보강 일정을 삽입하지 않음 

○ 교수자가 휴·보강 설정 시 변경 내용이 학생에게 전달되어야 함(모바일 Push 알림) 

○ 휴·보강을 설정한 내용은 통합정보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32 

요구명칭 

(교수자) 성적 관리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성적 관리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성적처리는 온라인/오프라인 평가를 모두 취합 관리할 수 있어야 함 

○ 교수자의 평가 방식에 따라 성적 카테고리, 성적 항목이 유연하게 관리되어야 함 

○ 성적의 엑셀 업로드/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점수/백분율/ABC 등의 다양한 등급 산정 유형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함 

○ 수강생 정렬순서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함(이름, 학번, 학과, 출석부 순서) 

○ 통합학사시스템 연동방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함 

○ 성적분포도 확인이 가능하여야 함 

○ 수업계획서 내 평가 항목별 평가 비율 자동 등록이 가능하여야 함 

○ 평가 비율에 따른 항목별 평가점수 자동 환산이 가능하여야 함 

○ 교수자가 평가 항목별 평가점수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함 

○ 특정 학습 요소에 대해 일괄적으로 점수를 기록하는 일괄 평가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과제평가, 토론평가, 퀴즈평가, 시험평가 결과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일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종합평가 보드가 구성되어야 함 

○ 과제를 제출하지 않은 학생, 성적을 입력하지 않은 학생, 특정 점수 이하, 특정 점수 이상 등의 기준으로 학습자들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이미 평가를 진행한 내용에 대해 평균 점수의 변경을 통해 성적 분포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과제, 토론, 퀴즈 등에 특정 평가된 부분은 채점 내용을 비공개로 지정할 수 있어야 함 

○ 학습자 선택 시 해당 학습자의 개인별 학습 내용 및 시험 응시 내용을 통합한 통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함 

 

 

고유번호 

SFR-033 

요구명칭 

(교수자) 학습 진도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학습 진도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수강생(전체/개별)에 대한 학습 현황/통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 수강생(전체/개별)에 대한 콘텐츠별 학습시간 및 진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교수자가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모든 행동에 대한 강좌기록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 학습활동 및 콘텐츠 이수 기능 및 현황 조회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비표준, 동영상 콘텐츠 등의 진도 관리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모바일 진도 처리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출석/지각 인정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34 

요구명칭 

(교수자) 강좌백업&복구&이전 복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강좌백업&복구&이전 복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좌의 모든 데이터 백업 및 복구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강좌 단위의 백업 및 복구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며 기운영된 과정을 활용하여 신규 강좌에 활용이 가능한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과제, 게시판(댓글포함), 토론, 강의자료 등의 데이터를 전체, 부분 선택하여 백업할 수 있어야 함 

○ 현재 또는 이전에 사용한 수업활동 자료를 가져오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기간 설정 등 각 수업 활동 자료 정보를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35 

요구명칭 

(교수자) 과제 관리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과제 관리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과제 제출 방식은 온라인 문서/파일 첨부 기능을 포함하여야 함 

○ 채점 방식은 성적 직접 입력방식, 평가 기준 방식, 루브릭 방식을 지원하여야 함 

○ 교수자는 제출한 과제물에 대한 첨삭 파일 첨부나 첨삭 의견을 남길 수 있어야 함 

○ 과제물을 일괄적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야 함 

○ 표절검사 기능을 연동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함 

○ 과제 평가 시 루브릭 평가(다면 평가)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하며 제출된 파일을 보면서 동시에 루브릭 평가 결과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함 

○ 루브릭 평가 기준에 대해 템플릿 개념으로 사전에 운영자가 설정해 놓는 기능과 함께 교수자가 템플릿을 불러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루브릭 평가 기준은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하도록 기능이 유연해야 함 

○ 개인별 평가 및 일괄 평가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학습자가 제출한 과제를 웹상으로 확인이 가능하여야 함(txt, doc, pdf, ppt, hwp 등) 

○ 교수자는 학습자가 제출한 과제를 웹상으로 첨삭이 가능하고, 첨삭한 과제 파일은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함(※필요시 별도 솔루션 연계 가능) 

○ 첨삭한 모든 파일은 학습관리시스템에 저장되어야 함 

○ 선택한 첨삭 과제는 학습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함 

 

 

고유번호 

SFR-036 

요구명칭 

(교수자) 팀 프로젝트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팀 프로젝트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팀 프로젝트(그룹)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교수자는 다양한 팀 프로젝트 그룹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함 

 - 학습자는 본인이 속한 팀 프로젝트 그룹 정보 확인 및 진행 상황 확인이 가능해야 함 

 - 팀 프로젝트와 연계된 다양한 학습활동(과제/시험/게시판/토론방)이 지원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37 

요구명칭 

(교수자) 학습활동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학습활동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습활동 : 과제, 게시판(공지, Q&A, 1:1, 익명), 팀프로젝트, 토론, 퀴즈, 대화방, 동료평가, 간편 설문, 위키, 설문 등 

○ 강의자료 : 파일, URL링크, 웹페이지, 폴더, 동영상, 표준/비표준 콘텐츠, 표지 등 

 

 

고유번호 

SFR-038 

요구명칭 

(교수자) 강의자료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강의자료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업로드한 문서 포맷(HWP, DOC, PPT, XLS, PDF)을 별도 뷰어 없이 HTML 형태로 변환하여 실시간 열람할 수 있어야 함 

○ 강의자료 업로드 시 교수자 개인별 업로드 파일을 재사용할 수 있어야 함 

○ 교수자가 학습자의 강의자료 다운로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함 

○ 강의자료별 진도 체크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어야 함 

○ Youtube 동영상 등 외부 공개된 영상을 강의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함 

 

 

 

고유번호 

SFR-039 

요구명칭 

(교수자) 게시판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교수자) 게시판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교수자가 공지사항을 열람한 구성원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함 

○ 주요 공지사항은 목록 상단에 표시할 수 있어야 함 

○ 질의응답의 공개/비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함 

○ 질의응답 멀티 답변 기능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함 

○ 실명/익명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 1:1 상담 게시판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게시글은 SMS/Mail로 알림 및 내용 전송이 가능하여야 함 

○ 질의응답 답변 시 SMS/Mail로 알림이 전송되어야 함 

○ 카테고리나 다른 게시판/강좌 내 게시물을 특정 게시판에 복제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교수자와 수강생이 필요한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어야 함 

○ 교수자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자료를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해야 함 

 

 

고유번호 

SFR-040 

요구명칭 

(학습자) 메인 페이지 구성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메인 페이지 구성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현재 수강과목 현황 및 과거 강좌 조회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메시지, 강좌, 새 소식 알림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예정된 할 일(To do list)가 제공되어야 함 

○ 미제출 과제 마감일과 학사일정을 캘린더에 연동하여 표시되어야 함 

○ 개인정보의 설정이 가능하여야 함 

○ 업로드한 개인 파일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여야 함 

○ 읽지 않은 강의자료 및 게시글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야 함 

○ 모바일 환경에서의 사용이 가능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41 

요구명칭 

(학습자) 학습현황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학습현황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습자별 학습현황 정보 조회가 가능하여야 함 

 - 학습자 스스로 학습현황 및 진도율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함 

 - 학습자별 출결/성적/소속된 그룹정보/진도현황 조회가 가능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42 

요구명칭 

(학습자) 게시판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게시판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전체 공지사항, 강의 공지사항, Q&A, 자료실 조회 및 권한에 따른 글 작성이 가능하여야 함 

○ 게시된 글에 대한 댓글 등록이 가능하여야 함 

○ 1:1 상담 지원이 가능해야 함 

 

 

 

 

고유번호 

SFR-043 

요구명칭 

(학습자) 설문조사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설문조사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설문 참여 및 결과보기가 가능하여야 함 

○ 설문 응답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설문조사 결과 통계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주관식/객관식/평가식 문항 지원되어야 함 

○ 모바일 설문 참여가 가능해야 함 

 

 

고유번호 

SFR-044 

요구명칭 

(학습자) 팀 프로젝트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팀 프로젝트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팀 프로젝트 진행 시 다양한 학습활동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팀프로젝트 지원 기능 : 과제, 게시판, 토론, 퀴즈, 대화방, 동료평가, 위키 

 - 해당 팀원만 해당 학습활동 방에 접속이 가능하게 해야 함 

○ 팀원 간 의견교환 등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지원되어야 함 

○ 팀별 실시간 토론이 가능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45 

요구명칭 

(학습자) 시험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시험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온라인 시험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시험 응시 전 시험 기능 테스트를 제공하여야 함 

○ 시험 결과 및 시험 결과 통계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시험 문항 공개 및 피드백을 제공하여야 함 

○ 모바일 환경에서 시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야 함 

○ 성적분포도 및 학습자 자신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46 

요구명칭 

(학습자) 과제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과제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과제 제출 및 평가점수 확인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과제 조회 및 댓글 등록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하나의 과제에 대해 다수의 첨부파일을 등록할 수 있어야 함 

○ 과제 제출에 따른 교수자의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함 

○ 최종 과제 제출 현황 조회가 가능해야 함(제출여부, 마감기한 내 제출여부, 제출시간, 제출파일 첨부 여부 등) 

○ 과제 파일 업로드 후 ‘변경 및 저장’을 누르지 않아도 파일 초안으로 자동 저장할 수 있어야 함 

 

 

고유번호 

SFR-047 

요구명칭 

(학습자) 수업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수업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플립러닝 선행 학습을 위한 학습 과제 및 사전질문이 가능하여야 함 

○ 과제 및 토론에 사용될 수업자료의 등록이 가능하여야 함 

○ 중간 및 기말고사 일정 등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가능하여야 함 

○ 수업 평가 자료 등록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교과/비교과 학습 과제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48 

요구명칭 

(학습자) 동영상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동영상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HTML5를 지원하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함 

○ 멀티 OS/디바이스를 지원하여야 함 

○ 진도체크(학습기록)/이어보기 기능이 지원되어야 함 

○ 고/저 배속 등 다양한 배속재생 기능이 지원되어야 함 

○ 다국어 자막(CC) 선택 및 다양한 자막 포맷을 지원하여야 함 

○ 재생 품질 자동 및 수동 선택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동영상 재생 관련 로그 및 통계관리가 지원되어야 함 

○ 사용자와 동영상 간 상호작용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함 

○ 다중 접속을 통한 중복 학습 시 차단 기능이 지원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49 

요구명칭 

(학습자) 실시간 수업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자) 실시간 수업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실시간 수업 참여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실시간 수업 참여(모바일)시 온라인 연동 출석 관리가 추가되어야 함 

○ 다중 접속을 통한 중복 학습 시 차단 기능이 지원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50 

요구명칭 

(관리자) 통합학사연동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통합학사연동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사정보 연동 관리자 모듈이 제공되어야 함 

 - 현재 운영 학기 설정 기능 

 - 학사 연동 학기 설정 기능 

 - 수동 동기화(강의정보/수강정보 등) 기능 

 - 학사 연동된 강좌 정보 중 분반/합반 처리에 대한 가이드 

 - 학사 연동된 DB를 쉽게 조회 기능 및 개별 동기화 기능 

○ 성적/출석(온라인/오프라인 수업) 연동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고유번호 

SFR-051 

요구명칭 

(관리자) 사용자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사용자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교수자, 학습자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특정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사용자 권한 변경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사용자 검색이 용이해야 하며 수강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야 함 

○ 모든 사용자의 정보나 관련된 관리 항목에 대해 조회, 수정, 등록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교수자 및 학습자의 교수학습 활동을 관리 통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학습자의 접속 상황 조회 및 검색이 가능해야 하며, 접속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함 

○ 학사 연동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를 일괄 등록 및 일괄 수강 신청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휴학생도 청강생 등록 기능 제공) 

 

고유번호 

SFR-052 

요구명칭 

(관리자) 강좌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강좌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정규 및 비정규 과정 관리가 가능하여야 함 

○ 모든 강좌는 학기제, 기간제, 수시강의 개설 및 관리가 가능하여야 함 

○ 이전 학기에 사용했던 콘텐츠 및 각종 자료를 현재 학기로 이관할 수 있어야 함 

○ 합반 기능 지원과 자동으로 수강생을 연동할 수 있어야 함 

○ 단과대학 단위 관리 권한 부여로 과목 관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 공동 교수 및 청강생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53 

요구명칭 

(관리자) 콘텐츠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콘텐츠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과목별 콘텐츠 관리 

 - 콘텐츠의 등록/삭제/관리 기능 

○ 콘텐츠 버전관리 지원이 가능해야 함 

○ 교수자 콘텐츠를 공유/비공유 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이전 학기에 사용한 콘텐츠 및 강의 자료 재사용이 가능해야 함 

○ 다양한 타입(동영상, HTML)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할 수 있어야 함 

○ 강의 녹화 솔루션을 통해 녹화된 영상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함 

 

 

고유번호 

SFR-054 

요구명칭 

(관리자) 통계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통계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전체 시스템 이용 현황에 대한 파악이 용이한 통계 기능 제공 

 - 다양한 접속 통계 기능(월별, 일별, 요일별, 시간대별, 주별, 학기별, 연별에 대한 전체, 신규/재방문, Device별 접속 통계) 

 - 접속 통계에 대해 비교 대상을 설정한 비교 통계 기능 

 - 접속 통계에 대해 특정 기간을 설정하여 범위 통계 기능 

 - 접속 통계에 대해 사용자 권한별로 기준 통계 기능 

 - 다양한 강좌 통계 기능(교수자 강좌, 사용자 검색, 강좌 접속 통계, 학습자원/활동 검색, 학습자원/활동 비교, 학습자원/활동 집계, 강좌 현재 진행률, 파일 업로드 사용량, 학습활동 집계, 강좌 학습활동, 학습활동 비교) 

 - 학기별 시스템 이용 현황에 대한 대시보드 제공 

 - 학습활동/자원에 대한 사용 통계 제공 

 - 파일 업로드 사용량에 대한 통계 제공 

 - 그래프 형태의 다양한 통계 자료 및 엑셀 다운로드 기능 제공 

 

 

 

 

 

 

고유번호 

SFR-055 

요구명칭 

(관리자) 시스템 모니터링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시스템 모니터링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시스템 장애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기능 제공 

 - 운영 서버들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 제공 

 - 서버별 CPU/Memory/Disk/Network 사용량 조회 기능 

○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시스템 관리자 및 담당자에게 SMS 통지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서비스 장애 시 SMS 통지 

 - 학사 시스템 연동 장애 시 SMS 통지 

 - CPU, Memory, Disk 임계치 도달 시 SMS 통지 

 

 

고유번호 

SFR-056 

요구명칭 

(관리자) KOCW 연계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KOCW 연계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대학 강의 정보 유통시스템과 연계를 지원하여야 함 

○ KOCW 메타데이터 형태로 과목 정보 추출할 수 있어야 함 

○ 대학 강의 공개/공시 관리 및 추가 메타데이터 관리가 가능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57 

요구명칭 

(관리자) 시스템 접속현황 조회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시스템 접속현황 조회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로그 검색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기간 지정 검색, 사용자별 로그인/로그아웃 이력, 성적 변경이력, 수업 활동 검색) 

○ 사용자별 시스템 접속 로그(학습자, 교수자 모두 대상)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함 

 - 접속 링크, 접속 시간, 접속 브라우저 버전, IP 등 

 

 

고유번호 

SFR-058 

요구명칭 

(관리자) 팝업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팝업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공지사항 게시글 중 특정 게시글을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함 

○ 여러 개의 공지 배너를 하나의 팝업창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함 

○ 공지 배너 팝업창은 사용자 유형별(학생, 교수, 직원)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함 

 

고유번호 

SFR-059 

요구명칭 

(MOOC) 관리자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MOOC) 관리자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용자 관리 

 - 학사/일반/SNS 사용자 관리 기능 

 - 일괄 사용자 추가 기능 

 - 본교 요구에 부합하는 사용자 메타데이터 수집 기능 

○ 과정 관리 

 - 정규 교과 강의 > MOOC 강의 전환 기능 

 - 분류 관리 / 학문 영역 분류 관리 기능 

 - 과정별 메타데이터 관리 기능 

 - 과정 운영자 관리 기능 

 - 교과/비교과 역량 관리 기능 

○ 기수 관리 

 - 과정별 기수 운영 정책 지원 기능 

 - 오픈 과정 운영 지원 기능 

 - 수강 승인 방법 관리(자동/수동) 기능 

 - 수료 관리 기능 

 - 수료증 양식 관리 기능 

 - 신분별 수강신청 자동 승인 및 자동 수료 관리 기능 

 - 이전 운영 과정 복사 기능 

○ 수강 관리 

 - 수강신청 관리 기능 (유료 PG사 연동, 환불 처리) 

 - 수강생 명단 다운로드 기능 

 - 수강생 명단 일괄 업로드 기능 

○ 수료 관리 

 - 이수 기준에 따른 자동 수료 처리 기능 

 - 과정별 이수/진도 상태 조회 기능 

 - 수동 수료 처리 기능 

 - 수료증 부정행위 방지 기능 

 - 발급 이력 모니터링 기능 

 - 발급 기간 설정 기능 

 - 발급횟수 설정 기능(개인별 발급횟수 초과 시 발급 제한, 초기화 기능) 

○ 콘텐츠 관리 

 - 동영상 콘텐츠 관리 (Youtube 등 외부 동영상 등록 포함) 

 - 일반 콘텐츠 관리 (HTML, 플래시 등) 

 - 공개 콘텐츠 관리 (재생 목록 관리) 

○ 통계 관리 

 - 과정별 학습 이력 조회 

 - 콘텐츠 사용 통계 

 - 수강신청 통계 

 - 수료율 통계 

○ 개인정보 관리 

 - 관리자/운영자 활동 로그 이력 조회 기능 

 - 권한 관리 기능 

○ 운영자/학습자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여야 함 

 

 

고유번호 

SFR-060 

요구명칭 

(MOOC) 운영자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MOOC) 운영자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좌 구성 관리 

 - 주차/주제 단위 강좌 구성 

 - 단위별 학습활동/콘텐츠 관리(생성/편집/복사/활성화) 

 - 휴지통 기능(실수로 삭제된 학습활동/콘텐츠 복구, 학습 이력 포함) 

 - 학습활동 기능(과제/퀴즈/토론/질의응답/자료실) 

 - 동영상(유튜브 포함): 진도처리/이어보기/자막/배속 기능 제공 

 - 콘텐츠 관리 기능(일반 콘텐츠, 출석, 성적, 통계 관리) 

 - Adaptive Learning 학습 기능 

 - 이수 조건 설정을 통한 사용자 수준별/콘텐츠 이수 상태별 학습 지원 

 - 접근 제한 설정을 통한 사용자 순차 학습 지원 

 - 모니터링 

 - 퀴즈 진행 상태 및 응시자 활동 모니터링 

 - 과제 진행 상태 및 참여자 활동 모니터링 

 - 콘텐츠 학습 이력 모니터링 

 - 과제 온라인 첨삭 기능 

 - 제출된 과제에 대한 온라인 첨삭(PDF) 기능 제공, 첨삭 결과 PDF 다운로드 

○ 강좌 관리 

 - 강좌 기본 정보 관리 기능 

 - 교수/조교/수강생 관리 기능 

 - 수료/출석/성적 관리 기능 

 - 학습진도/활동 모니터링 기능 

 - 팀 관리 기능 

 - 백업 복구 기능 

 

 

 

 

 

고유번호 

SFR-061 

요구명칭 

(MOOC) 학습자 기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MOOC) 학습자 기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과정 검색 기능 

 - 다양한 검색 태그에 부합하는 검색 결과 제시 

 - 옵션에 따른 검색 기능 구현(콘텐츠, 보조 학습자료, 게시글 등) 

 - 검색 키워드 자동 완성 기능 

○ 마이페이지(대시보드) 

 - 수강신청 강좌 조회 기능 

 - 수료증 발급 기능 

 - 찜 강좌 관리 기능 

 - 북마크 관리 기능 

 - 개인 정보 관리 기능 

○ 학습 기능 

 - 콘텐츠 열람 및 진도관리 기능 

 - 학습 이력/진도 현황 조회 기능 

 - 출석/성적 현황 조회 기능 

 - 그 외 학습활동(과제/퀴즈/토론/설문) 기능 

 

 

고유번호 

SFR-062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서비스 구성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서비스 구성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캠퍼스 내 다양한 기관과 조직의 교육과정별 강좌 운영을 지원해야 함 

 – 대학, 대학원, 행정부서, 부속기관 주관 강좌 운영지원 

 – 학위과정, 비학위과정, 교과, 비교과 강좌 운영지원 

 – 교수자와 관리자의 공개수업(OpenCourseWare) 운영지원 

 – 교내 구성원, 일반인 사용자의 강좌 운영 

 – 편리한 수강생 업로드(추가, 삭제, 수정) 관리 지원 

○ 모든 강좌는 유형(100% 이러닝, 블랜디드러닝, 오프라인 수업)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함 

○ 교육 특강, 세미나, 워크숍, 학술행사 등 교내 현업부서에서 제작, 보관하고 있는 콘텐츠를 CMS 및 LMS를 통해 교내 구성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비정규 과정을 지원해야 함 

○ 비정규 강좌는 사용자가 직접 수강 신청할 수 있어야 하며, 관리자가 일괄적으로 수강 신청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 

 – 학기별로 개설된 강좌 조회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지난 학기 수강 강좌도 조회가 가능해야 함 

○ 비정규강좌 수료증 인쇄 기능 제공 

 

 

고유번호 

SFR-063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메인 페이지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메인 페이지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메인페이지 

 – 우리 대학교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할 수 있는 색과 디자인을 사용하여 UI 구성을 지원하여야 함 

 – 메인 페이지에서 강좌에 대한 프로모션 설정을 가능하게 해야 함 

 –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공지사항 등록/관리 

 – 강좌 통합 검색(분류 및 주제에 따른 검색) 

 – 강좌소개 구성(설명, 소개영상, 이미지 등 설정) 

 – 주제별, 조직별 분류체계 적용 

 – 메인 페이지 상의 팝업 게시 관리 

 – 메인 비주얼 이미지 복수 지정 및 설정 관리 

○ 메인 게시판 관리 

 – 공지사항, 이용안내, 문의 게시판 등 게시판별 게시글 관리 

 – 게시판 분류 및 사용 권한 설정 

 

 

고유번호 

SFR-064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기본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기본사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회원가입 

 – 일반인 사용자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이 되어야 함(일반인 대상 오픈 가능(이름, 이메일 주소만 등록하면 가입 가능, 혹은 구글, 네이버 등 연동 가입 가능) 

 – 회원 정보 입력 시 소속 대학 또는 소속 기관 입력이 가능해야 함  

○ 교내 학사 행정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외부인에 대한 권한 부여 및 관리방안을 제시 

○ 로그인 

 – 학내 통합 로그인 시스템과 연계 개발하여 SSO(Single Sign On) 구성이 되어야 함 

 – 일반(회원가입) 로그인과 SSO 통합 로그인이 제공되어야 함 

○ 로그인 암호화 반영 및 시스템 보안 사항 준수 

 – 보안성을 강화한 사용자 인증 방식 적용 필요 

 – 자동 로그아웃 기능 구성(일정 시간 미활동 시, 브라우저 종료 시 등) 

○ 본교 제공 웹서버 보안인증서 SSL(Secure Sockets Layer)를 설치 구성하여 사용자와 웹서버 사이에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 적용 

교내 구성원 중 사용자구분별(교수·학생·직원 등) 수강신청, 자동 수강신청 기능 제공 

결제 모듈 연계 방안 제시 

교수-학습활동 및 강좌 구성 등은 LMS 기능과 동일하게 구성 

웹 접근성 필수 제공(일반인 대상 강좌의 경우, 시각장애, 청각장애 등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함) 

전체 학습자 대상 또는 그룹별 학습자, 개별 학습자 대상 이메일 전송 기능 

공지사항, 게시판 질의응답 시 메시지 및 이메일 푸시 알림 기능 

강좌 영상 학습 후 댓글, 대댓글 사용 가능  

타 학습자 대비 본인 학습 진도율, 학습 현황 파악 가능 통계 제공 

학습 부진자 조회 및 독려 기능 제공 

우수 학습자 배지 기능 및 강좌 선호도 별점 평가 등 기능 제공 

강좌 로드맵, 학습경로(learning path) 구현 및 강좌 추천 기능(AI 기능 확장성) 

이수증 생성 시 이름, 강좌명, 학습 기간, 강원대학교 로고, 교수자 서명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무료/유료 이수증 구분 기능) 

강좌가 기간이 정해져 있는 기간 강좌인지 상시 강좌인지 구분 가능 

강좌 영상 및 학습활동 다운로드 가능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 

강의 불러오기, 복사-붙여넣기 기능(영상과 퀴즈 필수) 

강좌소개 부분에 홍보영상 및 소개(맛보기) 영상 삽입 가능  

강좌 홍보영상 유튜브 연동 기능(선택 사항) 

사용자 편의 UI·UX 사용 및 친절한 안내가 가능한 인터페이스 구성 

관리자 운영 통계 기능 제공 

강좌에 대한 만족도 추천 기능 제공 

강좌 시리즈 및 분류 태그에 다른 강좌 검색 기능 제공 

만족도 조사(평가, 설문) 기능 및 결과 대시보드 제공 

 

 

고유번호 

SFR-065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강좌 목록 및 검색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강좌 목록 및 검색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좌 목록 제공 

 – 강좌 단위의 과정을 목록화하여 나열해야 함 

 – 강좌 목록 보기 방식 다양화(바둑판, 썸네일 보기 등) 

○ 강좌 검색 기능 

 – 강좌 키워드 검색 

 – 분류 조건을 복수로 선택하여 검색 

 – 결과 내 키워드 조건 검색 

 – 다양한 강좌 조회 필터 제공 

 

 

 

고유번호 

SFR-066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강좌 소개 및 수강신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강좌 소개 및 수강신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좌소개 페이지 구성 

 – 강좌소개 구성 

 – 주제별, 조직별 분류체계 적용 

 – 설정에 따라 즉각적인 신청 및 온라인 활동 연결 진행 기능 제공 

○ 강좌 수강 신청 관리 기능 

 – 강좌 모집 방식 설정 

 – 수강자 수 제한 여부 

 – 자동 수강 신청 승인 또는 운영자 승인 중 선택 

 – 페이지 검색 요건(메타데이터) 입력 제공 

 

 

고유번호 

SFR-067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마이페이지(학습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마이페이지(학습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습자 마이페이지 

 – 전체 수강 신청 강좌 목록 제공 

 – 진행 중인 강좌 리스트 및 종료된 강좌 리스트 

 – 진행 중인 강좌에 대한 진도율 보기 

 – 진행 중인 강좌로 이동 바로가기 기능 

 – 수료증 조회 및 수료증 출력 기능 

 

 

고유번호 

SFR-068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마이페이지(운영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마이페이지(운영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마이페이지 

 – 강좌 운영자 마이페이지를 통해 담당 중인 강좌 리스트 확인 기능 

 – 진행 중인 강좌 및 종료된 강좌 구분 

 – 강좌 관리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바로가기 구성 

 – 수강생 관리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바로가기 구성 

 

 

 

 

고유번호 

SFR-069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사용자 관리(운영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사용자 관리(운영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용자 관리 

 – 운영 권한 관리(시스템 운영자, 서비스 운영자, 교수, 조교, 수강생 등) 

 – 사용자 목록 조회하기 

 – 사용자 필터링 하기(권한별 필터링) 

 – 사용자 검색(사용자 이름/아이디 포함 검색) 

 – 새로운 사용자 추가, 삭제, 수정 

 

 

고유번호 

SFR-070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강좌 관리(운영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강좌 관리(운영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강좌 관리 

 – 교수 및 수강생 대상 교육콘텐츠 생성, 삭제하기 

 – 교수 및 수강생 대상 교육콘텐츠 목록 조회 및 필터링 

 – 교수 및 수강생 대상 교육콘텐츠 정보 수정 관리 

 – 교수 및 수강생 대상 교육콘텐츠 사용자 관리, 사용자 권한 관리 

 – 교수 및 수강생 대상 교육콘텐츠별 소개 페이지 구성 

 – 주제별, 조직별 분류체계 적용 

 – 설정에 따라 즉각적인 신청 및 온라인 활동 연결 진행 기능 제공 

○ 강좌별 사용자 모집 방식 설정 

 – 수강자 수 제한 여부 

 – 자동 수강 신청 승인 또는 운영자 승인 선택 기능 제공 

 – 페이지 검색 요건(메타데이터) 입력 제공 

 

 

고유번호 

SFR-071 

요구명칭 

(공유형 플랫폼) 학습 이수 관리(운영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공유형 플랫폼) 학습 이수 관리(운영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학습 현황/ 이수 현황 조회 관리 

 – 강좌별 수강생 출결/성적 이수 조건 대비 학습 현황 통계 조회 

 – 강좌별 수강생의 출석/성적 이수 조건 대비 이수 여부 조회 

 – 수강생별 이수증 조회 및 출력 기능 

 – 수강생 학습/이수 현황에 대한 엑셀 다운로드 

○ 이수증 관리 

 – 우리 대학교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이수증 디자인 템플릿 적용 

 – 이수증 기본 정보 표시 및 선택적 정보 구성 가능 

 

고유번호 

SFR-072 

요구명칭 

외부시스템연계 – CDN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외부시스템연계 – CDN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서비스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CDN 연계 구성  

○ 학내 CMS(VOD)와 CDN 서비스를 동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관리자 원클릭으로 대상 콘텐츠의 서비스 위치 스위칭(CMS <–> CDN 전환) 서비스 제공 

○ 동영상 콘텐츠의 안정적인 제공을 위한 CDN 서비스 제안 

 

 

고유번호 

SFR-073 

요구명칭 

동영상 학습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동영상 학습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플래시 기반이 아니어야 함 

PC 및 모든 모바일기기에서 동영상 서비스 가능 

동영상 진도 체크 관리 기능(PC 및 모바일 모두 지원) 

동영상 재생 시간(구간 확인)에 대한 학습 시간 진도 체크 기능 

동영상 이어보기 기능 제공 

동영상 배속 기능 제공(1.0 ~ 2.0배까지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야 함) 

동영상 이어보기 기능 

다국어(한국어, 영어 등) 자막 등록 및 편집 기능 제공 

 - 동영상 재생 시, 재생 시간과 실시간 동기화되는 자막 스크롤링 기능 제공 

동영상 중간에 퀴즈 등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퀴즈에 대해서는 성적 반영이 가능하여야 함 

해외 학생에 대해서도 서비스에 문제가 없어야 함 

 

 

고유번호 

SFR-074 

요구명칭 

Learning Record Store 구축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기록 저장소 구축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관리 기능 개발 

- LRS에 로그인 할 사용자 입력, 수정, 삭제 등 사용자 관리 

- LRS에 로그인 할 사용자 입력, 수정, 삭제 등 기관 관리 

- 등록, 수정, 삭제 LRS 사용자 인증 관리  

- 등록, 수정, 삭제 LRS 사용자 권한 관리 

Dashboard 개발 

- 가장 인기 있는 experience activity type 

- 일주일 동안의 요일별 Activity Change 수 

- 사용자별 활동 Statements 수 

- 가장 인기 있는 Activity 

- 일별 Statements 변화 수 

- Verb 활용 수 

- 1주일 동안 LRS에 저장된 Statements 수 

- 대시보드 상호작용 및 시각화 

- 요약데이터 및 시각화 화면 구성 

-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관리자 기능 구성 

- 빅데이터 분석 결과 시각화 결과를 확인 

API 관리 

- 타 LRS와의 데이터 연동에 필요한 API 개발 

- 다양한 유형의 DB(Mongo DB, RDBMS등) Connection 관리를 위한 API 개발 

- 타 시스템의 데이터 연계 후 Dashboard 구성을 위한 API 개발 

배치 스케줄러 관리 

 - 데이터수집 및 데이터 export, import에 대한 배치 스케줄러 관리 

API Viewer 관리 

 - 저장된 API 목록, 검색, 수정, 삭제 기능 구성 

 - API Json 구조 상세 보기 기능 

Activity Profile 관리 

 - Activity Profile 관리 

API Statement 관리 

 - API Statements Export, Import 

 

고유번호 

SFR-075 

요구명칭 

LRS기반 학습분석(학습자, 교수자, 관리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학습분석 화면 구축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AI 활용 학습기록시스템 지표 개발 연구’ 결과의 지표를 기반으로 대시보드 시각화 구현 

LMS의 학습활동 및 로그 분석 후 운영자, 교수자, 학습자별 학습분석 환경 제공 

❍ 실시간, 비실시간 통계 데이터 및 서비스 모니터링 기능 제공 

❍ 수집된 데이터 기반의 통계 시스템 구현  

❍ 학습분석 요구사항  

 - 지능형 맞춤 학습 큐레이션에 사용이 가능한 추천 알고리즘 형태 제시 

 - 추천에 필요한 추천 대상 정보와 모수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력데이터를 구성하고 콘텐츠를 추천 

 - User 기반,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추천 

 - 강좌, 사용자(교수자, 학습자), 학습활동의 로그 분석 후 사용자별 맞춤형 데이터(콘텐츠, 강좌 등) 추천  

 - 기타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요구사항 개발   

❍ 실시간, 비실시간 통계  

 - 실시간 접속자  

 - 접속한 사용자의 환경 정보 (디바이스, 브라우저, IP, OS, 접속지역 등) - 사용자의 접속 메뉴 통계  

 - 강좌별 학습활동 등록 현황  

 - 사용자별 학습활동 이용 현황 (학습활동명, 접속현황, 완료여부 등)  

 - 기타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요구사항 개발  

❍ 데이터 시각화 및 요구 기능  

 - 분석이 완료된 데이터의 시각화 - 다량의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어야 함 

 - 데이터 유형별 확인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유형의 시각화 도구 제공  

 -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데이터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어야 함 

 - 분석된 데이터의 요약 정보, 상세 정보를 제공해야 함 

 - 데이터 인사이트를 통해 쉽게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함 

 - 분석데이터별로 필터 적용이 되어야 함(userid, 지역, 디바이스 등)  

- 시각화 도구는 그리드, 차트, 도형의 형태로 제공해야 하며, 사용자별로 쉽게 유형 변경할 수 있어야 함 

 - 모든 데이터는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야 함 

 

 

 

다. 성능 요구사항 

고유번호 

PER-001 

요구명칭 

성능 일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성능 일반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응답속도 및 시간: 각 웹페이지별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은 3초 이내로 구현되어야 함 

 1) 성능 예외 사항 

 - 데이터 조회 대상이 10,000건을 넘어가는 경우 

 - 한 개 이상의 큰 이미지(이미지 500KB 이상) 및 동영상을 가지고 있는 페이지 

 - 시스템 사용률을 과도하게 높이는 배치성 업무(백업 등)가 처리되는 상태에서는 적용 제외 

  2) 팝업 알림 

 - 사용자 요청 시점에서 10초 이상 소요되는 작업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팝업 메시지로 작업 내용을 알려야 함 

 - 대량 데이터(기준 5,000건 이상) 조회/출력/다운로드 시 작업을 시작하는 시점에 이에 따른 영향에 대해 사용자에게 팝업 메시지로 알려야 함 

 

 

고유번호 

PER-002 

요구명칭 

오류응답시간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오류응답시간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오류에 대한 메시지를 정보 입력 후 3초 이내에 제시하여야 함 

○ 오류 메시지는 사용자가 인지하여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함 

❍ 장애 발생 시 5분 이내에 자동 복구되어 시스템 무중단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  

 

 

 

라.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고유번호 

SIR-001 

요구명칭 

디자인 요구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디자인 요구사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 시안 제시 

○ 사용자 중심의 편리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구현(유니버설 디자인) 

○ 메인 및 서브화면의 통일성 있는 디자인 구성 

○ 디자인 소스 및 폰트에 대해서는 저작권에 대한 문제가 없어야 함 

 - 저작권 문제 발생 시 수행사가 책임져야 함 

○ 최신 감각의 디자인을 반영하여 신규 콘텐츠 관련 이미지 제작 

 

 

고유번호 

SIR-002 

요구명칭 

메시지 제공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메시지 제공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삭제, 수정, 등록 등 홈페이지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에 대해 확인 메시지 제공 

○ 홈페이지에서 발생한 오류 메시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오류 내용 및 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안내 

 

마. 데이터 요구사항 

고유번호 

DAR-001 

요구명칭 

데이터표준화 기준 준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데이터표준화 기준 준수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데이터는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 데이터 교환, 데이터 품질 향상, 데이터베이스 통합 등을 위하여 표준화되어야 함 

○ 현행 데이터 표준과 표준화 요구를 토대로 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요 데이터 표준화 항목을 도출하고 표준화 추진 절차를 제시해야 함 

○ 표준화 원칙에 따라 데이터 명명 및 코드 표준화를 수행하여야 함 

○ 정의된 데이터의 속성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인지 가능해야 함. 

 

 

고유번호 

DAR-002 

요구명칭 

데이터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데이터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개인정보보호법 및 관련 지침 등에 의해 암호화 대상이 되어야 하는 정보는 처리 기준에 따른 조치를 하며, 암호화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암호화(복호불가)되어야 함 

 

 

고유번호 

DAR-003 

요구명칭 

데이터 이행 테스트 데이터 구축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데이터 이행 테스트 데이터 구축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개발된 데이터 이행 S/W 등을 이용하여 구축된 이행 환경으로 현행 DB의 데이터를 이행하여야 함 

 - 운영시스템과 동일한 환경에서 데이터 추출, 변환, 검증, 적재 작업 등 데이터 이행에 대한 지속적인 테스트를 거쳐 이행 작업 절차 확립 

 - 업무, 시스템, 대내/대외 간 유기적인 연계가 정상 작동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통합테스트용 초기 데이터 구축  

 - 업무 담당자 및 시스템 운영자에 의하여 실시되는 시험 운영용 초기 데이터 구축 

○ 데이터 이행 시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코드 매핑 정보를 적용하여 코드변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 

 

 

 

 

고유번호 

DAR-004 

요구명칭 

최적의 데이터 이행 방안 마련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최적의 데이터 이행 방안 마련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기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추출, 새로운 시스템에 데이터 적재 등 데이터 이행 절차의 각 단계별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하여야 함  

 - 활용 가능한 방안은 제안사가 제시하고 강원대학교와 협의하여 결정 

○ 시스템 개통을 위한 최종 시스템 이행이 짧은 기간 동안 차질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선 이행 대상 데이터를 식별하여 단계적으로 선 이행하고, 데이터 이행 시나리오 최적화․단위작업 튜닝 등을 통해 최종 데이터 이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함 

○ 데이터 이행 절차의 각 단계별 데이터의 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여야 함 

 - 데이터 이관 계획 및 검증, 검증 결과에 따른 개선 활동 등 

 

 

고유번호 

DAR-005 

요구명칭 

백업 요구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백업 요구사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시스템은 자료의 파손, 변질, 분실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백업 기능을 제공해야 함 

 - 백업 대상: 소스 및 DB 모든 정보 

 - 백업 주기: 1일 단위로 백업 

○ 강원대학교 내 백업시스템 확인 및 요청 시 백업 설정 지원 

 

고유번호 

DAR-006 

요구명칭 

SQL튜닝 요구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SQL튜닝 요구사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적인 성능 유지를 위한 품질 관리 방안 제시 

○ 변경되는 DB의 품질 확보 방안 (표준용어 사용, 정규화 등)  

○ 변경 후 DB의 성능 유지 방안 (인덱스 조정 등) 

○ 변경 후 우려되는 성능 저하 등의 부작용 해소 방안 (문제가 되는 쿼리 사전 발견 및 튜닝 방안 제시) 

 

 

 

 

바. 테스트 요구사항 

고유번호 

TER-001 

요구명칭 

테스트 요구 일반사항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테스트 요구 일반사항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구축되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 및 테스트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사전 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하여야 함 

○ 테스트 단계별 수행 방법, 절차, 참여조직 및 역할, 점검 사항, 최종 검수 기준, 점검 후 조치 방안 등 세부적으로 계획 수립 

○ 다양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테스트 케이스를 마련하여 단위테스트 및 통합테스트를 수행 

○ 개발 초기부터 구축 완료까지 지속적으로 테스트를 실시해야 하며 테스트 결과의 모니터링 및 테스트 결과 조치를 계속적으로 수행 

 

 

 

사. 보안 요구사항 

고유번호 

SER-001 

요구명칭 

관리자 로그인 보안 조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관리자 로그인 보안 조치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관리자 페이지 로그인에 대한 보안 조치를 수행하여야 함 

 - 로그인 실패 횟수가 5회 이상 시 10분간 접속 제한 

 - 여러 명이 동시에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관리자 시스템에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동시 로그인을 차단하여야 함 

 

 

고유번호 

SER-002 

요구명칭 

사용자 인증정보 보호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사용자 인증정보 보호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용자 인증정보, 주민등록번호, 패스워드 등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를 소스코드에 직접 하드코딩 하지 않아야 함 

회원가입이 필요할 경우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가입 및 관리 되도록 설계, 구현해야 함 

 - 가상 식별코드(공공 I-PIN, 핸드폰 인증 등) 활용 

개인정보를 보유할 경우에는 관련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야 함 

서비스의 보안성 강화를 위하여 SSL 보안 통신을 실시하여야 함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을 준수하여 프로그램 구축  

 

고유번호 

SER-003 

요구명칭 

개인정보 보호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개인정보 보호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각 기능에 명시된 개인정보(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는 반드시 암호화하여 DB에 저장하여야 함 

○ 관리자인 경우에도 화면에 해당 정보를 그대로 노출하지 않아야 함 

 

 

고유번호 

SER-004 

요구명칭 

페이지 보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페이지 보안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SQL인젝션, 크로스사이트스크립팅, 웹쉘 업로드, 임의파일 다운로드 등의 웹 취약점이 없어야 함 

행정자치부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가이드’ 준용 

 

<주요 보안약점> 

 

 

 

• 프로그램 입력값에 대한 부적절한 검증(SQL삽입 등) 

• 인증, 접근제어, 권한 관리 등을 적절하지 않게 구현 시 발생 (중요정보 평문 저장, 하드코딩 된 패스워드 등) 

• 불충분한 오류 처리(오류 메시지를 통한 정보 노출 등) 

• 코드 오류(널 포인터 역참조, 부적절한 자원 해제 등) 

• 불충분한 캡슐화 (제거되지 않고 남은 디버그 코드, 시스템 데이터 정보 노출 등) 

• 부적절하거나 보안에 취약한 API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약점  

 

기관 홈페이지 운영 중 신규·수정된 소스코드 또는 기존 보유 중인 소스코드에서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발견될 경우 즉시 조치하여 시스템 안전성 확보 

 - OWASP 10대 취약점 및 유관 기관에서 취약점 조치를 요하는 항목 

 - 그 외 강원대학교의 판단하에 요청하는 보안 취약 항목 

 

 

 

 

 

고유번호 

SER-005 

요구명칭 

구간 암호화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사용자-웹서버간 구간 암호화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용자 PC부터 웹서버구간 간 암호화방식을 적용하여 구현하여야 함 

 - 정보시스템 로그인 시 정보통신망으로 전송되는 중요정보(아이디, 패스워드와 같은 로그인 정보 및 주민등록번호 등)에 대해 스니핑 등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SSL, TLS 등 네트워크 구간 암호화 조치 수행하여야 함 

 

 

고유번호 

SER-006 

요구명칭 

보안 규정 및 지침 준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보안 규정 및 지침 준수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발주기관의 보안 규정 및 지침을 준수하여야 함 

○ 구축 시 OS, 웹서버 등의 보안패치 및 설정을 실시해야 함 

○ SW개발보안 적용(소스코드 보안 약점) 

 - 행정안전부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가이드」를 준수해야 함 

○ 발주기관이 요구하는 제반 보안 사항을 이행하고 참여자의 신원증명, 보안서약서 등 요구 시 제출하여야 함 

○ 사업에 참여 인원에 대하여 사업 착수 이전에 철저한 보안교육 실시 

○ 발주기관으로부터 획득한 비밀사항을 제3자에게 누설하여서는 안 되며, 이를 위반 시 민·형사상 책임을 져야 함 

○ 보안 관련 각종 지침 준수해야 함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을 준수하여야 함 

 

 

고유번호 

SER-007 

요구명칭 

취약점 점검 수행 및 점검 보고서 제출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취약점 점검 수행 및 점검 보고서 제출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계약업체는 구축대상 시스템 및 개발 영역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정보화진흥원(NIA)『정보시스템 구축 단계별 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야 하며, 정보시스템에 대하여 정보보호 전문회사 또는 정보보호 전문가가 참여한 취약점 점검과 모의해킹을 실시해야 함. 정보보호 전문가 자격은 정보보호 관련학과에서 석사 이상 학위, 3년 이상 정보보안업무 경력 또는 CISSP, CISA, SIS 등 국내외 정보보호 공인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이어야 함. 

❍ 취약점 점검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되어야 함 

 - 점검 대상 시스템 정보 

 - 점검 계획, 방법 (도구 정보 포함)  

 - 점검 인원, 시간 

 - 점검 영역 

❍ 정보시스템 내부 취약점 점검 

❍ 정보시스템 서비스 취약점 점검 

 - 점검 결과 요약 

 - 각 시스템의 취약점 및 위험성 상세 정보 

 - 모의해킹 결과보고서 또는 취약점 조치 및 결과 보고(사업종료 전 정보보안 담당관에게 제출하여 검토 완료 후 이상이 없을 때 사업이 종료됨) 

 

 

고유번호 

SER-008 

요구명칭 

응용 시스템 보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응용 시스템 보안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웹 서비스 및 XML 보안을 위해 XML 서명, XML 암호화, WS-Security, SAML을 적용해야 한다.  

 - 비밀키: 공공기관간 데이터/문서 보호를 위한 암호는 비공개 암호체계(국정원)를 적용해야 한다.  

 - 공개키: 공공기관과 민간 간 데이터/문서 보호를 위한 암호는 민간겸용 공개암호(ARIA)를 사용해야 한다.  

❍ 공개키 암호알고리즘은 RSA(PKCS #1), RSAES-OAEP, RSASSA-PSS, 국가기관용 표준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해야 한다.  

❍ 키 사이즈는 2,048비트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 암호검증: 암호검증은 국가용 암호관리센터에서 발급한 암호검증서(국정원)를 적용해야 한다.  

❍ 목표시스템 간 또는 목표시스템과 내부시스템 간 자료 교환 시 기밀성, 무결성, 접근제어 등을 보장해야 한다.  

 - 침입차단서버와 관리자PC 간 통신시 구간 암호화 및 무결성을 제공해야 한다.  

❍ 관리자IP를 등록하여 관리자PC에서만 서버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  

❍ 연계서버와 업무서버 영역 간에는 사전에 정해진 데이터 형식만 전달하도록 해야 한다.  

 

 

 

고유번호 

SER-009 

요구명칭 

데이터 보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데이터 보안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서비스 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대책 마련 

업무별, 데이터별 중요도에 따른 접근 권한의 차등 부여 방안 마련 

<중요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를 적용하여 ‘개인정보보호법 및 관련 지침’을 준수하여야 함> 

❍ 업별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계정, 패스워드, 계좌정보 등 각 기능에서 명시된 중요한 개인정보는 반드시 암호화하여 DB에 저장하여야 함 

❍ 모니터링 툴을 이용한 관리 화면에서도 해당 정보는 암호화되어야 하며, 모든 이력 정보도 반드시 데이터가 암호화되어야 하고 암호화되지 않은 정보는 삭제되도록 하여야 함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관리  

 

 

 

아. 품질 요구사항 

고유번호 

QUR-001 

요구명칭 

가용성 보장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가용성 보장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시스템은 통상적인 업무시간 동안 가용성을 보장하여야 하며, 시스템 조건이 무엇이든지 간에 모든 채널에 동일한 자료 및 결과를 생성하고 인도해야 함 

○ 시스템은 정상상태에서 매일 24시간 동안 무중단으로 운영되어야 함 

 

 

고유번호 

QUR-002 

요구명칭 

장애대응을 위한 백업절차 마련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장애대응을 위한 백업절차 마련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시스템은 신속한 장애 대응을 위하여 백업 절차를 마련해야 함 

○ 에러복구, 장애 대책 확보 등 신뢰성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 

○ 테스트 결함 발생율 및 조치율 

 - 테스트 기간 동안 발견된 결함 수와 결함의 지속시간을 측정하여야 함 

 - 테스트 기간 동안 발견된 결함에 대한 조치율은 100%이어야 하며, 제안사의 불가항력으로 인한 미조치 사항은 발주자의 승인을 득해야 하며, 결함에 대한 조치로 인하여 계획된 일정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됨 

 

고유번호 

QUR-003 

요구명칭 

유지보수 방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유지보수 방안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시스템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업그레이드가 용이해야 하며, 보안사고 예방, 성능 개선 등이 발생하는 경우 패치를 제공하여야 함 

○ 무상 보증 

 - 시스템의 무상보증기간은 검수 완료일로부터 12개월로 하며, 단 납품 물품 중 무상보증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경우 그에 따르며, 무상 유지보수는 개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시스템 전체로 한다. 

 - 시스템 확장: 유지보수에 용이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시스템 확장 시 상호 운영성, 이식성 등을 보장하여야 함 

○ 유상 유지보수에 대한 지원 방안과 서비스 비용을 제시하여야 한다. 

 

 

자. 제약사항 

고유번호 

COR-001 

요구명칭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개인정보보호 관련 모든 법규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 개발 표준안을 마련하여 이를 개발에 반영하여야 함 

 - 개인정보 열람 시 접근 이력 기록 및 필요시 사유 입력 

 - 개인정보 열람에 대한 이력 관리 통계 또는 조회 화면 제공 

 - 개인정보 중 고유식별정보에 대한 암호화 

 - 관련된 정보의 접근, 열람, 저장 등의 모든 로그를 저장 관리 

 

고유번호 

COR-002 

요구명칭 

웹표준 및 호환성 준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웹표준 및 호환성 준수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국제 웹 관련 표준화기구인 W3C에서 권고하는 웹 표준 준수 

 - W3C Markup Validation(http://validator.w3.org) 문법 검사 통과 

 - W3C CSS Validation(http://jigsaw.w3.org/css-validator) 문법 검사 통과 

○ 웹 호환성 확보를 위하여 「전자정부 웹사이트 품질 관리 지침(행정안전부 고시 제2021-19호)」의 준수하여야 함 

 - OS: Win, MAC, Linux 등 

 - 최소 상이한 3종 이상(Chrome, Firefox, Opera, Edge 등)의 웹브라우저를 지원해야 함  

Windows 8, 10 및 그 이상에서 모두 운영되어야 함 

ActiveX 사용은 불가 

○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른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해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KICS.OT-10.0003/R2)” 준수 

 

 

고유번호 

COR-003 

요구명칭 

개발관련 지침 준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개발관련 지침 준수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정보시스템 및 웹사이트 구축 관련 지침 

 -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지침(행정자치부) 

 - 행정공공기관 웹사이트 구축운영 가이드(행정자치부) 

 - 전자정부서비스 호환성 준수지침(행정자치부)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웹 콘텐츠 제작기법 2.1 (웹접근성 연구소) 

 -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관리 지침(행정자치부) 

 -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지침(미래창조과학부) 

 -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가이드(행정자치부) 

 -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가이드(행정자치부) 

 - 강원대학교 정보보안 지침 및 개발 가이드 등 

 

 

고유번호 

COR-004 

요구명칭 

저작권 및 지적재산권 보호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저작권 및 지적재산권 보호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모든 디자인과 콘텐츠 및 폰트는 저작권법을 준수하고, 저작권 침해 분쟁 발생 시 민·형사상 일체의 책임은 제작사에게 있음 

○ 법률적 절차가 생기는 경우에는 발주자의 소재지 관할 법원으로 함 

○ 모든 산출물의 저작권과 지식재산권은 발주자와 사업자가 공동 소유함을 원칙으로 하되 세부사항은 협의하여 결정 

○ 본 사업에서 제공한 이미지 등 모든 디자인과 콘텐츠, 시스템 설계·구현·운영에 관련된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소유권은 발주자에게 있음 

○ 본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소프트웨어는 용역계약일반조건 제56조(계약목적물의 지식재산권 귀속 등)에 따라 타 기관과 공동 활용할 계획이 없음 

모든 이미지(아이콘, 그림, 사진 등), 영상, 폰트, SW 등 지식재산권이 있는 콘텐츠는 관련 법률을 위배하지 않도록 구매 후 사용하여야 함 

제3 자의 특허권 또는 저작권을 침해하여 주관 부서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제기될 경우 주 사업자는 피해자 측에 배상해야 함 

 

고유번호 

COR-005 

요구명칭 

모듈화 설계 및 개발 표준화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모듈화 설계 및 개발 표준화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구축시스템은 표준화된 시스템 구축을 통해 각 기능별 컴포넌트화된 구조로 설계하고, 구축하여야 함 

공통 서비스 구현 및 기능별 특성화를 위해 유연성, 확장성 담보를 위한 컴포넌트 기반의 모듈화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여야 함 

○ 구축시스템과 내․외부 기관과 연계를 위한 공통 기능은 본 사업의 개발 대상에 포함하여야 함 

프트웨어 개발은 기능 공통성, 재사용성, 확장성과 유지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특화된 방법론과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함 

신기술 수용 및 향후 확장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미래 정보기술 발전 추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함 

일체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소스와 실행 파일을 주관 부서에 제공하여야 함 

개발 과정에서 사용한 소프트웨어 중 향후 하자보수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제공하여야 함 

 ※ 개발 어플리케이션에 한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제공하여야 함 

자동화된 형상 관리 외에 프로그램 작성 시 소스코드에 대한 설명(작성자, 기능 개요, 입력값, 출력값 등)을 주석으로 입력해야 하며, 검수자가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함 

주사업자는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표준화하고, 소스코드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도록 개발 영역별 특성에 맞는 실제 예제가 포함된 표준 개발 가이드를 제공하여야 함 

본 사업 특성에 적합한 개발 방법론 및 관리 방법론을 선정하여 시스템 분석/설계/구축/테스트/이관/시범적용/오픈/안정화까지의 전체 수명주기 단계별 상세 일정을 제시하고, 일정에 따른 산출물을 작성하여 주관 부서의 승인을 받아야 함 

 

 

 

차. 프로젝트 관리 요구사항 

고유번호 

PMR-001 

요구명칭 

사업수행 조직 구성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사업수행 조직 구성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업자는 사업관리 책임자(PM)를 지정하여 과업을 통합적으로 책임 수행하여야 함 

○ 사업수행 장소는 발주처와 협의하여 결정함 

 

 

고유번호 

PMR-002 

요구명칭 

검수 및 산출물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검수 및 산출물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수주자는 사업추진 과정에서 생산되는 제반 작업 단위별 산출물에 대하여 작업 일정계획 및 품질보증 계획과 연계하여 산출물의 종류, 주요 내용, 작성 및 제출 시기, 제출 부수 등을 제시하여야 함 

○ 검수는 완료 보고서 접수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실시하며 계약서, 과업지시서, 사업수행 계획서 등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지체없이 보완 후 재검수를 받아야 함 

○ (산출물 반출 요청) 계약 상대자는 당해 계약에 따른 계약목적물에 대한 지적재산권의 행사를 위하여 계약산출물의 반출을 요청할 수 있으며, 발주기관은 국가 안보에 관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 여부를 검토하여 30일 이내에 그 결과를 통보 

○ (제제 요건) 활용 승인(제3자 제공 포함)을 받지 않고 반출하거나, 승인 받은 소프트웨어 산출물을 무단으로 유출하거나 누출되는 경우, 누출금지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활용하는 경우 

○ 산출물 목록 

문서명 

내  용 

부수 

시기 

착수보고서 

▪ 사업수행계획서 

▪ 보안서약서(대표자 포함) 

2부 

착수 

매뉴얼  

▪ 사용자, 관리자를 위한 가이드 문서 

▪ 운영자 지침서 

2부 

완료 

프로그램  

소스파일 

▪ 상세한 Document 및 Comment를 포함한 소스파일 및 실행파일, 원본 이미지파일의 경우 추후 편집이 가능한 원시 포맷 파일(PSD 파일 등) 

2부 

완료 

완료보고서 

▪ 완료보고서 

2부 

완료 

 

   ※ 산출물의 내용, 제출 시기, 수량 등은 필요시 협의를 거쳐 조정 할 수 있음 

○ 과업 수행자가 사업수행 과정에서 취득 또는 작성하는 성과품 및 산출물 일체에 대한 소유권은 “발주기관”에 귀속됨 

   ※ 다만, PSD 파일 등 이미지 파일의 경우 사용된 폰트도 산출물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고유번호 

PMR-003 

요구명칭 

보안 관리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보안 관리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업자는 본 사업수행 중 취득한 지식에 대해 과업수행 중은 물론 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라도 비밀 보안을 준수해야 하며, 위반할 시에는 민·형사상 책임을 감수하여야 함 

○ 본 사업에 종사하는 모든 인원은 과업 착수와 동시에 발주자의 보안 업무 규정에 의거 보안서약서 등을 작성 후 과업수행 계획서에 첨부하여 제출해야 함 

○ 사업 착수 시 대표자 명의 보안서약서, 완료 시 대표자 명의 확약서 징구 

○ 사업자는 외부PC(노트북 등) 반입 시 보안 프로그램을 반드시 설치하고, 내부 사용자 보안사항을 준수하여야 함 

○ 사업 전체 과정에 걸쳐 생성된 자료 및 결과물에 대해 적정한 정보보안관리 지침 준수 

 - 안전행정부 보안관리 및 정보통신보안업무 규정 

 - 개인정보보호법·시행령·시행규칙(’15.3.11) 

 -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 기본지침(안전행정부) 

 - 공공기관 홈페이지 개인정보 노출방지 가이드라인(안전행정부) 

 - 홈페이지 운영지침서 및 보안관리 매뉴얼(국가정보원, 사이버안전센터) 준수  

 - KISA(한국정보보호진흥원) 보안 가이드라인 등  

 

 

고유번호 

PMR-004 

요구명칭 

참여인원 보안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참여인원 보안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업자는 보안사항의 누설과 관련 자료의 도난, 분실, 기타 손괴 등을 방지하고 제반 보안사항의 조치를 강구 또는 감독하기 위하여 보안 책임자를 지정해야 함 

○ 사업수행 전 참여 인원에 대해 보안서약서 제출 및 보안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 과업수행 중 과업 참여자를 교체할 경우 인계인수를 철저히 하여 자료의 외부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함 

○ 사업자 이외의 자에게 부득이한 사정으로 관계 자료를 취급하게 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보안각서를 징구 후 취급하도록 하여야 함 

○ 주기적인 보안 교육을 실시하고, 발주자가 요구하는 보안 교육에 참석하여야 함 

○ 참여 인력은 「국가·공공기관 발주 용역사업 보안관리 요령」및 학내 보안관련 제반규정 준수 

 

카. 프로젝트지원 요구사항 

고유번호 

PSR-001 

요구명칭 

하자보수 지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하자보수 지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제안사는 프로젝트 완료 후 개발 시스템이 지속적인 발전 및 항상 안정성 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하자보수계획을 제시해야 하며 무상하자보수 기간은 검수(검사) 완료일로부터 1년으로 함 

○ 각종 장애 발생 시 즉각적인 원인분석 및 복구 등 무상하자보수를 보장하기 위하여 기술지원 부서를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시스템의 최적 운영방안 및 응급처리 방안 등에 대한 상세한 장애대책을 제시하여야 함 

○ 하자보수 활동에는 장애발생에 대한 처리,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함  

○ 예상 장애 유형별 조치사항 및 비상복구 방안 제시 

○ 유‧무상 하자보수 기간 동안 시스템 이상 발생 시 장애접수 후 4시간 이내에 보수가 가능하도록 유지보수 요원의 신속한 대응을 제공해야 함 

○ 하자보수 범위를 초과하여 유상으로 처리되는 유지관리 사항에 대해서는 대상범위와 유상처리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여야 함 

 

 

고유번호 

PSR-002 

요구명칭 

하자보수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하자보수 수행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개발기간을 제외한 안정화 기간에 업무장애/서비스 개선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하자보수 기술지원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지원 방안 제시 

 

 

고유번호 

PSR-003 

요구명칭 

기술이전 지원 및 교육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기술이전 지원 및 교육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업자는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을 발주기관 관리자 및 운영자에게 전수하여야 함 

○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위하여 사용자, 관리자, 운영자 등 시스템의 이용 대상자별로 구분하여 교육내용, 교육기간, 인원 등을 포함하여 상세한 교육훈련 계획을 제시하여야 함 

○ 발주기관 정보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을 위한 발주자의 기술지원 요청 시 적극 지원하여야 함 

○ 시스템 구축 이후에도 관련분야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과 기술 자문을 지원하여야 함 

○ 시스템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 매뉴얼 및 기술 자료를 제공하여야 함 

○ 시스템 구현 후 관련 담당자에게 운영방법 등의 교육을 실시하여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뒷받침해야 함 

○ 자체 유지보수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함 

 

 

고유번호 

PSR-004 

요구명칭 

사용자 교육 및 매뉴얼 지원 

요구사항상세설명 

정의 

사용자 교육 및 매뉴얼 지원 

응낙수준 

필수 

세부 

내용 

○ 사업자는 원활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본 사업에 적용된 새로운 기술과 유지관리 방법을 문서화하고, 관리자 교육을 제공하는 관리자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야 함 

○ 업무 담당자의 원활한 업무처리를 위해 서비스시스템 사용법에 관한 담당자 실무교육을 지원하여야 함 

○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할 교육훈련의 목적, 내용, 교육대상, 일정 등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여야 함 

○ 서비스시스템의 화면 또는 기능이 변경되었을 경우, 사업자는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시스템별 사용자 매뉴얼에 변경된 화면 또는 기능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야 함 

○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할 교육훈련의 목적, 내용, 교육대상, 일정 등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여야 함 

 

 

 

 

 

 

 

 

 

 

 

 

 

과업수행 지침 

 

1. 과업수행 일반지침  

□ 본 과업은 계약체결 후 10일 이내에 착수하여야 하며 착수 전 본 제안요청서에 근거한 과업수행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 발주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과업수행계획서에는 과업 수행자의 보안각서 등 과업 수행에 필요한 제반서류를 첨부하여 제출하고 과업 착수 시에는 착수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과업 수행자의 변경 시에는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정하도록 한다. 

 □ 과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과업단계별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또는 관련기관 협의회를 구성 및 운영할 수 있으며 과업 내용과 관련한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하여야 한다.  

 □ 과업수행계획서에 따라 실시하는 중간보고 및 최종보고는 연구책임자가 직접 보고하고, 기본계획 범위 결정, 부분별 계획 등 과업 수행 단계별 기본 방향과 계획 내용에 대하여 발주기관, 분야별 전문가, 과업 수행자가 참여하는 회의를 개최하여 수정, 보완, 의견제시 등으로 과업의 질을 높이고 원활한 과업 수행을 도모하며, 세부 추진 일정 및 현지 조사계획 등에 대하여 업무 담당자와 사전에 긴밀히 협의한다. 

 □ 본 제안요청서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 법규 및 지침, 제안요청서 등에 따라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수행하거나 결정한다. 

  ❍ 이 계약과 관련하여 분쟁이 있을 경우 국가계약법령 등을 준용하며, 관할 법원은 발주기관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으로 한다. 

 □ 과업수행 중 여건 변동 등으로 변경이 있을 때는 발주기관과 협의하여야 하며, 과업범위 또는 내용의 변경, 기타 발주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는 설계변경 할 수 있다. 

  ❍ 본 과업완료 후에도 경미한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 발주기관은 계약 상대자와 추가 비용 부담 없이 계약 상대자에게 이를 요청할 수 있다. 

 □ 발주기관은 본 과업수행에 부적격하다고 판단되는 과업 수행자에 대하여 연구책임자에게 교체를 요구할 수 있으며 연구책임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요구받은 즉시 해당 과업 수행자를 교체하여야 한다. 

 □ 최종보고서는 최종보고회 등에서 제시된 의견 등을 반영하고 인쇄 전에 그 내용에 대하여 발주기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 기타사항 

  ❍ 과업 수행자는 자문단 등에서 보완 반영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 제시된 의견에 대하여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 자료수집에 따른 제비용은 과업 수행자가 부담하며, 타인의 권리대상으로 되어 있는 지적재산권(특허권, 저작권 등)을 사용할 때도 과업 수행자의 부담으로 그 권리의 사용에 관한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하며, 이로 인한 발주기관의 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 본 제안요청서 해석상 이견이 발생한 경우, 발주기관과 계약 상대자가 협의하여 결정한다. 

  ❍ 과업 수행자는 본 과업과 관련하여 제3자에게 피해를 주었을 경우, 이에 대한 손실보상 등 책임을 져야 한다. 

  ❍ 사업기간 및 향후에도 본 사업과 관련하여 과업 수행자의 귀책사유에 의해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모든 민·형사상 책임과 비용 부담 의무는 과업 수행자에게 있다. 

2. 과업내용 확정 심의 여부   

 □ 본 사업은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50조에 따른 과업내용 확정을 위하여 과업심의위원회를 개최한 사업임(붙임4 참조) 

3. 과업수행 보고 

 □ 과업수행자는 과업수행에 착수하면 과업진도 및 추진내용 등에 대한 보고회를 수행하고, 발주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 진행 중인 과업일지라도 그 내용을 보고하여야 함 

    ※ 보고회 진행방식 및 세부일정 등은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결정 

 □ 과업착수 : 계약일로부터 10일 이내 (과업수행계획서) 

  ❍ 착수보고회: 협의 시 비대면으로 진행 가능함 

  ❍ 과업수행 방향·방법, 분야별 조직 편성표 

  ❍ 과업 세부수행 계획표(공정표): 최종보고회 일정 포함 

  ❍ 기타 과업에 필요한 사항 등(발주기관 요구사항, 문헌조사, 면담조사, 설문조사, 의견수렴 방안, 과업수행 아이디어 등) 

 □ 최종보고: 계약만료 이전에 완료 (최종보고서): 과업책임자는 과업종료 일주일 전에 과업결과 보고서(안) 및 기타자료 등 관련 자료 제출 

 □ 수시보고: 필요시 강원대학교 요청에 따라 과업 추진 사항 보고 및 논의 

 □ 과업의 완성 

  ❍ 과업의 완성은 수급자가 대학에 제출한 최종 성과품을 센터가 최종 승인함으로써 완성된다. 

  ❍ 과업 진행 중 또는 완료 후에도 불충분하다고 판단되거나, 센터의 사정으로 부분적인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센터는 이의 보완 및 변경을 요구할 수 있으며, 과업수행자는 이를 대학이 요청한 기일 내로 보완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4. 연구용역 성과물 제출  

 □ 단계별 보고서는 발주기관과 사전 협의 후 제출하여야 하며, 최종 성과물은 본 과업의 연구 과정 및 결과가 충실히 담겨 있어야 함 

 □ 성과물 제출 목록 

   

종류 및 내용 

납품기한 

수 량 

비 고 

 과업수행계획서 및 착수보고서 

착수보고회 개최 전 

1부 

 

 보안대책 관련 자료 

착수보고회 개최 전 

1부 

 

 최종보고서(안), 요약보고서(안) 

용역수행  

만료일 이내 

각 1부 

한글파일 

 요약보고서 

각 1부 

 

 

   ※ 성과품의 종류, 규격 및 부수 등은 발주기관의 요청에 따라 조정 가능 

5. 보안대책 

 □ 과업 수행자는 보안대책을 수립하여 보안상 결격사유가 없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본 과업 수행과 관련하여 지득한 업무상의 기밀 사항은 대외에 유출하지 않아야 한다. 

 □ 과업 수행자는 정부 또는 발주기관에서 정한 모든 보안 관계 법규 등을 준수하여야 하며, 이의 불이행 또는 과실로 인한 일체의 보안 사고에 대한 모든 책임은 과업 수행자에게 있다. 

 □ 본 과업 수행인력은 용역내용에 대한 보안책임이 있으며 과업 수행 중 보안규정의 준수 의무를 지고 보안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과업 수행자는 과업내용을 과업진행 이외의 다른 목적에 사용할 수 없으며, 발주기관의 승인 없이 임의로 소유 또는 복사하여 외부에 유출하거나 반출하여 사용할 수 없다. 

 □ 용역의 폐기물은 파쇄 처리한다. 

 □ 대외비 이상으로 분류된 자료 및 성과물을 발간하고자 할 때, 발간업체 관련자의 보안관리는 과업 수행자의 보안관리 기준에 따른다. 

6. 연구 ‧ 개발진의 구성 및 운영  

 □ 본 용역에 참여하는 연구․개발진은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학력, 경험, 자격을 갖춘 관련분야 전문가를 연구 분담자로 지정․구성하여야 한다. 

 □ 발주기관의 요구나 과업 수행자의 부득이한 사정으로 과업 참여자 교체 시 신구 참여자의 이력(경력)사항 및 교체 사유를 서면으로 제출하여 발주기관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과업 수행에 차질이 없도록 인수인계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과업 수행자는 효율적인 용역추진을 위하여 추진 상황에 대한 문제점을 점검하고, 발주기관의 관계자와 수시로 협의하여 사업이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7. 개발(연구)용역 수행 관련 일반사항 

 □ 과업 수행자는 수행한 과업 결과의 질과 정확도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 자료의 분석과 검토가 완료된 후 보고서를 작성하되, 어떠한 자료가 누락 또는 오기 되었을 경우 필요한 추가 작업은 과업 수행자가 부담하여 시행한다.  

 □ 본 용역추진을 위해 사용한 각종 기준과 자료는 최신 자료를 이용하여야 하며 서면으로 그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 개발(연구)수행 중 강원대학교와 과업 수행자 간 의견의 차이가 있을 때는 양자 상호 협의를 통하여 해결하여야 하며, 계약 쌍방 간의 의견이 상이할 때는 협의로 해결하고,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할 때는 용역 계약일반조건 제36조 제2항 단서에 따라 처리한다.  

 □ 과업 수행자는 용역추진 중 변동 사항이 있을 시 실정에 맞게 계획을 변경하고 강원대학교에 통보하며, 중요사항은 강원대학교의 사전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 본 제안요청서에 명기하지 않은 사항이라도 과업 수행자는 강원대학교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미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수용하여야 한다. 

 □ 본 과업이 완료된 후에라도 필요한 행정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발주기관의 요구에 따라야 하며, 성과품에 대한 보완 및 추가 수록 등이 필요할 시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즉시 보완해야 한다. 

 □ 용역수행과 관련한 모든 산출물의 저작권에 대한 권리는 강원대학교와 계약상대자가 공동으로 소유함을 원칙으로 하되 세부사항은 협의하여 결정함.  

 □ 과업수행 중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발생하였을 때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약 위반행위로 간주하여 관계규정에 따라 조치할 수 있다. 

  ❍ 계획공정에 비해 현저하게 공정이 미달되거나 중간 성과품이 미흡하여 계약기간 내 완료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 개발(연구)목적 및 추진방향과 상이하거나 기타 발주기관의 정당한 요구사항을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 

  ❍ 용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당한 방법으로 하도급을 주었을 경우 

 □ 과업 수행자의 과실이나 결함을 발견했을 시 발주기관 내부 평가를 통해 계약을 해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업 수행자는 일체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입찰 관련 사항 안내 

 

1. 입찰방식 

 □ 계약방법: 제한(총액)경쟁입찰, 협상에 의한 계약 

 □ 계약자 선정 절차 

입찰 

공고 

(제안 

요청서  

배부) 

 

제안서 접수 

 

기술 

평가 

위원회 심사 

 

협상 

적격자 선정 

 

가격  

평가 

 

협상 

실시 

 

사업자  

선정  

 

계약체결 

 

 

2. 입찰 참가 자격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 및 동 시행규칙 제14조에 의한 요건을 갖추고, 동법시행령 제76조 규정에 의한 입찰 참가 자격 제한을 받지 않은 자 

  ❍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입찰참가자격등록규정」에 의하여 나라장터(G2B)에 전자입찰서 마감일 전일까지 컴퓨터관련서비스업[업종코드:1468]으로 입찰참가자격을 등록한 업체 

  ❍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0조에 따라 다음호의 직접생산확인증명서를 소지한 자. ㉮ 정보시스템개발서비스(세부품명번호: 8111159901) 

  ❍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자 또는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소상공인으로서 「중소기업 범위 및 확인에 관한 규정」에 따라 발급된 중소기업․소상공인확인서를 소지한 자 

  ❍ 공동계약(공동이행방식)을 허용하며, 공동수급체는 5개 이하로 구성하여야 하며, 구성원별 계약 참여 최소지 분율은 10% 이상으로 하여야 함  

  ❍ 하도급 불허: 본 용역은 대학에서 임명하는 감독관의 지시 감독하에 수행하여야 하며, 제3자에게 하도급을 줄 수 없다. 

  ❍ 「소프트웨어 진흥법」제48조 제4항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제31조에 따라 지정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입찰에 참여할 수 없음 

 

3. 협상대상자 선정 방식 

 □ 제안서 평가 기준 근거 법규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3조(협상에 의한 계약체결) 

   ❍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기준」 (기획재정부계약예규 제721호) 

   ❍ 「교육부 기술(제안서) 평가업무 처리규정」(교육부훈령 제111호) 

 □ 기술평가와 가격평가를 실시하여 종합평가점수로 평가  

   ❍  평가비율: 기술평가(90%), 가격평가(10%) 

   ❍  종합평가 점수= 기술평가점수 + 입찰가격 평가점수  

   ❍  제안서 평가 결과 기술능력평가 점수가 기술능력평가 분야 배점 한도의 85% 이상인 자를 협상 적격자로 선정 

   ❍  협상 순서는 협상 적격자 중 종합평가(기술능력평가 점수와 입찰가격평가 점수 합산) 점수의 고득점순에 따라 결정 

   ❍  종합평가 점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기술 평가 점수가 높은 자를 우선 순위자로 하고, 기술능력평가 점수도 동일한 경우에는 기술능력평가의 배점이 큰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자를 우선 순위자로 선정 

 

 □ 평가항목 및 배점한도 

구분 

평가 

부문 

평가 

항목 

평가기준 

배점 

정성 

평가 

전략 및 

방법론 

(20점) 

사업이해도 및  

추진전략 

사업의 특성 및 목표에 대해 주변 환경분석과 업무 내용의 연관관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개발업무 수행 시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얼마나 창의적이며 타당한 대안을 제시하였는가를 평가한다. 

10 

적용기술 

및  

개발 방법론 

사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사업에 적정한 방법론의 제안 타당성을 평가하고, 실제 적용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단계별 활동 내용을 구성하여 산출물의 적정성을 유지하고, 기술과 경험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10 

기술 및 기능 

(25점) 

시스템 

장비구성 

요구 규격을 충족하는 장비 제안 여부와 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및 확장 가능성 여부를 평가한다. 또한 도입 시스템의 운영계획, 유지관리에 대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한다.  

10 

기능 및 보안 

 요구사항 

방법론 및 분석 도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내용으로 분석되고 구현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하고, 제안한 방안 및 기술이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한다. 

관련 기능 등 타 요구사항 및 시스템과 관련되어 분석되고, 적용할 표준 및 구현 방안이 설계단계부터 반영되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하고, 제안한 방안 및 기술이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한다. 

10 

데이터  

요구사항 

및  

제약사항 

데이터 전환 계획 및 검증방법, 에러 데이터 처리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제약사항 충족도는 기능 및 품질 등 요구사항 구현 시 관련 제약사항을 충족시키며 구현 방안 및 테스트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가를 평가한다. 

5 

성능 및 품질 

(15점) 

성능  

요구사항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통해 요구 성능이 충족되도록 방법론 및 분석 도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내용으로 분석되고 구현 및 테스트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하고, 제안한 방안 및 기술을 통해 요구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10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시스템 인터페이스 :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방안들에 대한 장ㆍ단점의 분석을 통해 가장 적합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 및 설계, 구현 방안과 검토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가를 평가한다. 

5 

프로 

젝트 관리 

(10점) 

관리방법론 및  

일정계획 

사업위험, 사업진도, 사업수행 시 보안을 관리하는 방법, 사업수행 성과물이나 산출물의 형상 및 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등을 평가한다. 

사업수행에 필요한 활동을 도출하여 정확한 활동기간의 산정과 도출된 활동 간의 배열이 합리적인지, 중간목표가 적정하게 제시되어 있는지, 각 활동에 적합한 자원이 적절히 할당되어 있는지 등을 평가한다. 

10 

프로 

젝트 지원 

(15점) 

시험운영 

 

교육훈련 

개발된 홈페이지의 시험 운영을 위해 제공 및 지원하는 각종 시험 운영 방법 및 조직 등에 대해 평가한다. 

홈페이지 운영 및 관리자를 위해 제공 및 지원하는 각종 교육훈련의 방법, 내용 등에 대해 평가한다. 

5 

유지보수 

및 기밀보안 

하자보수 및 유지보수 계획, 절차, 범위 및 기간과 이와 관련된 기타의 활동 및 그 제한사항에 대해 평가한다. 

사업추진 동안 악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불순 활동들로부터 기밀을 보호함과 동시에 원활한 사업의 수행을 보장하기 위한 체계 및 대책에 대하여 평가한다. 

5 

비상 대책 

안정적인 홈페이지 운영을 위해 제시하는 각종 백업/복구 및 장애대응 대책에 대하여 평가한다. 

5 

정량평가(5점) 

경영상태 

제안사의 신용평가 등급 확인 

(신용평가 등급 세부 평가기준에 따름) 

5 

배점 총 합계 

90 

 

※ 세부 평가 기준은 <붙임 1, 2> 참조  

 □ 제안서 기술평가위원회 

  ❍ 평가위원은 강원대학교에서 임명(위촉)한 위원에 의하여 제안서를 토대로 기술평가를 수행 

  ❍ 기술평가 점수는 각 평가위원의 기술평가점수 중에서 최저 및 최고 점수를 제외한 후 평균하여 산출. 다만, 최저 또는 최고 점수가 2개 이상일 때에는 하나만 제외 

 □ 협상범위 

  ❍ 협상대상자가 제안한 내용, 이행일정, 제안가격 및 기술평가위원회에서 권유한 사항 등을 협상 범위로 하며, 그 내용 일부는 조정 가능   

  ❍ 가격협상은 사업예산 이하에서 협상대상자가 제안한 가격을 기준으로 함  

 

 

기타사항 

 

 1. 하자담보 책임기간  

 □ 본 사업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은 주관기관이 검사에 의하여 사업의 완성을 확인한 후 1년간으로 함  

 2. 작업 장소 등  

 □ 계약상대자는 소프트웨어 사업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장소 및 설비, 기타 작업환경(이하“작업장소 등”이라고 한다)을 상호 협의하여 정함. 다만, 핵심 개발인력이 아닌 지원인력의 근무 장소는 보안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약상대자가 달리 정할 수 있음. 

 □ 계약상대자는 본 제안요청서에 명시한 보안요구사항을 준수하여 작업장소를 제시할 수 있으며 강원대학교는 이를 우선적으로 검토함  

 □ 원격지 개발 보안 요구사항 

  원격지 개발 수행 장소는 시건장치와 통제가 가능하고, CCTV 등 비인가자 출입통제 대책이 마련된 공간을 사용하여야 함 

  원격지 개발을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시스템은 관리자를 지정하여 관리대장에 등록하고, 바이러스 백신, 보조기억매체제어 등 정보보호 SW를 반드시 설치한 후 사용하여야 하고, 정보시스템 HDD의 비인가 반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인표를 부착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며, 원격지 개발 수행 장소를 기준으로 반출·입되는 모든 정보시스템(휴대용 저장매체 포함)은 반드시 반출·입대장에 기록해야 함 

  반입 시 바이러스 백신으로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반출 시 사업부서장의 확인 하에 포맷하여 반출하여야 함 

  휴대용 저장매체는 사용할 수 없도록 정보시스템에 조치하여야 하며 불가피한 경우, 발주자의 승인하에 원격지 개발 사업자 명의로 발급·관리되어야 함 

  원격지 개발 사업자는 승인된 노트북, USB 등 휴대용 저장매체를 퇴근 시 확인하여 무단 반출을 차단하여야 함 

 □ 강원대학교는 제시된 작업장소가 요구사항을 준수하는지를 확인하고 미흡할 경우 제시된 장소를 거부할 수 있음 

3. 계약목적물의 지적재산권 

 □ 용역수행과 관련한 모든 산출물의 저작권에 대한 권리는 강원대학교와 계약상대자가 공동으로 소유함을 원칙으로 하되 세부사항은 협의하여 결정함. 별도로 협의되지 않은 사항은 기획재정부 계약예규 용역계약일반조건에 따름 

 □ 계약상대자는 용역계약일반조건 제56조에 따른 지식재산권 행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산출물의 반출을 요청할 수 있음. 강원대학교는 「보안업무규정」제4조 각 호 및 제안요청서에 명시한 누출금지 정보에 따른 비밀에 해당하지 않으면 소프트웨어 산출물을 제공함 

 □ 계약상대자는 제공받은 소프트웨어 산출물에 대하여 제안요청서ㆍ계약서에 누출금지 정보로 명시한 정보를 삭제하고 활용하여야 하며 대표 명의의 확약서를 제출하여야 함 

 □ 계약상대자는 반출된 소프트웨어 산출물을 제3자에게 제공하려는 경우 미리 강원대학교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함 

 □ 계약상대자는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6조 및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2조에 따라 입찰 참가 자격이 제한됨 

  ① 제공받은 소프트웨어 산출물을 무단으로 유출하거나 누출되는 경우 

  ② 누출금지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활용하는 경우 

4. 누출금지 정보의 범위 

 □ 강원대학교는 아래와 같이 누출금지 정보를 지정하며, 입찰 및 사업수행 과정에서 무단으로 누출 시 관련 법령에 따라 부정당업자로 입찰 참가 자격을 제한함 

 

< 누출 금지 정보 > 

 

 

 

1. 정보시스템의 내ㆍ외부 IP주소 현황 

2. 세부 정보시스템 구성 현황 및 정보통신망 구성도 

3. 사용자계정ㆍ비밀번호 등 정보시스템 접근권한 정보 

4. 정보통신망 취약점 분석ㆍ평가 결과물 

5. 정보화 용역사업 결과물 및 관련 프로그램 소스코드(유출 시 안보ㆍ국익에 피해가 우려되는 중요 용역사업에 해당) 

6. 국가용 보안시스템 및 정보보호시스템 도입 현황 

7. 침입차단시스템ㆍ방지시스템(IPS) 등 정보보호제품 및 라우터ㆍ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비 설정 정보 

8.「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 제1항에 따라 비공개 대상 정보로 분류된 기관의 내부문서 

9.「개인정보보호법」 제2조 1항에 따른 개인정보  

10.「보안업무규정」제4조의 비밀 및 동 시행규칙 제5조 

 

 

5. 특허권 및 저작권 보호 

 □ 제안사가 제공한 S/W로 인하여 소프트웨어 사용 기간 동안 발주자가 소유권 및 지적재산권 침해에 관한 소송 또는 소송 외 청구를 당하거나 그로 인한 재판이 결정된 경우, 공급업체는 자기의 비용과 선택으로 즉시 동 S/W의 계속 점유권 및 사용권을 발주자에게 부여하거나 또는 소유권 및 지적재산권 침해 S/W와 동등 또는 더 우수한 물품으로 대체하고 동 S/W를 제거하여야 함 

 □ 제안사는 계약에 의거 제공한 전산장비가 소프트웨어 사용 기간 내에 국내외의 특허권 및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될 경우, 발주자에게 발생한 모든 손해 및 비용을 지급하여야 함 

6. 개발 SW 공동 활용 사전 명시 및 SW사업 영향 평가 

 □ 본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소프트웨어는 용역계약일반조건 제56조(계약목적물의 지식재산권 귀속 등)에 따라 계약목적물을 타 기관과 공동 활용할 계획이 없음 

 □ ‘소프트웨어 진흥법시행령 제43조(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에 따라 본 사업에 대한 영향평가를 실시함(붙임자료 참조) 

7. 적정 사업기간 산정 

 □ ‘소프트웨어사업 계약 및 관리감독에 관한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제10조(적정 사업기간의 산정)에 따라 ‘적정 사업기간 산정 기준’을 적용하여 사업 기간이 산정됨(붙임자료 참조) 

8. SW사업정보 저장소 데이터 작성 및 제출  

 □ 본 사업은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58조에 따라 SW사업정보(SW사업 수행 및 실적정보) 데이터를 작성 및 제출하여야 함 

 □ SW사업정보 데이터 작성 및 제출에 관한 사항은 SW사업정보저장소(www.spir.kr) 자료실의 ‘SW사업정보 저장소 데이터 제출 안내’ 문서를 참조토록 함 

 □ SW사업정보 데이터는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시 단계별 산출물 리스트에 명시하도록 함 

 □ SW사업정보 중 기능점수 데이터의 작성을 위해 사업수행 인원 중 기능점수 산정 가능 전문가를 포함토록 함 

 

9. 인력 요구사항의 한정 

 □ 본 사업은 기능점수 기반으로 수립되어 「소프트웨어사업 계약 및 관리감독에 관한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11조에 따라 투입공수에 의한 방식에 관한 내용을 요구하지 않는 사업임 

10. 과업변경심의위원회 

 □ 본 사업은 「소프트웨어 진흥법」제20조의2 (소프트웨어사업과업변경심의위원회)에 따라 계약당사자가 과업변경심의위원회 개최를 요청할 수 있음 

11. 관련 법 규정 

 □ 본 제안요청서에 명시되지 아니한 계약과 관련된 사항은 다음 법 규정을 따름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및 동법시행령과 시행규칙 

  용역계약 일반조건(기획재정부계약예규) 

 

 

 

제안서 작성 안내 

 

1. 제안서 작성 유의사항 

 □ 제안서 기본 형식(권고사항) 

  - 제안서 본문: 100 페이지 이내, A4(210×297㎜), 3hole 바인더 링 제본 

  - 발표본: PPT 파일 30 페이지 이내(출력본 A4 크기) 

  - 단면 및 단색으로 인쇄 

  - 양장 제본 금지 및 제안 설명 시 홍보용 동영상 활용 금지 

 

 □ 제안사는 제안요청서의 내용에 대하여 질의를 하거나 그에 필요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으며, 발주기관은 동 정보가 유익하다고 판단 시 모든 제안 업체들의 질문에 설명 또는 서면을 통하여 답변하고, 제안요청서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에 대해 통보함 

 □ 전화문의는 법적 효력을 갖지 못하며, 법적 효력 발생을 위해서는 제안서 제출 마감일로부터 5일 전까지 서면으로 질의하여야 함 

 □ 제출된 제안서는 일체 반환되지 않으며, 제안서 작성 제출에 소요되는 모든 경비는 제안자가 부담함 

 □ 제안서는 제안요청서에서 요구하는 모든 사항이 기술되어야 하며, 향상된 내용으로 제안할 수 있음 

 □ 제안서는 제시된 제안서 구성에 따라 각각 세분하여 누락 없이 작성하고, 필요시 작성 항목을 추가할 수 있음 

 □ 제안서의 각 페이지는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페이지 하단 중앙에 일련번호를 붙이되, 각 장별로 번호를 부여해야 함 

 □ 제안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관련 자료는 제안서의 별첨으로 제출하여야 하며, 그 내용이 허위일 경우 또는 학교에서 요구한 자료를 입증하지 못하는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 

 □ 제안서의 내용은 명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여야 함.“가능하다, 할 수 있다, 고려하고 있다.”와 같은 모호한 표현은 평가 시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며, 계량화가 가능한 것은 계량화하여 표현해야 함 

 □ 제출된 제안서는 발주기관의 요청이 없는 한 수정·추가·삭제 불가 

 2. 제안서의 효력 

 □ 제안서에 제시된 내용과 발주기관의 요구로 수정·보완·변경된 제안 내용은 계약서에 명시하지 아니하더라도 계약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는 계약서가 우선함 

 3. 제안서 제출기한 및 제출방법 

 □ 제출기한 및 제출방법 : “입찰공고” 참조 

 □ 제출장소 : “입찰공고” 참조 

 □ 제출서류  

  정성평가 제안서  

  제안서 설명회 발표 자료  

  그 밖에 입찰공고에 제출을 요구한 사항 

 4. 제안서 평가회 

 □ 본 사업은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 기준」 제7조제6항에 따른 차등 점수제를 미적용한 사업임 

 □ 일시 및 장소 : 제안서 접수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별도의 공지로 진행되며 일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용역(연구)책임자가 발표하되, 불가피한 경우에는 소속 참여연구원 중 1명이 발표하여야 함(발표자 1명, 보조자 1명만 평가장 입장) 

 □ 발표자는 제안사에 재직 중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재직증명서와 신분증을 지참하여야 하며, 반드시 본 공고일 이전에 입사한 자여야 함 

 □ 입찰참가자는 반드시 제안 평가회에 참석하여야 하며, 불참 시에는 평가대상에서 제외함 

 □ 진행 순서 등 

  발표 순서 : 제안서 제출 순으로 발표 

  발표 시간 : 업체별 30분 이내(제안서 설명 20분, 질의응답 10분) 

5. 제안서 내용 및 방법 

목 차 

작 성 방 법 

 Ⅰ. 일반 현황 

1. 제안사 일반 현황 

제안사의 일반현황 및 주요 연혁, 최근 3년간의 자본금 및 부문별 매출액, 사업실적 등을 명료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2. 제안사의 조직 

제안사의 조직구성 및 인력 관리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3. 수행조직 및 업무분장 

본 사업을 수행할 조직 및 업무 분장 내용을 상세히 제시하여야 한다. 

 Ⅱ. 전략 및 방법론 

1. 사업이해도 

제안사는 해당 사업의 제안요청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본 제안의 목적, 범위, 전제조건 및 제안의 특징 및 장점을 요약하여 기술하여야 한다. 목표시스템 구성도 및 구성 체계를 제시하여야 한다. 

2. 추진 전략 

제안사는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추진 전략(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창의적이고 타당한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3. 적용 기술 

제안사는 사업수행을 위한 주요 적용 기술 및 세부 개발방법론, 적용기술의 실현 가능성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대상 업무별 개발방안(통합/연계 범위 관련 적절한 방안 제시 등), Prototype 구현 등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 제안사는 기술 적용 계획 제시 

4. 개발방법론 

 업무개발에 적용할 방법론 절차 및 기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적용방법론의 경험을 기술한다. 

 개발방법론에 따른 제출할 산출물의 종류 및 내역, 제출 시기를 기술한다. 

 Ⅲ. 기술 및 기능 

1. 시스템 장비 구성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시스템, 보안 및 네트워크에 대한 최적의 구축 및 유지관리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2. 기능 요구사항 

 방법론 및 분석 도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내용으로 분석되고 구현 방안이 구체적인 기술, 제안한 방안 및 기술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3. 보안 요구사항 

 보안 요구사항 및 시스템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적용할 보안기술, 표준, 제안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4. 데이터 요구사항 

 데이터 전환 계획 및 검증 방법, 에러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여야 한다. 

5. 제약사항 

기능 및 품질 등 요구사항 구현 시 관련 제약사항과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여야 한다. 

 Ⅳ. 성능 및 품질 

1. 성능 요구사항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통해 요구 성능이 충족되도록 방법론 및 분석 도구, 구현 및 테스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2.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방안들에 대한 장단점의 분석을 통해 가장 적합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 및 설계, 구현 방안과 검토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가를 평가한다. 

 Ⅴ. 프로젝트 관리 

1. 관리방법론 

사업위험, 사업진도, 사업수행 시 보안을 관리하는 방법, 사업수행 성과물이나 산출물의 형상 및 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2. 일정계획 

사업수행에 필요한 활동을 도출하여 활동기간, 자원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Ⅵ. 프로젝트 지원 

1. 품질보증 

조직, 방법, 절차 등 사업수행을 위한 품질보증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2. 시험운영 

대상 업무별 단위시험, 통합시험 등에 대한 전반적인 방안을 제시하여야 하고, 개발완료 후의 시스템의 이용 및 관리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3. 교육훈련 

사용자, 관리자 등 시스템의 이용 대상자별로 구분하여 교육훈련 방법, 내용, 교육일정, 교육훈련 조직 등을 상세히 제시하여야 한다. 

4. 유지보수 

하자보수 및 유지보수 계획, 조직, 절차, 범위 및 기간과 이와 관련된 기타의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5. 기밀보안 

기밀보안 체계 및 대책, 저작권 존중여부 명시, 시스템 보안성 확보 방안과 개인정보 보호대책을 제시하여야 한다. 

6. 비상대책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하여 백업/복구 및 장애대응 대책을 제시하여야 한다. 

 

붙임 1 

제안서 기술 평가 항목 및 배점표 

 

구분 

평가 

부문 

평가 

항목 

평가요소 

배점 

평가배점 

비고 

A 

B 

C 

D 

E 

정성 

평가 

전략 및 

방법론 

(20점) 

사업이해도 및  

추진전략 

사업의 특성 및 목표에 대해 주변 환경분석과 업무내용의 연관관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개발업무 수행 시 위험요소를 고려하여 얼마나 창의적이며 타당한 대안을 제시하였는가를 평가한다. 

10 

10 

9 

8 

7 

6 

정성 

적용기술 

및  

개발 방법론 

사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사업에 적정한 방법론의 제안 타당성을 평가하고, 실제 적용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단계별 활동내용을 구성하여 산출물의 적정성을 유지하고, 기술과 경험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10 

10 

9 

8 

7 

6 

정성 

기술 및 기능 

(25점) 

시스템 

장비구성 

요구 규격을 충족하는 장비 제안 여부와 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및 확장가능성 여부를 평가한다. 또한 도입 시스템의 운영계획, 유지관리에 대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한다.  

10 

10 

9 

8 

7 

6 

 

 

기능 및 보안 

 요구사항 

방법론 및 분석도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내용으로 분석되고 구현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하고, 제안한 방안 및 기술이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한다. 

관련 기능 등 타 요구사항 및 시스템과 관련되어 분석되고, 적용할 표준 및 구현 방안이 설계단계부터 반영되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하고, 제안한 방안 및 기술이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한다. 

10 

10 

9 

8 

7 

6 

정성 

데이터  

요구사항 

및  

제약사항 

데이터 전환 계획 및 검증방법, 에러 데이터 처리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가를 평가한다. 

제약사항 충족도는 기능 및 품질 등 요구사항 구현 시 관련 제약사항을 충족시키며 구현 방안 및 테스트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가를 평가한다. 

5 

5 

4.5 

4 

3.5 

3 

정성 

성능 및 품질 

(15점) 

성능  

요구사항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통해 요구 성능이 충족되도록 방법론 및 분석도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내용으로 분석되고 구현 및 테스트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하고, 제안한 방안 및 기술을 통해 요구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10 

10 

9 

8 

7 

6 

정성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시스템 인터페이스: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방안들에 대한 장ㆍ단점의 분석을 통해 가장 적합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가를 평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 및 설계, 구현 방안과 검토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가를 평가한다. 

5 

5 

4.5 

4 

3.5 

3 

정성 

프로 

젝트 관리 

(10점) 

관리방법론 및  

일정계획 

사업위험, 사업진도, 사업수행 시 보안을 관리하는 방법, 사업수행 성과물이나 산출물의 형상 및 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등을 평가한다. 

사업수행에 필요한 활동을 도출하여 정확한 활동기간의 산정과 도출된 활동 간의 배열이 합리적인지, 중간목표가 적정하게 제시되어 있는지, 각 활동에 적합한 자원이 적절히 할당되어 있는지 등을 평가한다. 

10 

10 

9 

8 

7 

6 

정성 

프로 

젝트 지원 

(15점) 

시험운영 

 

교육훈련 

개발된 홈페이지의 시험 운영을 위해 제공 및 지원하는 각종 시험 운영 방법 및 조직 등에 대해 평가한다. 

홈페이지 운영 및 관리자를 위해 제공 및 지원하는 각종 교육훈련의 방법, 내용 등에 대해 평가한다. 

5 

5 

4.5 

4 

3.5 

3 

정성 

유지보수 

및 기밀보안 

하자보수 및 유지보수 계획, 절차, 범위 및 기간과 이와 관련된 기타의 활동 및 그 제한사항에 대해 평가한다. 

사업추진 동안 악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불순 활동들로부터 기밀을 보호함과 동시에 원활한 사업의 수행을 보장하기 위한 체계 및 대책에 대하여 평가한다. 

5 

5 

4.5 

4 

3.5 

3 

정성 

비상 대책 

 

안정적인 홈페이지 운영을 위해 제시하는 각종 백업/복구 및 장애대응 대책에 대하여 평가한다. 

5 

5 

4.5 

4 

3.5 

3 

정성 

정량평가(5점) 

경영상태 

제안사의 신용평가 등급 확인 

(신용평가 등급 세부 평가기준에 따름) 

5 

5 

4.75 

4.5 

3.5 

- 

정량 

배점 총 합계 

90 

 

 

 

 

 

 

 

 

 

 

 

 

붙임 2 

정량지표 평가 기준 

 

 □ 정량 평가 방법 

  - 신용평가 등급 세부 평가 기준 

 

평가항목 

신용평가 등급 

평가등급 

평점 

회사채 

기업어음 

기업신용
평가등급 

기업신용 

평가등급 

경영상태 

AAA, AA+, AA0, AA- 

A+, A0, A-, BBB+, BBB0 

A1, A2+, A20, A2-, A3+,A30  

AAA, AA+, AA0, AA-, A+, A0, A-, BBB+, BBB0 

A 

5.00 

BBB-, BB+, BB0, BB- 

A3-, B+, B0 

BBB-, BB+, 

BB0, BB- 

B 

4.75 

B+, B0, B- 

B- 

B+, B0, B- 

C 

4.50 

CCC+ 이하 

C 이하 

CCC+ 이하 

D 

3.50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4조 제1항 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업무를 영위하는 신용조회사 또는 신용평가사가 입찰공고일 이전에 평가하고 유효기간 내에 있는 회사채, 기업어음, 기업신용평가등급으로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에 조회된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하되,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다만,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이 다수가 있으나, 그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가장 낮은 등급으로 평가한다. 

     ※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에서 ‘신용평가등급 확인서’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저 등급으로 평가하며, 유효기간 만료일이 입찰공고일인 경우에도 유효한 것으로 평가한다. 

   - 상황에 따라 비대면 평가 또는 서면 평가로 전환될 수 있음 

 

 

 

 

 

붙임 3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 검토 결과서 

 

 

그림입니다. 

붙임 4 

소프트웨어사업 개발사업 적정 사업기간 종합산정서 

 

그림입니다. 

붙임 5 

직접구매 대상 상용소프트웨어 구매계획 

 

그림입니다. 

 

(별첨) 입찰 및 제안서 관련 서식(권장사항) 

 

 

 

1. 확약서 

2. 보안서약서(대표용) 

3. 보안서약서 

4. 용역사업 보안특약 조항 

5. 용역사업 보안위규 처리 기준 

6. 보안 위약금 부과 기준 

7. 표준 개인정보처리위탁 계약서 

8. 일반현황 및 연혁 

9. 수행 실적 총괄표 

10. 공동 수급 표준협정서 

11. 개인 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12. 기술 적용 계획표 

13. 사업자 간 책임 및 역할 분담표 

[별첨 1] 

확    약    서 

 

 입찰 건명 :  

  본인은 기술제안서의 제반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였고, 이에 따른 법률적, 재정적, 행정적 책임을 감수하겠습니다.
또한,  __________________ 용역 사업자 선정 방식 및 제안요청서 내용과 본 입찰에 관련된 강원대학교의 방침에 이의가 없음을 확약하며 어떠한 법적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강원대학교가 기술 평가를 위해 구성한 내·외부 평가위원과 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에 따른 결과를 수용하고, 본 제안서의 허위기재 또는 자료 부실로 인한 평가상의 불이익은 물론 부정당업자 제재 또는 낙찰대상에서 제외 등 강원대학교의 어떠한 결정사항도 존중하며 이에 대해 이의 제기하지 않을 것을 확약합니다. 

 

20  년   월     일 

                  주  소 : 

                  회사명 : 

                  사업자등록번호 : 

                  대    표    자 :                  (인) 

 

 

 

 

강원대학교 총장 귀하 

[별첨 2] 

 

보 안 서 약 서(대표용) 

 

본인은 계약일로부터 강원대학교 __________________ 구축 용역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다음 사항을 준수할 것을 서약합니다. 

 

 1. 본인은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관련 업무 중 알게 될 일체의 내용이 직무상 기밀사항임을 인정한다. 

 

 2. 본인은 이 기밀을 누설함이 국가안전보장 및 국가이익에 위해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 업무수행 중 취득한 제반 기밀사항을 일체 누설하거나 공개하지 않는다. 

 

 3. 본인은 이 기밀을 누설하거나 관계 규정을 위반할 시 관련 법령 및 계약에 따라 어떠한 처벌 및 불이익도 감수한다. 

 

 

 

 

2025년       월        일 

 

 

 

서 약 자 

업 체 명 :           

 

(대표이사) 

성    명 : 

(서명) 

 

주    소 : 

 

강원대학교 총장 귀하 

 

 

 

[별첨 3] 

 

보 안 서 약 서 

 

  본인은 계약일부로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용역사업(업무)을 수행함에 있어 다음 사항을 준수할 것을 엄숙히 서약합니다. 

1. 본인은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용역사업 관련 업무 중 알게 될 일체의 내용이 직무상 기밀 사항임을 인정하고 제반 보안관계 규정 및 지침을 성실히 수행한다. 

2. 본인은 이 기밀을 누설함이 국가안전보장 및 국가이익에 위해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 업무수행 중 지득한 제반 기밀사항이나 뒷면과 같은『누출금지 대상정보』를 일체 누설하거나 공개하지 아니한다. 

3. 본인이 이 기밀을 누설하거나 관계 규정을 위반한 때에는 관련 법령 및 계약에 따라 어떠한 처벌 및 불이익도 감수한다. 

   가. 국가보안법 제4조 제1항 제2호·제5호(국가기밀 누설 등) 

   나. 형법 제99조(일반이적) 및 제127조(공무상 비밀의 누설) 

   다. 『개인정보보호법』 제3조 

   라. 보안 위반 시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 전액 배상을 한다. 

 

 

2025년      월      일 

 

 

서  약  자        업   체   명 :  

                 직        위 :              

                  성        명 :                   (서명) 

- 1면 - 

 

 

누출금지 대상정보 

1) 기관 소유 정보시스템의 내·외부 IP주소 현황 

2) 세부 정보시스템 구성 현황 및 정보통신망 구성도 

3) 사용자 계정·비밀번호 등 정보시스템 접근권한 정보 

4) 정보통신망 또는 정보시스템 취약점 분석·평가 결과물 

5) 정보화 용역사업 결과물 및 관련 프로그램 소스코드 

   (유출 시 안보·국익에 피해가 우려되는 중요 용역사업에 해당) 

6) 암호자재 및 정보보호시스템 도입·운용 현황 

7) 정보보호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 설정 정보 

8) 「개인정보보호법」 제2조 1항에 따른 개인정보  

9) 「보안업무규정」 제4조의 비밀 및 동 시행규칙 제16조 제3항의 대외비 

10) 그 밖에 해당 기관의 장이 공개가 불가하다고 판단한 자료 

 

 

 

 

 

 

 

 

- 2면 - 

 

[별첨 4] 

 

용역사업 보안특약 조항 

① 수행기관은 발주기관의 보안정책을 위반하였을 경우 [별첨 2] 용역사업 보안위규 처리기준에 따라 위규자 및 관리자를 행정조치하고 [별첨 3] 보안 위약금 부과 기준에 따라 보안 위약금을 발주기관에 납부한다. 보안위약금은 용역대가 지급 시 공제할 수 있다. 

수행기관은 사업수행에 사용되는 문서․인원․장비 등에 대하여 물리적, 관리적, 기술적 보안대책 및 [별첨 4] 누출금지 대상정보에 대한 보안관리계획을 사업수행계획서에 기재하여야 하며, 해당 정보 누출 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6조에 따라 수행기관을 부정당업체로 등록된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취득한 자료와 정보에 관하여 사업수행 중은 물론 사업 완료 후에도 이를 외부에 유출해서는 안 되며, 사업종료 시 발주기관의 입회하에 완전 폐기 또는 반납해야 한다. 

수행기관은 사업 최종 산출물에 대해 정보보안전문가 또는 전문 보안 점검 도구를 활용하여 보안 취약점을 점검, 도출된 취약점에 대한 개선을 완료하고 그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수행기관은 참여 인력을 임의로 교체할 수 없으며 부득이 교체할 시 인수인계를 철저히 하여 자료의 외부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하며, 발주기관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별첨 5]  

사업자 보안위규 처리기준 

구 분 

위     규     사     항 

처 리 기 준 

심 각 

1. 비밀 및 대외비 급 정보 유출 및 유출시도 

  가. 정보시스템에 대한 구조, 데이터베이스 등의 정보 유출 

  나. 개인정보·신상정보 목록 유출 

  다. 비공개 항공사진·공간정보 등 비공개 정보 유출 

2. 정보시스템에 대한 불법적 행위  

  가. 관련 시스템에 대한 해킹 및 해킹시도 

  나. 시스템 구축 결과물에 대한 외부 유출 

  다. 시스템 내 인위적인 악성코드 유포 

◦사업 참여 제한 

◦위규자 및 직속
감독자 OO 등
중징계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계획 제출 

위규자 대상 특별
보안교육 실시 

중 대 

1. 비공개 정보 관리 소홀  

  가. 비공개 정보를 책상 위 등에 방치  

  나. 비공개 정보를 휴지통ㆍ폐지함 등에 유기 또는 이면지 활용 

  다. 개인정보․신상정보 목록을 책상 위 등에 방치 

  라. 기타 비공개 정보에 대한 관리소홀 

2. 사무실ㆍ보호구역 보안 관리 허술 

  가. 통제구역 출입문을 개방한 채 퇴근 등 

  나. 인가되지 않은 작업자의 내부 시스템 접근 

  다. 통제구역 내 장비·시설 등 무단 사진 촬영  

3. 전산정보 보호대책 부실 

  가. 업무망 인터넷망 혼용사용, 보안 USB 사용규정 위반  

  나. 웹하드·P2P 등 인터넷 자료공유사이트를 활용하여  용역사업 관련 자료 수발신 

  다. 개발·유지보수 시 원격작업 사용 

  라. 저장된 비공개 정보 패스워드 미부여 

  마. 인터넷망 연결 PC 하드디스크에 비공개 정보를 저장 

  바. 보안관련 프로그램 강제 삭제 

  사. 사용자 계정관리 미흡 및 오남용(시스템 불법접근 시도 등) 

  아. 노트북, PC 등 전산장비 무단 반·출입 

  자. 비인가 통신시설(무선공유기, 스마트폰, 테더링 등)의 설치 운용 및 교신 

◦위규자 및 직속
감독자 OO 등
중징계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계획 제출 

 

위규자 대상 특별 보안교육 실시 

 

 

구 분 

위     규     사     항 

처 리 기 준 

보 통 

1. 기관 제공 중요정책ㆍ민감 자료 관리 소홀 

  가. 주요 현안ㆍ보고 자료를 책상 위 등에 방치 

  나. 정책ㆍ현안 자료를 휴지통ㆍ폐지함 등에 유기 또는 이면지 활용 

2. 사무실 보안 관리 부실 

  가. 캐비닛ㆍ서류함ㆍ책상 등을 개방한 채 퇴근  

  나. 출입 키를 책상 위 등에 방치 

3. 보호구역 관리 소홀  

  가. 통제ㆍ제한구역 출입문을 개방한 채 근무 

  나. 보호구역 내 비인가자 출입 허용 등 통제 미실시 

4. 전산정보 보호대책 부실 

  가. 휴대용 저장매체를 서랍ㆍ책상 위 등에 방치한 채 퇴근 

  나. 비인가 메신저 무단 사용  

  다. PC를 켜 놓거나 보조기억 매체(CD, USB 등)를 꽂아 놓고 퇴근 

  라. 부팅ㆍ화면보호 패스워드 미부여 또는 "1111" 등 단순 숫자 부여 

  마. PC 비밀번호를 모니터 옆 등 외부에 노출 

  바. 비인가 보조기억매체 무단 사용 

◦위규자 및 직속
감독자 OO 등
경징계  

 

◦위규자 및 직속
감독자 사유서/
경위서 징구 

 

위규자 대상 특별
보안교육 실시 

경 미 

1. 업무 관련 서류 관리 소홀 

  가. 진행 중인 업무자료를 책상 등에 방치, 퇴근 

  나. 복사기ㆍ인쇄기 위에 서류 방치 

2. 근무자 근무 상태 불량 

  가. 각종 보안장비 운용 미숙 

  나. 경보ㆍ보안장치 작동 불량  

3. 전산 정보 보호 대책 부실  

  가. PC내 보안성이 검증되지 않은 프로그램 사용 

  나. 보안 관련 소프트웨어의 주기적 점검 위반 

위규자 서면ㆍ구두
경고 등 문책 

 

◦위규자 사유서/
경위서 징구 

 

 

 

 

 

[별첨 6] 

 

보안 위약금 부과 기준 

 

1. 위규 수준별로 A~D 등급으로 차등 부과 

구분 

위규 수준 

A급 

B급 

C급 

D급 

위규 

심각 1건 

중대 1건 

보통 2건 이상  

경미 3건 이상 

위약금 

비중 

부정당업자 등록 

사업 금액의 5% 

사업 금액의 3% 

사업 금액의 1% 

 

   * 위규 수준은 [붙임 2] 참고 

 

2. 보안 위약금은 다른 요인에 의해 상쇄, 삭감이 되지 않도록 부과함 

   * 보안 사고는 1회의 사고만으로도 그 파급력이 큰 것을 감안하여 타 항목과 별도로 부과함 

 

3. 사업종료 시 지출 금액 조정을 통해 위약금을 정산함 

 

 

 

 

 

 

 

 

 

 

 

 

 

[별첨 7] 

  

표준 개인정보처리위탁 계약서 

  

 강원대학교(이하 “동”이라 한다)와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사업 (이하 “행”이라 한다)은 “동”의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행”에게 위탁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본 업무위탁계약을 체결한다.  

  

제1조 (목적) 이 계약은 “동”이 개인정보처리업무를 “행”에게 위탁하고, “행”은 이를 승낙하여 “행”의 책임아래 성실하게 업무를 완성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용어의 정의) 본 계약에서 별도로 정의되지 아니한 용어는 개인정보보호법, 동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표준 개인정보 보호지침」(행정안전부 예규 제25호)에서 정의된 바에 따른다.  

  

제3조 (위탁업무의 목적 및 범위) “행”은 계약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개인정보 처리 업무를 수행한다. 

  1. 회원정보 

  2. 콘텐츠 제작자 정보 

  3. 관리자 페이지 등 

  

제4조 (재위탁 제한) ① “행”은 “동”의 사전 승낙을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 “동”과의 계약상의 권리와 의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3자에게 양도하거나 재위탁할 수 없다. 

  ② “행”이 재위탁받은 수탁회사를 선임한 경우 “행”은 당해 재위탁계약서와 함께 그 사실을 즉시 “동”에 통보하여야 한다. 

  

제5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행”은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 동법 시행령 제30조 및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고시(행정안전부 고시)에 따라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관리적·기술적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제6조 (개인정보의 처리제한) ① “행”은 계약기간은 물론 계약 종료 후에도 위탁업무 수행 목적 범위를 넘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이를 제3자에게 제공 또는 누설하여서는 안 된다. 

  ② “행”은 계약이 해지되거나 또는 계약기간이 만료된 경우 위탁업무와 관련하여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를 「개인정보보호법」시행령 제16조에 따라 즉시 파기하거나 “동”에게 반납하여야 한다.   

  ③ 제2항에 따라 “행”이 개인정보를 파기한 경우 지체없이 “동”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여야 한다. 

  

제7조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등) ① “동”은 “행”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관리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행”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1. 개인정보의 처리 현황 

   2. 개인정보의 접근 또는 접속 현황 

   3. 개인정보 접근 또는 접속 대상자 

   4. 목적 외 이용·제공 및 재위탁 금지 준수 여부 

   5.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 조치 이행 여부 

   6. 그 밖에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② “동”은 “행”에 대하여 제1항 각 호의 사항에 대한 실태를 점검하여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행”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행하여야 한다. 

  ③ “동”은 처리위탁으로 인하여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가 분실·도난·유출·변조 또는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1년에 1회 이상 “행”을 교육할 수 있으며, “행”은 이에 응하여야 한다. 

  ④ 제1항에 따른 교육의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서는 “동”은 “행”과 협의하여 시행한다. 

  

제8조 (손해배상) ① “행” 또는 “행”의 임직원 기타 “행”의 수탁자가 이 계약에 의하여 위탁 또는 재위탁받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이 계약에 따른 의무를 위반하거나 “행” 또는 “행”의 임직원 기타 “행”의 수탁자의 귀책 사유로 인하여 이 계약이 해지되어 “동” 또는 개인정보주체 기타 제3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행”은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② 제1항과 관련하여 개인정보주체 기타 제3자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동”이 전부 또는 일부를 배상한 때에는 “동”은 이를 “행”에게 구상할 수 있다.  

  

  본 계약의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계약서 2부를 작성하고, “동”과 “행”이 서명 또는 날인한 후 각 1부씩 보관한다. 

 

 

행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강원대학교 총장 

 

성 명 :             (인) 

성 명 :          (인) 

 

 

[별첨 8] 

 

일반현황 및 연혁 

회     사      명 

 

대표자 

 

사   업   분   야 

 

주             소 

 

전   화   번   호 

 

회 사 설 립 년 도 

 

해당부문 종사기간 

 

 

 

 

 

 

[별첨 9] 

 

수행 실적 총괄표 

 

일련 

번호 

사 업 명 

발주처 

계약 

금액 

(백만원) 

주요내용 

비고 

 

 

 

 

 

 

   

 

주) 

 ① “수행실적증명서” 또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서 발급받은 “이행실적확인서”를 첨부한 사업을 기준으로 용역수행 완료 일자순으로 기재(수행 중인 사업은 제외) 

 ② 하도급계약은 발주자가 승인한 경우에 한하여 작성하고 비고란에 원도급회사를 기재 

 ③ 본 사업 내용과 관련된 사업 또는 유사한 사업에 한함 

 ④ 공동도급계약일 경우에는 계약금액란에 제안사의 지분만을 기재 

 

[별첨 10] 

공동수급 표준협정서(공동이행방식) 

 

제1조(목적) 이 협정서는 아래 계약을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이 재정, 경영 및 기술능력과 인원 및 기자재를 동원하여 공사․물품 또는 용역에 대한 계획․입찰․시공 등을 위하여 일정 출자 비율에 따라 공동연대하여 계약을 이행할 것을 약속하는 협약을 정함에 있다. 

  1. 계약건명 : 

  2. 계약금액 : 

  3. 발주자명 : 

 

제2조(공동수급체) 공동수급체의 명칭, 사업소의 소재지, 대표자는 다음과 같다. 

  1. 명          칭 : ㅇㅇㅇ 

  2. 주사무소소재지 : 

  3. 대 표 자 성 명 : 

 

제3조(공동수급체의 구성원) ①공동수급체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1. ㅇㅇㅇ회사(대표자 :   ) 

  2. ㅇㅇㅇ회사(대표자 :   ) 

  ②공동수급체의 대표자는 ㅇㅇㅇ로 한다. 

  ③대표자는 발주자 및 제3자에 대하여 공동수급체를 대표하며, 공동수급체의 재산의 관리 및 대금청구 등의 권한을 가진다. 

 

제4조(효력기간) 본 협정서는 당사자 간의 서명과 동시에 발효하며, 해당계약의 이행으로 종결된다. 다만, 발주자 또는 제3자에 대하여 공사와 관련한 권리․의무관계가 남아있는 한 본 협정서의 효력은 존속된다. 

 

제5조(의무) 공동수급체구성원은 제1조에서 규정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성실․근면 및 신의를 바탕으로 하여 필요한 모든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것을 약속한다. 

 

제6조(책임)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은 발주기관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이행에 대하여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 다만, 공사이행보증서가 제출된 공사로서 계약이행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업체는 출자 비율에 따라 책임을 진다. <단서신설 2014.1.10.> 

 

제7조(하도급) 공동수급체 구성원 중 일부 구성원이 단독으로 하도급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구성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제8조(거래계좌) 계약예규 「공동계약운용요령」제11조에 정한 바에 의한 선금, 기성대가 등은 다음 계좌로 지급받는다. 

  1. ㅇㅇㅇ회사(공동수급체대표자) : ㅇㅇ은행, 계좌번호 ㅇㅇㅇ, 예금주 ㅇㅇㅇ 

  2. ㅇㅇㅇ회사 : ㅇㅇ은행, 계좌번호 ㅇㅇㅇ, 예금주 ㅇㅇㅇ 

 

제9조(구성원의 출자비율) ①당 공동수급체의 출자비율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ㅇㅇㅇ :    % 

  2. ㅇㅇㅇ :    % 

  ②제1항의 비율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출자비율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공동수급체 일부구성원의 출자비율 전부를 다른 구성원에게 이전할 수 없다. 

  1. 발주기관과의 계약내용 변경에 따라 계약금액이 증감되었을 경우 

  2. 공동수급체 구성원 중 파산, 해산, 부도, 법정관리, 워크아웃(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채권단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결정하여 구조조정 중인 업체), 중도 탈퇴의 사유로 인하여 당초 협정서의 내용대로 계약이행이 곤란한 구성원이 발생하여 공동수급체구성원 연명으로 출자 비율의 변경을 요청한 경우 

  ③현금 이외의 출자는 시가를 고려, 구성원이 협의 평가하는 것으로 한다. 

 

제10조(손익의 배분) 계약을 이행한 후에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9조에서 정한 비율에 따라 배당하거나 분담한다. 

 

제10조의2(비용의 분담) ①본 계약이행을 위하여 발생한 하도급대금,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에 대하여 출자 비율에 따라 각 구성원이 분담한다. 

  ②공동수급체 구성원은 각 구성원이 분담할 비용의 납부시기, 납부방법 등을 상호 협의하여 별도로 정할 수 있다. 

  ③공동수급체 구성원이 제1항에 따른 비용을 미납할 경우에 출자비율을 고려하여 산정한, 미납금에 상응하는 기성대가는 공동수급체 구성원 공동명의의 계좌에 보관하며, 납부를 완료하는 경우에는 해당 구성원에게 지급한다. 

  ④분담금을 3회 이상 미납한 경우에 나머지 구성원은 발주기관의 동의를 얻어 해당 구성원을 탈퇴시킬 수 있다. 다만, 탈퇴시킬 수 있는 미납 횟수에 대해서는 분담금 납부주기 등에 따라 발주기관의 동의를 얻어 다르게 정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12.4.2.] 

 

제11조(권리․의무의 양도제한) 구성원은 이 협정서에 의한 권리․의무를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다. 

 

제12조(중도 탈퇴에 대한 조치) ①공동수급체의 구성원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외에는 입찰 및 해당 계약의 이행을 완료하는 날까지 탈퇴할 수 없다. 다만, 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다른 구성원이 반드시 탈퇴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발주자 및 구성원 전원이 동의하는 경우 

  2. 파산, 해산, 부도 기타 정당한 이유 없이 해당 계약을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제10조의2에 따른 비용을 미납하여 해당 구성원 외의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이 발주자의 동의를 얻어 탈퇴 조치를 하는 경우 <신설 2012.4.2.> 

  3. 공동수급체 구성원 중 파산, 해산, 부도 기타 정당한 이유 없이 해당 계약을 이행하지 아니하여 시행령 제76조제1항제6호에 따라 입찰참가자격제한조치를 받은 경우 

  ②제1항에 의하여 구성원 중 일부가 탈퇴한 경우에는 잔존 구성원이 공동연대하여 해당계약을 이행한다. 다만, 잔존구성원만으로 면허, 실적, 시공능력공시액 등 잔여계약이행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지 못 할 경우에는 잔존구성원이 발주기관의 승인을 얻어 새로운 구성원을 추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당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개정 2010.9.8.> 

  ③제2항 본문의 경우에 출자비율은 탈퇴자의 출자비율을 잔존구성원의 출자 비율에 따라 분할하여 제9조의 비율에 가산한다. 

  ④탈퇴하는 자의 출자금은 계약이행 완료 후에 제10조의 손실을 공제한 잔액을 반환한다. 

 

제13조(하자담보책임) 공동수급체는 공동수급체가 해산한 후 해당공사에 관하여 하자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 다만, 공사이행보증서가 제출된 공사로서 계약이행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업체는 출자 비율에 따라 책임을 진다. <단서신설 2014.1.10.> 

 

제14조(운영위원회) ①공동수급체는 공동수급체구성원을 위원으로 하는 운영위원회를 설치하여 계약이행에 관한 제반 사항을 협의한다. 

  ②이 협정서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운영위원회에서 정한다. 

 

 위와 같이 공동수급협정을 체결하고 그 증거로서 협정서 ㅇ통을 작성하여 각 통에 공동수급체 구성원이 기명날인하여 각자 보관한다. 

   

    년  월  일  

 

 ㅇㅇㅇ  (인)  

 ㅇㅇㅇ  (인) 

 

[별첨 11]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용역 참여자는 본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를 각각 1부씩 제출하여야 함.  

동의자 

업  체  명 

 

부  서  명 

 

전화번호 

 

성       명 

 

▢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제출 대상 

  ◦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용역 

    - 참여업체 대표자, 입찰 참가 신청자 및 권한 수임자, 상주인력, 긴급전담반 

▢ 개인정보의 수집 및 활용 

  ◦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목적 

    - 사업추진을 위한 입찰 서류 및 입찰 관련 권한 수임 확인 

    - 사업 참여자 신원 및 자격 확인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참여업체 대표자, 입찰 참가 신청자 : 성명, 소속(업체명, 부서), 휴대폰 번호 

    - 입찰 권한 수임자 : 성명, 소속(업체명, 부서), 주소, 휴대폰 번호 

    - 사업 상주인력 및 긴급전담반 : 성명, 소속, 자격증, 경력증명서, 재직증명서 등 제출 서류 일체 

  ◦ 개인정보의 보유 및 활용기간 

    - 개인정보 보유기간 : 본 동의서 접수일로부터 최대 3년 

    - 개인정보 활용기간 : 본 동의서 접수일로부터 최대 2개월 

    - 동의거부 권리 안내 : 동의인은 본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수 있음. 

     (단, 이 경우 본교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참여할 수 없거나, 입찰에 관한 권한을 수임 받을 수 없음) 

 

본인은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용역을 위하여 위와 같이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사항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2025년    월     일 

 

                                           동의인      (서명) 

  

[별첨 12]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 ∨ ] 기술적용계획표, [  ] 기술적용결과표 

사업명 

강원1도1국립대학 AI기반 초개인화 개방형 원격교육시스템 구축』 

작성일 

 2025.    . 

 

□ 법률 및 고시 

구분 

항 목 

법률 

o 국가정보화 기본법 

o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o 개인정보 보호법 

o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o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o 전자서명법 

o 전자정부법 

o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o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o 통신비밀보호법 

o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o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o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고시 등 

o 보안업무규정(대통령령) 

o 행정기관 정보시스템 접근권한 관리 규정(국무총리훈령)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전자서명인증업무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전자정부서비스 호환성 준수지침(행정안전부고시) 

o 정보보호시스템 공통평가기준(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인증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정보시스템 감리기준(행정안전부고시) 

o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에 관한 규정(행정안전부고시)  

o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용역계약 특수조건(행정안전부예규)  

o 행정전자서명 인증업무지침(행정안전부고시) 

o 행정기관 도메인이름 및 IP주소체계 표준(행정안전부고시) 

o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행정안전부고시) 

o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등에 관한 고시(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 기준(행정안전부예규) 

o 지방자치단체 입찰시 낙찰자 결정기준(행정안전부예규) 

o 표준 개인정보 보호지침(행정안전부고시)  

o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산업통상자원부고시) 

o 소프트웨어 기술성 평가기준(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소프트웨어사업의 제안서 보상기준 등에 관한 운영규정(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분리발주 대상 소프트웨어(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대기업인 소프트웨어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사업금액의 하한(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소프트웨어 품질인증의 세부기준 및 절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소프트웨어사업의 하도급 승인 및 관리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소프트웨어 품질성능 평가시험에 관한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용역계약일반조건(기획재정부계약예규) 

o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기준(기획재정부계약예규) 

o 하도급거래 공정화지침(공정거래위원회예규) 

o 정보보호조치에 관한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o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방송통신위원회고시) 

 

□ 서비스 접근 및 전달 분야 

구  분 

항    목 

적용계획/결과 

부분적용/미적용시 사유 및 대체기술 

적용 

부분적용 

 

적용 

해당없음 

기본 지침 

 

 

 

 

 

정보시스템은 사용자가 다양한 브라우저 환경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기술을 준수하여야 하고, 장애인, 저사양 컴퓨터 사용자 등 서비스 이용 소외계층을 고려한 설계·구현을 검토하여야 한다. 

 

 

 

 

 

세부 기술 지침 

 

 

 

 

 

외부 접근 장치 

o 웹브라우저 관련 

 - HTML 4.01/HTML 5, CSS 2.1 

 

 

 

 

 

 - XHTML 1.0 

 

 

 

 

 

 - XML 1.0, XSL 1.0 

 

 

 

 

 

 - ECMAScript 3rd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필요에 따라 장애인용 별도 제작 

o 모바일 관련 

 - 모바일 웹 콘텐츠 저작 지침 1.0 (KICS.KO-10.0307) 

 

 

 

 

 

서비스 요구사항 

서비스관리(KS X ISO/IEC 20000)/ ITIL v3 

 

 

 

 

 

서비스 전달  

프로토콜 

IPv4 

 

 

 

 

 

IPv6 

 

 

 

 

 

 

 

□ 인터페이스 및 통합 분야 

구  분 

항    목 

적용계획/결과 

부분적용/미적용시 사유 및 대체기술 

적용 

부분적용 

 

적용 

해당없음 

기본 지침 

 

 

 

 

 

o 정보시스템 간 서비스의 연계 및 통합에는 웹서비스 적용을 검토하고, 개발된 웹서비스 중 타 기관과 공유가 가능한 웹서비스는 범정부 차원의 공유·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세부 기술 지침 

 

 

 

 

 

서비스 통합 

o 웹 서비스 

 - SOAP 1.2, WSDL 2.0, XML 1.0 

 

 

 

 

 

 - UDDI v3 

 

 

 

 

※제안사가 판단하여 제안함 

 - RESTful 

 

 

 

 

o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 UML 2.0/BPMN 1.0 

 

 

 

 

 

 - ebXML/BPEL 2.0/ XPDL 2.0 

 

 

 

 

 

데이터 공유 

o 데이터 형식 :  XML 1.0 

 

 

 

 

 

인터페이스 

o 서비스 발견 및 명세 : UDDI v3, WSDL 2.0 

 

 

 

 

 

 

□ 플랫폼 및 기반구조 분야 

구  분 

항    목 

적용계획/결과 

부분적용/미적용시 사유 및 대체기술 

적용 

부분적용 

 

적용 

해당없음 

기본 지침 

 

 

 

 

 

정보시스템 운영에 사용되는 통신장비는 IPv4와 IPv6가 동시에 지원되는 장비를 채택하여야 한다. 

 

 

 

 

 

하드웨어는 이기종 간 연계가 가능하여야 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베디드 장치 및 주변 장치는 해당 장치가 설치되는 정보시스템과 호환성 및 확장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세부 기술 지침 

 

 

 

 

 

네트워크 

o 화상회의 및 멀티미디어 통신 : H.320~H.324, H.310 

 

 

 

 

 

o 부가통신: VoIP 

 - H.323 

 

 

 

 

 

 - SIP  

 

 

 

 

 

 - Megaco(H.248) 

 

 

 

 

 

운영체제 및 

기반 환경 

o 서버용(개방형) 운영 체제 및 기반환경 :  

 - POSIX.0 

 

 

 

 

 

 - UNIX  

 

 

 

 

 

 - Windows Server 

 

 

 

 

 

 - Linux 

 

 

 

 

 

o 무선용 운영 체계 

 - android 

 

 

 

 

 

 - IOS 

 

 

 

 

 

 - Windows Phone  

 

 

 

 

 

데이터베이스 

o DBMS 

 - RDBMS 

 

 

 

 

 

 - ORDBMS 

 

 

 

 

 

 - OODBMS 

 

 

 

 

 

 - MMDBMS 

 

 

 

 

 

시스템 관리 

o ITIL v3 / ISO20000 

 

 

 

 

 

소프트웨어 공학 

o 개발프레임워크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 요소기술 분야 

구  분 

항    목 

적용계획/결과 

부분적용/미적용시 사유 및 대체기술 

적용 

부분적용 

 

적용 

해당없음 

기본 지침 

 

 

 

 

 

o 응용서비스는 컴포넌트화하여 개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데이터는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 데이터 교환, 데이터 품질 향상, 데이터베이스 통합 등을 위하여 표준화되어야 한다. 

 

 

 

 

 

행정정보의 공동활용에 필요한 행정코드는 행정표준코드를 준수하여야 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행정기관등의 장이 그 사유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보고하고 행정안전부의“행정기관의 코드준화 추진지침”에 따라 코드체계 및 코드를 생성하여 행정안전부장관에게 표준 등록을 요청하여야 한다. 

 

 

 

 

 

패키지소프트웨어는 타 패키지소프트웨어 또는 타 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사용이 투명해야 하며 다양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야 한다. 

 

 

 

 

 

세부 기술 지침 

 

 

 

 

 

데이터 표현 

o 정적표현 : HTML 4.01 

 

 

 

 

 

o 동적표현
- JSP 2.1 

 

 

 

 

 

 - ASP.net 

 

 

 

 

 

 - PHP 

 

 

 

 

 

 - 기타(      ) 

 

 

 

 

 

프로그래밍 

o 프로그래밍 

 - C 

 

 

 

 

 

 - C++  

 

 

 

 

 

 - Java 

 

 

 

 

 

 - C# 

 

 

 

 

 

- 기타 (        ) 

 

 

 

 

 

데이터 교환 

o 교환프로토콜:  

 - XMI 2.0 

 

 

 

 

 

 - SOAP 1.2 

 

 

 

 

 

o 문자셋 

 - EUC-KR  

 

 

 

 

 

 - UTF-8(단, 신규 시스템은 UTF-8 우선 적용) 

 

 

 

 

 

 

□ 보안 분야 

구  분 

항    목 

적용계획/결과 

부분적용/미적용시 사유 및 대체기술 

적용 

부분적용 

 

적용 

해당없음 

기본 지침 

 

 

 

 

 

o 정보시스템의 보안을 위하여 위험분석을 통한 보안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하여야 한다. 이는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과 관련된“서비스 접근 및 전달”,“플랫폼 및 기반구조”,“요소기술” 및 “인터페이스 및 통합” 분야를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o 보안이 중요한 서비스 및 데이터의 접근에 관련된 사용자 인증은 공인전자서명 또는 행정전자서명을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트워크 장비 및 네트워크 보안장비에 임의 접속이 가능한 악의적인 기능 등 설치된 백도어가 없도록 하여야 하고 보안기능 취약점 발견시 개선․조치하여야 한다. 

 

 

 

 

 

세부 기술 지침 

 

 

 

 

 

관련 

규정 

o 전자정부법 

o 국가정보보안기본지침(국가정보원) 

 - 국가 사이버안전 매뉴얼 

네트워크 장비 구축·운영사업 추가특수조건(조달청 지침) 

 

 

 

 

 

제품별 도입 

요건 및 보안 

기준 준수 

국정원 검증필 암호모듈 탑재ㆍ사용 대상(암호가 주기능인 정보보호제품) 

 - PKI제품 

 

 

 

 

 

 - SSO제품 

 

 

 

 

 

 - 디스크․파일 암호화 제품 

 

 

 

 

 

 - 문서 암호화 제품(DRM)등 

 

 

 

 

 

 - 메일 암호화 제품 

 

 

 

 

 

 - 구간 암호화 제품 

 

 

 

 

 

 - 키보드 암호화 제품 

 

 

 

 

 

 - 하드웨어 보안 토큰 

 

 

 

 

 

 - DB암호화 제품 

 

 

 

 

 

 - 상기제품(9종)이외 중요정보 보호를 위해 암호기능이 내장된 제품 

 

 

 

 

 

 - 암호모듈 검증서에 명시된 제품과 동일 제품 여부 

 

 

 

 

 

o CC인증 필수제품 유형군(국제 CC인 경우 보안적합성 검증 필요) 

 - (네트워크)침입차단 

 

 

 

 

 

 - (네트워크)침입방지(침입탐지 포함) 

 

 

 

 

 

 - 통합보안관리 

 

 

 

 

 

 - 웹 응용프로그램 침입차단 

 

 

 

 

 

 - DDos 대응 

 

 

 

 

 

 - 인터넷 전화 보안 

 

 

 

 

 

 - 무선침입방지 

 

 

 

 

 

 - 무선랜 인증 

 

 

 

 

 

 - 가상사설망(검증필 암호모듈 탑재 필수) 

 

 

 

 

 

 - 네트워크 접근통제 

 

 

 

 

 

 - 네트워크 자료유출방지 

 

 

 

 

 

 - 망간 자료전송 

 

 

 

 

 

 - 안티 바이러스 

 

 

 

 

 

 - 가상화(PC 또는 서버) 

 

 

 

 

 

 - 패치관리 

 

 

 

 

 

 - 호스트 자료 유출 방지(매체제어제품 포함, 자료저장 기능이 있는 경우 국정원 검증필 암호모듈 탑재 필수) 

 

 

 

 

 

 - 스팸메일 차단 

 

 

 

 

 

 - 서버 접근통제 

 

 

 

 

 

 - DB접근 통제 

 

 

 

 

 

 - 스마트카드 

 

 

 

 

 

 - 소프트웨어기반 보안USB(검증필 암호모듈 탑재 필수) 

 

 

 

 

 

 - 디지털 복합기 (비휘발성 저장매체 장착 제품에 대한 완전삭제 혹은 암호화 기능) 

 

 

 

 

 

 - 소스코드 보안약점 분석도구 

 

 

 

 

 

 - 스마트폰 보안관리 

 

 

 

 

 

 - CC인증서에 명시된 제품과 동일 제품 여부 

 

 

 

 

 

o 모바일 서비스(앱·웹) 등 

 - 보안취약점 및 보안약점 점검·조치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관리 지침) 

 

 

 

 

 

백도어 방지 기술적 확인 사항 

o 보안기능 준수 

 - 식별 및 인증 

 

 

 

 

 

 - 암호지원 

 

 

 

 

 

 - 정보 흐름 통제 

 

 

 

 

 

 - 보안 관리 

 

 

 

 

 

 - 자체 시험 

 

 

 

 

 

 - 접근 통제 

 

 

 

 

 

 - 전송데이터 보호 

 

 

 

 

 

 - 감사 기록 

 

 

 

 

 

 - 기타 제품별 특화기능 

 

 

 

 

 

o 보안기능 확인 및 취약점 제거 

 - 보안기능별 명령어 등 시험 및 운영 방법 제공 

 

 

 

 

 

 - 취약점 개선(취약점이 없는 펌웨어 및 패치 적용) 

 

 

 

 

 

 - 백도어 제거(비공개 원격 관리 및 접속 기능) 

 

 

 

 

 

 - 오픈소스 적용 기능 및 리스트 제공 

 

 

 

 

 

 

 

 

[별첨 13] 

사업자 간 책임 및 역할 분담표(예시) 

 

단계 

임무 

활동 

통합사업자 

SW공급자 

준비 

조직구성 

 

 

 

일정계획수립 

 

 

 

착수보고회 

 

 

 

현황 

분석 

현황자료 수집/분석 

해당 업무 인수인계 

 

 

SW설치 관련 현황 자료 정의 

 

 

SW현황 자료 이전 자료 확보 

 

 

현황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도출 

RFP 요구 사항 대비 / SW기능 만족 여부 검토 

 

 

운영절차 내재화 지원 

 

 

고객 인터뷰 

발주처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정의 및 확정 

 

 

구축 대상 및 범위 상세화 

상세 구축 범위 선정 및 승인 검토 

 

 

설계 

요구사항 정의 및 확정 

 

 

시스템 설계 

 

 

시스템간 연동 범위 및 규격 정의 

인터페이스 범위 및 방식 정의 

 

 

시스템간 연동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시스템 설치 계획 수립 

시스템 도입에 대한 H/W 설치 계획 수립 

 

 

분리발주 SW 설치 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장비 설정 

시스템 환경 설정 

 

 

시스템 SW 설치 및 환경 설정 

 

 

단위 시스템 

테스트 

분리발주 SW 기능 테스트 

 

 

분리발주 SW 아키텍쳐 테스트 

 

 

시스템간 연동 구현 

 

 

테스트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분리발주 SW 연동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검토 및 승인 

 

 

연동 테스트 수행 

연동 테스트 수행 

 

 

연동 테스트 수행관리 및 감독 

 

 

통합 테스트 수행 

통합 테스트 수행 

 

 

통합 테스트 수행관리 및 감독 

 

 

전체 시운전 시행 

 

 

검수 

 

종료 

운영 및 관리 매뉴얼 작성 

분리 SW외 운영자/사용자 매뉴얼 작성 

 

 

분리 SW 운영자 매뉴얼 

 

 

운영자 교육 

분리 SW외 운영자 교육 

 

 

분리 SW 운영자 교육 

 

 

시스템 검수 

연계 및 통합 테스트 검수 

 

 

분리 SW 검수 

 

 

종료보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