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안 요 청 서
|
과 업 명
|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 제작
|
|
주관기관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2025. 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1. 과업 내용
가. 과업의 개요
1) 과 업 명
□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 제작
2) 과업 추진배경 및 목적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이하 “KRISO”라 함)는 해양수산연구개발사업으로 “지상파항법시스템 고도화 기술개발”의 세부 내용인 “지상파 PNT 성능검증 플랫폼” 기술 개발을 수행 중임.
□ “지상파 PNT 성능검증 플랫폼”은 운영 중인 eLoran 송신국 시스템과 중파 R-Mode 송신국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모델링 기반의 종합 분석 및 eLoran 서비스 제고를 위한 지상파 통합 항법 성능 검증, 향후 구축될 제주 및 울릉도 eLoran 송신국 채널에 대한 신호 품질 예측 서비스 제공, 그리고 예측 가능한 서비스 및 정확도 확보를 통한 국내외 지상파 통합 지상파 PNT 수신기와 A-eLoran(신규 신호규격) PNT 수신기 검증에 활용함.
(그림 1) 지상파 PNT 성능검증 플랫폼 구성도
□ 본 과업에서는 “지상파 PNT 성능검증 플랫폼” 개발에 요구되는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을 제작함.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은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과 연동하여 정밀시각 분배 및 전달, 지상파 신호 결합, 프로그램을 통한 SDR 모듈을 운영하며, 결합된 항법신호를 지상파 항법신호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함.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 5채널을 결합할 수 있도록 제작함.
□ KRISO는 2024년 1차년에는 지상파 통합 시뮬레이션 시스템(10채널) 구현을 위한 기본 설계를 완료했음. 2025년 2차년에는 지상파 통합(eLoran/R-Mode)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상세 설계를 하고, 상세 설계를 기반으로 총 10채널 중 3채널에 대한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을 제작함. 2026년 3차년도 연구에서는 6채널에 대한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을 제작할 예정임.
3) 시스템 개요
□ 시스템 구성
본 사업에서 제작하는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그림 2)은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에 기준 시각을 분배하여 제공하고, 모사된 지상파 항법 신호를 결합하고, SDR에 전원을 공급하고, 프로토콜 프로그램을 통하여 SDR을 제어함. (그림 3)은 KRISO에서 2025년 구성하고자 하는 성능검증 플랫폼 시스템 장치랙을 나타냄. 본 사업에서 제작하는 물품은 (그림 3)의 푸른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이며, 각각은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1대,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과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을 운영하기 위한 프로토콜 운영 프로그램, Power 모듈 1대, SDR용 하부랙 1대임.
(그림 2) 지상파 PNT 성능검증 플랫폼의 지상파 항법 결합시스템
(그림 3) 지상파 PNT 성능검증 플랫폼 시스템랙을 위한 지상파 항법 결합시스템 (본 사업 제작품은 푸른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임)
□ 시스템 기능 요구 사항
○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기능
■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들과 지상파 간섭 시뮬레이션 SDR 모듈의 기준 시각 공급을 위해 GNSS 신호 시뮬레이터의 10MHz 및 1PPS 신호를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들과 지상파 간섭 시뮬레이션 SDR 모듈로 분배하는 기능이 요구됨.
■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에서 생성된 독립된 2개의 아날로그 모사신호와 지상파 간섭 시뮬레이션 SDR 모듈에서 생성된 독립된 2개의 아날로그 모사신호를 결합하는 기능이 요구됨.
■ 기준국을 위한 지상파 통합 모사신호와 Vehicle 장치를 위한 지상파 통합 모사 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2개 신호로 출력하는 기능이 요구됨.
■ 프로토콜 운영 프로그램은 Switching Hub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을 제어하고 운영하는 기능이 요구됨.
○ 프로토콜 운영 프로그램
■ Windows OS 환경에서 NMEA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Switching Hub를 통해 다채널의 지상파 시뮬레이터 SDR 모듈과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에 대해 제어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됨.
○ Power 모듈
■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 5대와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에 전원 공급
○ SDR용 하부랙
■ 19인치 표준 랙에 장착 가능
■ 5채널 SDR (2025년에는 3채널만 결합함) 결합 가능
□ 시스템 구성 요구사항
○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 다채널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에서 생성된 독립된 2개의 아날로그 모사신호와 지상파 간섭 시뮬레이션 SDR 모듈에서 생성된 독립된 2개의 아날로그 모사신호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해야함.
■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들과 지상파 간섭 시뮬레이션 SDR 모듈의 기준 시각 공급을 위해 GNSS 신호 시뮬레이터의 10MHz 및 1PPS 신호를 다채널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과 지상파 간섭 시뮬레이션 SDR 모듈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해야 함.
○ Power 모듈
■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과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에 안정적인 DC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구성해야함.
4) 과업 내용
□ 공통
■ 과업 일정을 사전에 발주처에 제시할 것
■ 추가 및 변경 사항 발생시, 발주처와 협의하여 결정할 것
□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 제작 성과물
■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 1 세트
|
구성품
|
수량
|
비고
|
|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
1EA
|
6U 이하 Sub-Rack type
|
|
Protocol 운영 Program
|
1SET
|
Window 환경, NMEA 활용
|
|
Power 모듈
|
1EA
|
6U 이하 Sub-Rack type
|
|
19인치 Sub-Rack
|
1EA
|
6U 이하
|
■ 기술 문서
◇ 상세설계 자료 : 1조
◇ 성능시험 결과서 : 1조
◇ 제작품 도면/사진 : 1조
◇ 최종 과업 완료 보고서 : 1조
□ 내용 및 범위
■ 요구사항 분석
◇ KRISO에서 제시한 요구사항 숙지 및 분석
◇ 사업 수행 시 예상되는 추가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 및 정의
■ 시스템 설계
◇ 시스템 운용개념 정립
◇ 시스템 구성 및 기능 정의
◇ 시스템 상세 설계
■ 시작품 제작
◇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1 EA)
- 19인치 Sub-Rack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어야 함.
- ATCA 기반의 backplane Zone-1 및 Zone-2 형태로 제작되어야 함.
-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들과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용이하도록 제작되어함.
-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포트가 요구됨.
◇ Power 모듈 (1 EA)
- 19인치 Sub-Rack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어야 함.
- ATCA 기반의 backplane Zone-1 형태로 제작되어야 함.
- 5채널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어함.
- 전원 공급 시 자동으로 스위치가 On 상태로 전환되는 기능과 수동으로 전원 On/Off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 프로토콜 운영 프로그램
- Network Hub을 설치하여 TCP/IP 또는 UDP 방식으로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 동작을 검증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야 함.
- Windows OS 기반의 GUI로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야 함.
◇ SDR용 하부랙
- 19인치 표준 Rack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어야 함.
- SDR 모듈,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power 모듈을 장착하도록 제작되어야 함.
■ 성능시험
◇ 원 사업에서 개발 중인 지상파 신호 시뮬레이션 SDR 장치와의 연동 운용 시험
◇ 시험회수: 3회
■ 기술문서 작성 및 교육
◇ 사용자설명서 작성
◇ 시스템 형상, 하드웨어 블럭도, 상세 설계도 등 하드웨어 제작을 위한 개발 관련 문서 작성
◇ 소프트웨어 구조 및 사용자 화면에 대한 소프트웨어 기능 구현을 위한 일반적인 개발 관련 문서 작성
◇ 성능 평가 기준, 절차 및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
5) 과업기간
□ 본 과업은 착수일로부터 2025년 11월 30일 이내로 함.
6) 과업(용역)예산
□ 과업예산 : 71,000,000원 (VAT 포함)
□ 대금지급조건 : 70%까지 선금 지급 가능
7) 시스템 제작 세부사항
가. 지상파 항법 결합 시스템 세부사항
□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 GNSS 신호 시뮬레이터에서 출력되는 10MHz 및 1P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ystem Clock 입력 포트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 기준 시각 정보인 10MHz 및 1PPS 신호를 지상파 시뮬레이션 SDR 모듈로 입력하기 위한 5채널 Reference Timing 출력 포트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 지상파 통합 시뮬레이션 SDR 모듈에서 출력되는 기준국 모사 신호와 Vehicle 모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5채널 모사 입력 신호 포트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 5채널 기준국 모사 신호와 5채널 Vehicle 모사 신호를 각각 결합하여 출력하기 위한 포트 및 모니터링 포트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 TCP/IP 또는 UDP로 기반으로 입력 신호 채널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 결합 채널을 표시하는 기능이 요구됨.
○ 전원부는 ATCA backplane Zone-1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그림 4)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인터페이스 구성도
▷ System Clock 포트 전기적 사양
|
Signal
|
Type
|
Signal Specification
|
I/O
|
Connector(Pin)
|
|
SYS. 1PPS
|
TTL
|
5V@50Ω(peak-peak)
|
Input
|
BNC
|
|
SYS. 10MHz
|
TTL
|
5V@50Ω(peak-peak)
|
Input
|
BNC
|
▷ Reference Timing 포트 전기적 사양
|
Signal
|
Type
|
Signal Specification
|
I/O(xEA)
|
Connector
|
|
REF. 1PPS
|
LVDS
|
350mV@110Ω(peak-peak)
|
Input
|
ATCA Zone2
|
|
REF. 10MHz
|
LVDS
|
350mV@110Ω(peak-peak)
|
Input
|
ATCA Zone2
|
▷ 5채널 모사신호 입력 포트 전기적 사양
|
Signal
|
Type
|
Signal Specification
|
I/O(xEA)
|
Connector
|
|
5CH Vehicle
|
Analog
|
-70~0dBm@50Ω
|
Input(x5)
|
SMA
|
|
5CH Ref. Station
|
Analog
|
-70~0dBm@50Ω
|
Input(x5)
|
SMA
|
▷ 지상파 모사신호 출력 포트 전기적 사양
|
Signal
|
Type
|
Signal Specification
|
I/O
|
Connector
|
|
Vehicle
|
Analog
|
-70~0dBm@50Ω
|
Output
|
BNC
|
|
Ref. Station
|
Analog
|
-70~0dBm@50Ω
|
Output
|
BNC
|
▷ 지상파 모사신호 모니터링 포트 전기적 사양
|
Signal
|
Type
|
Signal Specification
|
I/O
|
Connector
|
|
Vehicle(Mon)
|
Analog
|
-70~0dBm@50Ω
|
Output
|
BNC
|
|
Ref. Station(Mon)
|
Analog
|
-70~0dBm@50Ω
|
Output
|
BNC
|
□ Power 모듈
○ AC 110~240V 입력 단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 지상파 통합 시뮬레이션 SDR 모듈과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에 공급하는 전원은 ATCA backplane Zone-1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요구됨.
□ 프로토콜 운영 프로그램
○ 기준 시각 모사 기능
● Timing Bias 설정: Profile Data
● Timing Bias Offset 설정
● Timing Variance 설정
○ A-eLoran 송신기 및 ATU 모사 기능
● Signal Power 설정
● Group Pulse Timing Bias 설정: Profile Data
● Group Pulse Timing Variance 설정
● Amplitude Variance 설정
● ECD 설정
● 신규 eLoran 데이터 로딩
● 개별 Pulse Timing Variance 설정
● 개별 Pulse Amplitude Variance 설정
○ MF R-Mode 송신기 및 ATU 모사 기능
● Signal Power 설정
● Signal Timing Bias 설정: Profile Data
● Signal Timing Variance 설정
● Amplitude Variance 설정
○ 항법신호 모사 기능
● 2채널의 전송 TOA Offset 설정
● TOA Profile 데이터 로딩
○ Sky wave 모사 기능(2 Hop)
● 37.5~60μsec Delay 설정
● 12dB~26dB의 SGR Level 설정
○ 5채널 시스템 결합 제어 기능
● 결합 신호 채널 선택 기능
□ SDR용 하부랙
○ SDR 모듈 장착을 위한 SDR 외형 사양 별도 제공
나. 결과물 납품 목록 및 납품 조건
□ 제작품
|
품목
|
수량
|
|
구성품
|
5채널 시스템 결합 모듈
|
1EA
|
|
Power 모듈
|
1EA
|
|
프로토콜 운영 프로그램
|
1Set
|
|
19인치 Sub-Rack
|
1EA
|
□ 기술문서
|
기술문서
|
수량
|
단위
|
형태
|
제출시기
|
|
상세설계 자료
|
1
|
set
|
파일 (*.hwp, *.pptx)
|
상세 설계 후 제작 승인
|
|
성능시험 결과서
|
1
|
ea
|
파일 (*.hwp, *.pptx)
|
최종 납기 내
|
|
프로토콜 운영 프로그램
|
1
|
set
|
소스파일 (*.c, *.cpp, *.py 등), 설치파일
|
최종 납기 내
|
|
제작품 도면/사진
|
1
|
set
|
파일 (*.jpg 등)
|
최종 납기 내
|
|
최종 과업 완료 보고서
|
1
|
ea
|
파일 (*.hwp)
|
최종 납기 내
|
□ 납품 조건
○ KRISO 소내 지상파 PNT 성능검증 플랫폼 시스템랙에 장착 설치함.
8) 사업 일반 및 특수 조건
가. 사업 수행 기준
(1) 본 사업은 대한민국 정부의 제반규정 및 본 제작사양서에 의하여 수행함을 원칙으로 하되 불합리한 사항이나 이상이 발견될 경우, 제작사양서 상의 문구․용어의 해석과 사업의 범위 및 실시요령에 대하여 KRISO와 의견을 달리할 경우에는 상호협의에 의해 해결한다.
(2) 제1항에 의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할 때에는 법원의 판결 또는 「중재법」에 의한 중재에 의하여 해결한다. 다만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제28조에서 정한 이의신청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국가계약분쟁조정위원회 조정결정에 따라 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
(3) 제2항에도 불구하고 계약을 체결하는 때에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제28조의2에 따라 분쟁해결방법을 정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4) 계약상대자는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분쟁처리절차 수행기간중 과업의 수행을 중지하여서는 아니된다.
(5) 계약상대자는 최신의 설비와 전문 기술지식, 인력을 활용하여 사업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여야 함은 물론 사업이 KRISO에 최대의 이익이 되도록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6) 계약상대자는 관계 규정 및 본 제작사양서에 의거 최대한 최신 설비 및 전문지식과 기술을 활용하고, 필요시에는 국내외 전문기관 또는 전문기술자의 자문을 받아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나. 사업 수행방법 및 요원관리
(1) 계약상대자의 사업수행은 본 제작사양서와 KRISO의 요청사항을 바탕으로 시행하며, 임의로 사업 내용을 변경, 시행할 수 없다.
(2) 계약상대자는 KRISO에서 제공하는 관련 자료를 충분히 검토하여 사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사업이 사업 수행자의 과오로 지연될 경우에는 본 사업이 예정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인력, 장비 등을 추가 투입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4) 계약상대자는 사업 수행과 관련된 자료수집 및 행정사항 등은 직접 수행하되, 특별히 필요한 경우 KRISO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5) KRISO는 계약상대자의 사업 참여요원이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부적당하다고 판단되거나, 태만하다고 인정될 경우 해당요원의 교체를 요구할 수 있다.
(6) 본 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인적․물적 사고에 대한 민․형사상 모든 책임은 관련규정에 따라 처리한다.
(7) 계약상대자는 본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사업의 각 단계 및 분야별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이를 KRISO에 보고하여야 한다. 또한 위험 요소에 대한 제거/완화 계획 및 진행 상황을 보고하여야 한다.
다. 사업의 변경
(1) 사업의 수행 중 내용 및 사업비용의 일부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KRISO의 승인을 받아 계약금액의 범위 내에서 내용과 사업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2) 계약상대자는 본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발생되는 예기치 않은 문제로 인해 사업 범위의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계약상대자의 하자에 의한 경우에는 KRISO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며, KRISO의 사유에 의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는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라. 하도급의 시행
(1) 계약상대자는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사업의 일부에 자격 있는 타 전문 업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KRISO와 사전 협의를 거쳐야 하며, 선정된 업체는 발주처의 감독을 받는다. 이 경우에라도 사업 수행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인적․물적 사고에 대한 민․형사상 모든 책임은 관련규정에 따라 처리한다.
마. 특허권
(1) 사업수행에 있어 제3자의 권리대상으로 있는 특허권 등을 사용할 때에는 적절한 검토 후 사용하여야 하며, 계약상대자가 사용에 관한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바. 위반행위에 대한 조치
KRISO는 다음과 같은 행위에 대하여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약위반행위로 간주하여 관계규정에 의거 조치할 수 있다.
(1) 사업수행을 위한 제반 지시사항을 기한 내에 이행하지 아니하였을 때
(2) 계약상대자의 사유로 준비 과정이나, 작업 공정이 현저하게 미달되어 계획된 작업이 계획된 기간 내에 완료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
(3)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당한 방법으로 하도급을 주었을 때
(4) 계획된 사업 실시계획과 실제 작업 지원에 활용되는 장비와 인력이 KRISO의 승인 없이 상이할 경우
(5) 계약상대자가 KRISO의 지시사항을 따르지 않아 본 사업의 목적 달성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경우
(6) 계약상대자의 부주의로 인한 과실이 인정될 때
(7) 계약상대자가 본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사. 사업수행 성과보고
(1) 계약상대자는 매 1개월마다 해당 기간의 사업 수행에 대한 성과보고 자료를 제출하여야 하며 KRISO가 요청하는 경우 매분기에 별도의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성과보고 자료에 수행된 항목들에 대한 진도율과 수행 내역, 관련 사진, 현 단계의 문제점과 대책, 향후 일정 및 계획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3) 본 성과 보고는 KRISO가 사업의 진행에 대해 충분히 파악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할 수 있다.
아. 성과물(기술자료 포함) 제출
(1) 사업성과물은 KRISO의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에 필요한 자료제출 및 보충설명서들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또한 성과물이 제작사양서의 내용과 상이 또는 미흡하여 KRISO에서 보완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즉시 수정·보완하여야 한다.
(2) 본 사업과 관련하여 계약상대자는 상기된 성과물을 KRISO에 제출하여야 한다.
자. 유지보수 등
(1) 계약상대자는 무상 하자보수 종료 후 제 3의 업체가 유지보수를 실시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술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사업 종료일로부터 1년간 무상으로 하자보수를 실시해야 하며 이에 대한 하자보수 계획을 제작 완료 보고서에 명시하여야 한다.
차. 비밀의 준수
(1) 계약상대자는 본 계약기간 전·후를 막론하고 본 사업과 관련하여 획득한 사항을 제 3자에게 누설하여서는 아니 되며, KRISO가 요구하는 보안사항을 철저히 준수하여야 한다. 본 항목의 위반으로 인한 보안사고 발생 시는 계약상대자가 모든 민·형사상의 책임을 진다.
카. 기타 사항
(1) 본 제작 건의 설계가 끝난 후 제작 착수 이전에 KRISO에게 설계 결과 자료(제작 도면 등)를 제공하여 설계 도면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제작사양서를 바탕으로 제작설계를 수행하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부 변경 사항이 있을 시 KRISO와 협의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KRISO가 승인한 설계도면을 제작사가 임의로 변경한 사항에 대해서는 KRISO가 요구 시 즉시 시정되거나 재제작되어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최종 제품이 납품되기 전에 성능 검증 시험을 수행하여야 하며 KRISO 요청 시 KRISO 대표자 입회가 가능하여야 한다. 본 제작사양서에 명확하게 제시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KRISO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4) KRISO에서는 본 사업과 관련하여 감독관을 지명할 수 있다. 이 경우 감독관은 KRISO의 역할을 수행한다.
(5) 계약상대자는 본 사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사업 추진 중 제시되는 KRISO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6) 계약상대자는 KRISO가 본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요청하는 자료를 제공함에 있어 적극적이어야 한다.
9) 계약방법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3조”에 근거한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 기획재정부 계약예규 "협상에 의한 계약 체결 기준“
10) 기타
❍ “제안사”에서 KRISO에 제출하는 제안서 내용은 상거래상 또는 법적으로 하자가 없어야 하며, 이를 위반 시 관련 규정에 따라 처리한다.
❍ 과업 목적 달성을 위해 과업 범위 등이 변경되는 경우 그 변경된 내용에 따라서 실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 본 과업의 계약목적물에 대한 지식재산권 귀속은 제29조의2(계약목적물의 지식재산권 귀속 등) 해당 계약에 따른 계약목적물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발주기관과 계약상대자가 공동으로 소유하며, 별도의 정함이 없는 한 지분은 균등한 것으로 한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계약예규 「용역계약일반조건」제35조의2, 제35조의3 및 제35조의4를 준용한다.
❍ 본 과업 수행과정에서 제안사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지식 이외에 KRISO의 지식에 기반하여 발생한 각종 조사·분석자료, S/W, 보고서, 운용매뉴얼, 관련 지식재산권 등 일체의 성과물은 KRISO의 소유로 한다.
❍ S/W의 외부 반출이 필요한 경우 아래 제시한 반출 절차를 적용하여 반출할 수 있다.
- S/W 산출물을 제3자에게 제공하려는 경우 KRISO의 사전승인을 요청해야 함.
- S/W 반출 시 KRISO가 제공한 알고리듬 및 누출금지 정보를 반드시 삭제하여야 하며, 이때 제안사 대표 명의의 확약서를 제출하여야 함.
❍ 본 과업 수행과 관련하여 발생된 각종 조사·분석자료 및 보고서 등 일체의 성과물은 본 과업과 관련되지 아니한 그 어떠한 용도나 목적에 사용할 수 없다.
❍ 본 과업수행에 있어 제3자의 권리대상으로 되어있는 특허권, S/W 등을 사용할 때에는 “제안사”는 그 권리의 사용에 관하여 일체를 책임진다.
2. 제안서 작성요령
가. 제안서 목차 및 작성요령 [권장사항]
|
목 차
|
작 성 방 법
|
비 고
|
|
I. 일반부문
|
|
|
|
1. 제안개요
|
● 제안의 목적, 사업 범위, 내용, 제안의 특・장점, 사업 추진전략을 요약하여 기술
|
|
2. 제안사 현황
|
● 제안사 일반현황
● 제안사의 조직도 및 업무기능
|
|
Ⅱ. 사업수행부문
|
|
|
|
1. 사업추진 배경 및 목표
|
● 본 사업의 목표, 사업 범위, 내용 등을 상세히 기술
|
|
2. 사업추진전략
|
● 본 사업의 진행에 대한 추진전략에 대해 상세히 기술
|
|
3. 사업내용 및 세부 수행방안
|
● 본 사업의 진행시 업무 내용에 대해 상세히 기술
● 본 사업의 진행시 활용할 제안사의 보유기술 및 수행방법론 제시
|
|
Ⅲ. 사업관리부문
|
|
|
|
1. 조직 및 인력
|
● 본 사업의 수행을 위한 조직 및 업무분장내용을 제시
● 투입 인력 및 경력
|
|
2. 세부추진일정 계획
|
● 부문별 일정계획을 제시하고, 추진일정을 상세히 제시
|
|
3. 품질보증방안
|
● 품질보증을 위한 조직, 방법, 절차, 내용 등을 상세히 제시
|
|
Ⅳ. 기타
|
● 위 항목에서 제시되지 않은 사항을 기술
|
|
나. 제안서 작성지침(권장사항)
◦ 제안서 및 제안 요약서는 A4 종 형태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제안 내용은 꼭 필요한 사항 위주로 명료하게 작성하여야 하며 내용 중 “가능하다”, “동의한다”, “고려한다” 등의 모호한 표현은 평가에서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함
◦ 제출된 제안서의 기재 내용은 실제 사실과 일치하여야 하며 KRISO가 요청하지 않는 한 수정, 추가, 대체할 수 없음
◦ 제안서에 사용된 전문 용어는 가급적 한글로 표기하되, 불가피한 경우 한글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원어를 표기할 수 있음. 영문 약어에 대하여는 영문 Full-name을 표기해야 함
◦ 제안서는 본문 30페이지, 요약서는 본문에 5페이지 이내로 작성하고 세부 설명 자료는 별책으로 작성 가능함
◦ 제안서는 제안서 목차에 따라 작성함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항목을 세분화하거나 늘릴 수 있음
◦ 제안서 목차의 항목 중 해당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사항 없음”으로 표기 함
3. 제안 안내
가. 제안서 제출
A. 일 시 : 입찰공고서 참조
B. 장 소 : 입찰공고서 참조
C. 공동이행 : 불가
D. 제출방법 : 입찰공고서 참조
◦ 문의처 :
- 계약관련 사항: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구매자산실 이경주 (042-866-3194)
- 과업내용 및 제안서 작성: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황태현 (042-866-3625)
나. 제안/입찰 참가자격
A. 입찰공고서에 의함
B.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 12조의 규정에 의한 요건을 갖춘 업체이어야 함
C. 입찰마감일 기준 유효한 중소기업확인서를 소지한 업체
D. 입찰참가자격등록 마감일 전일까지 나라장터(G2B)에 세부품명 무선통신장치(세부품명번호:4322172101)으로 입찰참가 등록한 업체
다. 사업자 선정방식
A. 입찰방식 및 계약방식
◦ 제한경쟁입찰, 협상에 의한 방식 계약체결(기술점수 80, 가격점수 20/ 합한 점수가 최고점수자에게 협상 1순위 부여하고 협상완료시 계약체결)
B. 적용 규정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3조”에 근거한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 기획재정부 계약예규 "협상에 의한 계약 체결 기준“
C. 제안서 평가결과 기술능력 평가점수가 기술능력 평가분야 배점한도의 85%이상인 자를 해당 적격자로 선정함
D. 공동수급은 허용하지 않으며, 하도급은 발주처와 사전 협의 필요
라. 제안관련 유의사항
A. 제안서의 효력
◦ 제안서에 제시된 내용은 계약서에 명시하지 않더라도 계약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짐. 다만,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에는 계약서의 내용이 우선함
B. 제안비용 부담
◦ 제안과 관련되어 제출된 자료는 요구가 있을 경우 반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본 제안과 관련된 일체의 소요비용은 제안사업자가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C. 제안내용 보장
◦ 제안서의 모든 기재사항은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어야 하고, 허위 작성한 사실이 발견될 시 관련규정에 따라 처리함
◦ 제출된 제안서의 내용은 발주기관이 요청하지 않는 한 수정, 삭제 또는 대체를 할 수 없음
◦ 제안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관련 자료는 제안서의 별첨으로 제출하여야 함
D. 보안 준수사항
◦ 사업자는 본 용역 수행 중에 취득한 KRISO의 업무상의 기밀을 제 3자에게 누설할 수 없음
◦ 사업자는 KRISO의 동의 없이 기밀이 요구되는 프로젝트 산출물을 임의로 사용할 수 없음
E. 기타 유의사항
◦ 사업결과에 따른 시스템 및 산출물의 제반소유권은 관련 규정에 따름.
◦ 낙찰자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등 회계 관계 법규를 준수해야 함
4. 제안서 평가 및 협상
가. 평가 및 협상
1) 평가기준
◦ 본 제안서의 평가는 기술평가와 가격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되, 기술평가 비중을 100분의 80으로 하고 가격평가의 비중을 100분의 20으로 함
◦ 제안규격 및 요구에 적합하지 않은 내용은 관련규정에 따라 처리함
2) 평가방법
1) 기술능력 평가와 입찰가격 평가로 나누어 부문별 배점을 부여하여 평가하고, 평가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평가하되 제안설명회는 생략하고 제작사양서 참조 및 발주부서에 문의하는 것으로 갈음
3) 협상방법
1) 협상의 기간
협상기간은 협상대상자에게 통보된 날로부터 15일 이내로 한다. 다만, 해당 사업의 규모, 특수성, 난이도 등에 따라 협상대상자와의 협의에 의하여 5일의 범위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정한 기간 내에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10일의 범위내에서 연장 할 수 있다.
2) 협상대상자의 의무
협상대상자는 협상대상자로 통보 받은 후 제시한 기일 내에 연구소의 보완요구 사항을 반영한 본 과업의 최종 계획을 완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3) 협상절차
◦ 상기 제1항에 의하여 결정된 협상순위에 따라 결정된 협상대상자와 협상을 하며, 협상이 성립된 때에는 다른 협상적격자와 협상을 실시하지 아니한다.
◦ 협상대상자와의 협상이 성립되지 않으면 동일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순위 협상적격자와 협상을 실시한다.
◦ 모든 협상적격자와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에는 재공고입찰에 부칠 수 있다.
4) 협상의 범위
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업체가 제안한 과업내용, 이행일정 및 제안서 평가위원회에서 권유한 사항 등을 협상대상으로 하며, 연구소는 협상대상자와 협상을 통해 그 내용의 일부를 조정할 수 있다.
나. 평가항목 및 배점
|
구분
|
평가 항목
|
배점한도
|
평가 요소
|
배점
|
|
평점
|
계
|
|
기
술
능
력
평
가
|
과업
수행
기관
평가
|
경영상태
|
5
|
○ 경영상태 (기업 신용평가등급)
|
5
|
10
|
|
인력평가
|
5
|
○ 해당분야 기술인력 보유현황
|
5
|
|
과업
수행
능력
평가
|
과업수행계획서
(제안서)
|
70
|
○ 제안요청서 내용과의 부합여부
|
10
|
70
|
|
○ 제안서 세부 계획 및 부속서류 작성의 충실도
|
20
|
|
○ 수행 업무내용 및 방법의 구체성
|
30
|
|
○ 전문기술인력 배치 및 업무분장의 합리성
|
5
|
|
○ 프로젝트 지원 방법의 적절성
|
5
|
|
입찰
가격
평가
|
|
○ 평점산식 참조
|
20
|
20
|
|
합 계
|
100
|
100
|
다. 심사 평가 세부내용
1) 경영상태 평가 (기업 신용평가등급) [5점]
|
신용평가등급
|
평점
|
|
회사채
|
기업어음
|
기업신용평가등급
|
|
AAA, AA+, AA0, AA-
A+, A0, A-, BBB+, BBB0
|
A1, A2+, A20,
A2-, A3+, A30
|
AAA, AA+, AA0, AA-,
A+, A0, A-, BBB+, BBB0
|
5
|
|
BBB-, BB+, BB0, BB-
|
A3-, B+, B0
|
BBB-, BB+, BB0, BB-
|
4.75
|
|
B+, B0, B-
|
B-
|
B+, B0, B-
|
4.5
|
|
CCC+ 이하
|
C 이하
|
CCC+ 이하
|
3.5
|
1.「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4조제1항제1호 또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335조의3에 따라 업무를 영위하는 신용조회사 또는 신용평가사가 입찰공고일 이전에 평가하고 유효기간 내에 있는 회사채, 기업어음 및 기업신용평가등급을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에 조회된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하되,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다만,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이 다수가 있으며 그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가장 낮은 등급으로 평가한다.
2.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에서 신용평가등급 확인서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저등급으로 평가하며, 유효기간 만료일이 입찰공고일인 경우에도 유효한 것으로 평가한다.
3. 주 1에도 불구하고, 합병 또는 분할한 자가 입찰공고일 이전에 평가한 신용평가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입찰서 제출 마감일 전일까지 발급된 유효기간 내에 있는 가장 최근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다만, 합병 후 새로운 신용평가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입찰공고일 이전에 평가하고 유효기간 내에 있는 신용평가등급으로서 합병 대상자 중 가장 낮은 신용평가등급을 받은 자의 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한다.
4. 추정가격이 고시금액 미만인 입찰에서 입찰공고일을 기준으로 최근 7년 이내에 사업을 개시한 창업기업에 대해서는 신용평가등급 점수상의 배점 한도를 부여한다. 이 경우 창업기업에 대한 기간계산은 법인인 경우에는 법인등기부상 법인설립등기일을, 개인사업자인 경우에는 사업자등록증명서상 사업자등록일을 기준으로 한다.(이하 창업기업에 대한 기간계산은 같다)
5. 공동수급체의 경우 구성원별 해당 점수에 지분율을 곱한 후 그 점수들을 합산하여 최종 평가하고, 평가 결과 소수점 이하의 숫자가 있는 경우 소수점 다섯째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예) (A사 점수×A사 지분율)+(B사 점수×B사 지분율)…
2) 기술인력 평가
1) 해당분야 기술인력 보유 현황 [5점]
|
평가
|
특급기술자
|
고급기술자
|
중급기술자
|
초급이하
|
비고
|
|
배점(✕인)
|
1.5
|
1.3
|
1.1
|
0.9
|
계량
|
|
최대반영
점수
|
5.0
|
4.5
|
4.0
|
3.5
|
|
|
※ 주) 1. 입찰 참가등록 마감일 기준 재직 인력 적용
2. 엔지니어링 기술자의 등급 및 자격 기준
[엔지니어링 사업대가의 기준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9-20호 적용]
3. 제출서류 : 재직을 증명할 수 있는 공인된 기관서류(건강보험) 및 학력증명서, 경력증명서 등
4. 배점한도초과의 경우 배점한도 적용
|
3) 수행계획서(제안서) 평가
1) 제안서요청 내용과 부합여부 [10점]
|
평가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비고
|
|
배점
|
10
|
9
|
8
|
7
|
비계량
|
|
주) 제안서의 전체 내용이 모호하지 않고 과업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만족 여부
|
2) 제안서 세부 계획 및 부속서류 작성의 충실도 [20점]
|
평가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비고
|
|
배점
|
20
|
18
|
16
|
14
|
비계량
|
|
주) 세부 실행계획을 충실히 기술하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첨부 여부
|
3) 수행 업무내용 및 방법의 구체성 [30점]
|
평가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비고
|
|
배점
|
30
|
27
|
24
|
21
|
비계량
|
|
주) 업무내용 및 방법을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작성 여부
|
4) 전문기술인력 배치 및 업무분장의 합리성 [5점]
|
평가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비고
|
|
배점
|
5
|
4.5
|
4
|
3.5
|
비계량
|
|
주) 업무분야별 기술인력의 적절한 확보 및 각 수행업무 분장을 체계적으로 구성
|
5) 프로젝트 지원 방법의 적절성 [5점]
|
평가
|
우수
|
양호
|
보통
|
미흡
|
비고
|
|
배점
|
5
|
4.5
|
4
|
3.5
|
비계량
|
|
주) 교육훈련, 하자보수, 기밀보안 방안의 적절성
|
4) 입찰가격 평가
❍ 평점산식
가) 입찰가격을 추정가격의 100분의 80 이상으로 입찰한 자에 대한 평가
․
* 최저입찰가격 : 유효한 입찰자중 최저입찰가격으로 하되, 입찰가격이 추정가격의 100분의 70미만일 경우에는 100분의 70으로 계산 <개정 2015.9.21., 2023.6.30.>
* 해당입찰가격 : 해당 평가대상자의 입찰가격
* 입찰가격 평가시 사업예산으로 하는 경우에는 추정가격에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적용하고, 예정가격을 작성한 경우에는 추정가격을 예정가격으로 적용
나) 입찰가격을 추정가격의 100분의 80 미만인 입찰한 자에 대한 평가
․
* 최저입찰가격 : 유효한 입찰자중 최저입찰가격으로 하되, 입찰가격이 추정가격의 100분의 70미만일 경우에는 100분의 70으로 계산 <개정 2015.9.21., 2023.6.30.>
* 해당입찰가격 : 해당평가대상자의 입찰가격으로 하되, 입찰가격이 추정가격의 100분의 70미만일 경우에는 배점한도의 30%에 해당하는 평점을 부여
다) 입찰가격 평점산식에 의한 계산결과 소수점이하의 숫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다섯째자리에서 반올림함
회 사 소 개 서
|
회 사 명
|
|
대 표 자
|
|
|
사 업 분 야
|
|
|
주 소
|
|
|
전 화 번 호
|
|
|
회사설립년도
|
년 월
|
|
해당부문 과업기간
|
년 월 ~ 년 월( 년 개월)
|
|
주요연혁
|
[서식 2]
제안업체 인력현황
1. 제안업체의 조직
(자유기재)
2. 보유 인력 현황
|
보유 인력 현황 (단위 : 명)
|
|
구 분
|
계
|
전 문 분 야
|
기타분야
|
|
○○분야
|
○○분야
|
○○분야
|
○○분야
|
|
보유인력
|
|
|
|
|
|
|
※ 입찰공고일 전일 현재 4대보험 납입현황 또는 재직증명서 등 관련 증빙을 제출한다
[서식 3]
참여인력현황
|
성 명
|
직책
|
자 격 증
|
경력
|
참여도
(M/M)
|
담당업무
|
|
종 류
|
취득일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근무경력은 제안일 현재를 기준으로 기재함.
※ 과업책임자(Project Manager)는 반드시 투입율 30%(전담) 가능자로 인선하여 기재함.
[서식 4]
참여인력 이력사항
|
성 명
|
|
소 속
|
|
직 책
|
|
연 령
|
세
|
|
|
|
해당분야근무경력
|
년 개월
|
|
|
자 격 증
|
|
|
본 과업 참여임무
|
|
과업참여
기 간
|
|
참여율
|
%
(M/M)
|
|
경 력
|
|
사 업 명
|
참여기간
(년월 ~ 년월)
|
담당업무
|
발주처
|
비고
|
|
|
|
|
|
|
※ 본과업과 관련된 주요 경력사항 기재
※ 제출서류: 재직을 증명할 수 있는 공인된 기관서류(건강보험) 및 경력증명서 등
[서식 5]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서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수집한 개인정보는 해당 계약, 계약이행관리, 향후 실적관리를 위한 목적으로만 활용합니다.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수집항목
성명, 주소, 자격, 직급, 소속기관 부서명, 근속년수, 전공 및 학위정보, 연락처, 이메일주소
- 개인정보 수집방법
입찰참가 : 입찰참가신청서, 경쟁입찰참가자격등록증, 사업자등록증, 등기사항전부증명서, 인감증명서 등
계약체결 : 수행책임자 선임신고서, 연구과제 참여자 보안서약서, 참여자 이력서 등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보관합니다.
- 보존 항목 : 입찰참가신청서, 경쟁입찰참가자격등록증, 사업자등록증, 수행책임자 선임신고서, 연구과제 참여자 보안서약서, 참여자 이력서 등
- 보존 근거 : 연구소 문서보관보존요령 별표1호 (행정문서분류)
- 보존 기간 : 10년
위의 내용에 동의하시면 동의함을 선택(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의 ( ) 미동의 ( )
2025. .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소장 귀하 |